서 론
계면활성제의 생산과정에는 여러 종류의 계면활성제가 동시에 생성되든지 혹은 미반응의 유기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산업 현장이나 실생활에서는 혼합된 계면활성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1,2 혼합계면활성제는 단일 성분의 계면활성제가 나타낼 수 없는 특수한 물리적 및 화학적인 성질을 나타내므로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3-13 특히 이러한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유사상태분리 모델을 기초로 하는 비이상적 혼합미셀 모델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14-18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BS(C12H24C6H4SO3-Na+)와 polyoxyethylene 계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Brij 30(C12H25(OCH2CH2)4OH)과 Brij 35(C12H25(OCH2CH2)23OH )와의 혼합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조사함으로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머리 부분의 길이에 따라 음이온성/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혼합계면활성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이러한 음이온성/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 되지 않았으며 또한 n-부탄올 수용액에서 이러한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에서 DBS/Brij 30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하여 임계미셀농도(CMC)와 반대이온결합상수(B)값을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그 값들에 비이상적 혼합미셀 모델을 적용하여 여러 열역학적 함수값들을 계산하고 DBS/Brij 35 혼합시스템에 대한 결과14와 서로 비교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한다.
실 험
계면활성제인 DBS, Brij 30 및 Brij 35는 순도가 95% 이상인 Aldrich사의 제품을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바로 사용하였으며, 측정방법과 사용한 기기는 전편의 논문에서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14,17,19 즉, 순수 DBS와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CMC) 및 반대이온결합상수(B)값은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순수 Brij 30과 Brij 35의 임계미셀농도는 표면장력계로 측정하였다. 용액 제조를 위해 각 계면활성제를 농도가 0.05 M인 저장용액을 만들었으며, 이들 저장용액들을 일정한 부피비로 혼합함으로써 조성이 고정된 혼합계면활성제의 저장용액을 만들 수 있었다. 제조한 혼합계면활성제의 저장용액을 용매로 묽혀서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서로 다른 12개의 혼합계면활성제 용액을 만들어 측정함으로써 각 용액에서 DBS의 겉보기 몰분율(α1)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측정한 전도도값을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대하여 도시함으로써 임계미셀농도(CMC)와 반대 이온결합상수(B)값을 결정하였으며,19,20 각 용액에서 첨가한 n-부탄올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의 저장용액을 제조할 때와 저장용액을 묽힐 때 동일한 농도의 n-부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25 ℃의 순수 물에서 DBS/Brij 30과 DBS/Brij 35 혼합시스템의 CMC값을 α1의 변화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과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여기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두 혼합계면활성제들은 모두 α1의 증가에 따라 CMC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을 보였으며, DBS/Brij 30 보다는 DBS/Brij 35의 CMC값이 더욱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Brij 30보다는 Brij 35가 DBS와 혼합미셀을 형성하기 쉬움을 나타낸다. 한편 혼합미셀 상에서 반대이온(Na+)들의 결합상수(B)값을 각 혼합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값들을 Table 1과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측정한 B의 값도 두 혼합계면활성제 시스템 모두 α1의 증가에 따라 미소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DBS/Brij 30 혼합시스템보다 DBS/Brij 35 혼합시스템에 대한 B값이 약간 더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각 혼합시스템에 대하여 측정한 CMC와 B값을 이용하면 각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Gibbs 자유에너지의 변화량(△G˚m)을 식 (1)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각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하여 계산한 △G˚m값들은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각 Table에 함께 나타내었다. Table 1과 2를 비교하여 보면 △G˚m값은 두 혼합시스템의 경우 모두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α1이 0.4와 0.6일 때 최소값을 보였다. 그리고 DBS/Brij 30 혼합시스템에 대한 값보다 DBS/Brij 35 혼합시스템에 대한 △G˚m값이 더욱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1.Values of the measured CMC (± 0.01 mM) and calculated thermodynamic parameters from the nonideal mixed micellar model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0 mixed surfactant systems in pure water at 25 ℃.
Table 2.Values of the measured CMC (± 0.01 mM) and calculated thermodynamic parameters from the nonideal mixed micellar model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5 mixed surfactant systems in pure water at 25 ℃.
Fig. 1.Plots of X1 versus α1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0 (●) and DBS/Brij 35 (○) mixed surfactant systems in pure water at 25 ℃.
임의의 α1에서 측정한 혼합계면활성제의 CMC 값과 순수 DBS의 임계미셀농도인 CMC1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인 CMC2를 비이상적 혼합미셀 모델인 식 (2)에 대입하면 미셀상에서 DBS분자의 몰분율(X1)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 식을 이용하여 각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하여 임의의 α1에서 X1을 계산하여 각각 Table 1과 2에 함께 나타내었으며, 또한 α1에 따른 X1의 변화를 Fig.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보듯이 두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는 모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DBS)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Brij 30과 Brij 35)와의 서로 다른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X1과 α1 사이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즉, Fig. 1을 보면 두 혼합계면활성제 시스템에 대한 그래프들은 모두 대각선(이상적 혼합미셀 모델)에서 음의 벗어남을 보였으며, 특히 DBS/Brij 30보다는 DBS/Brij 35 시스템의 그래프가 더욱 큰 음의 벗어남을 보였다. 이것은 혼합미셀상에서 DBS분자가 Brij 30분자보다는 Brij 35분자와 더욱 강한 이온-쌍극자 상호작용을 이루기 때문인것이다.
혼합미셀 상에서 두 종류의 계면활성제분자들 사이에 소수성 인력 혹은 정전기적 반발력과 같은 상호작용의 세기를 나타내는 상호인력상수(β) 값은 X1과 CMC값의 함수로서 식 (3)과 같이 표현된다.16,17,22 Table 1과 2의 X1과 CMC값들을 이용하여 임의의 α1에서 β값들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 Table에 나타내었다. 두 혼합계면활성제에 대한 β값들은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α1의 증가에 따라 β값들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각 α1에서 DBS/Brij 30보다는 DBS/Brij 35의 β값이 더욱 작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DBS분자가 Brij 30보다는 Brij 35분자와 더욱 강한 상호작용을 이룸을 나타낸다. 즉, 머리 부분의 길이가 긴 Brij 35분자가 음이온성인 DBS분자의 머리 부분과 더욱 강하게 이온-쌍극자 상호작용을 이루게 됨을 나타낸다. DBS/Brij 35 혼합시스템에 대한 β값의 평균값은 -1.41이고 DBS/Brij 30 혼합시스템에 대한 평균값은 -0.99를 나타내었다.
혼합미셀상에서 각 성분들이 서로 혼합됨으로써 생기는 엔탈피 변화값(△Hmix)은 X1과 β값의 함수로서 식 (4)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22 각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 대하여 △Hmix값을 계산하였으며, 그 값들을 각 Table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알수 있듯이 각 혼합시스템에 대한 △Hmix값들은 β값처럼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혼합미셀 상에서 두 성분들이 서로 혼합됨으로써 열역학적으로 더욱 안정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각 Table을 보면 α1의 증가에 따라 △Hmix값은 미소하게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α1의 값이 0.6일 때 최소값을 보였다. 각 α1에서 DBS/Brij 30의 △Hmix값보다는 DBS/Brij 35의 값이 더욱 작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β값과 마찬가지로 DBS분자가 미셀상에서 Brij 30보다는 Brij 35분자와 더욱 강한 상호작용의 이루기 때문이다. DBS/Brij 35 혼합시스템에 대한 △Hmix값의 평균값은 -169 cal/mol을 그리고 DBS/Brij 30 혼합시스템에 대한 평균값은 -128 cal/mol을 나타내었다.
비이상적 혼합미셀 모델에 의하면 혼합미셀 상에서 각 성분들의 활동도계수(γi = exp{β(1-Xi)2})는 X1과 β값의 함수로서 계산할 수 있다.19,22 Table 1과 2의 X1과 β값을 대입함으로써 각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서 DBS분자의 활동도계수(γ1)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활동도계수(γ2)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과 2에 나타내었다. 두 혼합시스템에 대한 γ1과 γ2의 값을 상호 비교하여 보면 γ2의 값은 큰 변화가 없지만 γ1의 값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DBS/Brij 35 혼합시스템에 대한 γ1의 값이 DBS/Brij 30 혼합시스템에 대한 γ1의 값보다 더욱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각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서 γ1에 대한 γ2의 변화를 Fig.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DBS/Brij 30 혼합시스템에 대한 γ2의 값이 DBS/Brij 35 시스템에 대한 γ2 값보다 더욱 큰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DBS분자가 Brij 35분자보다 Brij 30분자와 더욱 약한 상호작용을 이룸을 나타낸다. 또한 비이상적 혼합미셀 모델에 의하면 혼합미셀을 이루지 않고 단량체 상으로 존재하는 각 성분들의 몰농도(Ci = γiXiCMCi)는 γi의 값을 이용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각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하여 이와 같이 계산한 C1(DBS의 단량체상 몰농도)과 C2(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단량체상 몰농도)의 값을 Table 1과 2에 함께 나타내었다. Table 1과 2를 비교하여 보면 DBS/Brij 35 혼합시스템에 대한 C1과 C2의 값이 DBS/Brij 30 혼합시스템에 대한 값들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DBS가 Brij 30보다는 Brij 35와 훨씬 잘 혼합미셀을 이룸을 나타낸다. 즉, DBS/Brij 35 혼합시스템이 혼합미셀을 이루는 농도범위가 DBS/Brij 30 혼합시스템보다 더욱 넓음을 나타낸다.
Fig. 2.Plots of γ2 versus γ1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0 (●) and DBS/Brij 35 (○) mixed surfactant systems in pure water at 25 ℃.
Fig. 3.Plots of a2M versus a1M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0 (●) and DBS/Brij 35 (○) mixed surfactant systems in pure water at 25 ℃.
한편 미셀 상을 열역학적으로 분리된 하나의 상으로 취급하고 순수 성분 상태를 미셀상의 표준상태로 정하면 미셀상에서 각 성분들의 활동도 (aiM = γiXi)는 γi와 Xi의 함수로서 계산할 수 있으며, Table 1과 2의 γi와 Xi의 값을 이용하여 각 혼합시스템에 대한 a1M(DBS분자의 활동도)과 a2M(비이온성 계면활성제분자의 활동도)의 값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과 2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각 혼합시스템에서 a1M에 대하여 a2M의 값을 Fig. 3에 도시하였다. Table 1과 2를 비교하여 보면 두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서 a1M은 모두 α1에 비하여 작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a2M은 α2에 비하여 오히려 큰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a1M의 값은 DBS/Brij 30 혼합시스템이 DBS/Brij 35 혼합시스템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a2M의 값은 DBS/Brij 35 혼합시스템이 오히려 DBS/Brij 30 혼합시스템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다. Fig. 3에 의하면 DBS/Brij 30 혼합시스템이 DBS/Brij 35 혼합시스템보다 혼합미셀을 이루는 영역이 좁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른 열역학적 함수값들과 마찬가지로 DBS분자가 Brij 30분자보다는 Brij 35분자와 혼합미셀을 더욱 잘 이룸을 의미한다.
음이온성/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 현상들을 더욱 자세히 조사하기 위하여 n-부탄올수용액(0.1 M과 0.2 M)에서 DBS/Brij 30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측정한 CMC와 B의 값을 Table 3과 4에 각각 나타내었다. Table 1, 3 및 4를 상호 비교하여 보면 유기첨가제인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CMC와 B의 값들은 모두 감소하고 있다. 순수 물에서는 DBS분자의 이온성 head-그룹 사이에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인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분자들이 DBS분자들보다 미셀 상에 훨씬 더 많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n-부탄올과 같은 첨가제를 넣으면 n-부탄올분자가 계면활성제들의 head-그룹들이 존재하는 미셀의 겉껍질 부분인 palisade층에 가용화되어 DBS 분자의 head-그룹과 수소결합을 이룸으로써 계면활성제분자의 head-그룹 간에 정전기적 반발력이 줄어들게 된다. 그 결과 미셀 상에서 두 종류의 계면활성제분자들은 서로 구분이 없어지게 되며 또한 이상적으로 혼합미셀화에 더욱 접근하게 된다. 측정한 CMC와 B의 값을 식 (1)에 대입하여 △G˚m값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 Table에 함께 나타내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G˚m값은 모든 용매에서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n-부탄올을 첨가할수록 △G˚m값은 변화가 없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부탄올 수용액에서 DBS/Brij 30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 대한 다른 열역학적 함수값들도 위의 식들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들을 Table 3과 4에 나타내었다. DBS/Brij 30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 대한 n-부탄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Table 1, 3 및 4의 열역학적 함수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보았다. 즉, Table 1, 3 및 4의 X1값을 비교하여 보면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X1의 값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α1값과 거의 같아지게 된다. 이것은 n-부탄올분자가 혼합미셀의 palisade 층에 가용화되어서 음전하를 띄는 DBS분자의 head- 그룹들 간의 반발력이 줄어들게 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DBS분자들이 Brij 30분자와 거의 같은 비율로 혼합미셀을 이루게 되며,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DBS/Brij 30 혼합계면활성제는 이상적 혼합미셀화에 더욱 접근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반대이온의 결합상수인 B값이 감소하는 현상과 일치한다.
Table 3.Values of the measured CMC (± 0.01 mM) and calculated thermodynamic parameters from the nonideal mixed micellar model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0 mixed surfactant systems in 0.1 M n-BuOH at 25 ℃.
Table 4.Values of the measured CMC (± 0.01 mM) and calculated thermodynamic parameters from the nonideal mixed micellar model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0 mixed surfactant systems in 0.2 M n-BuOH at 25 ℃.
Fig. 4.Plots of γ2 versus γ1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0 mixed surfactant systems in aqueous solutions of n-butanol at 25 ℃: (●) pure water; (■) 0.1M n-BuOH; (▲) 0.2M n-BuOH.
Table 1, 3 및 4를 비교하여 보면 DBS/Brij 30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서 두 종류의 계면활성제분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세기를 나타내는 β값은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β값도 증가하고 있다. 즉, 순수물에서 β값의 평균값은 -0.99, 0.1 M n-부탄올 수용액에서는 -0.62 그리고 0.2M n-부탄올 수용액에서는 -0.22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혼합미셀상에서 두 성분들의 상호작용의 세기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또한 △Hmix값도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순수 물에서 △Hmix값의 평균값은 -128 cal/mol, 0.1M n-부탄올 수용액에서는 -79 cal/mol 그리고 0.2 M n-부탄올 수용액에서는 -26 cal/mol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n-부탄올을 첨가할수록 n-부탄올분자들이 혼합미셀상에 가용화되어 DBS분자와 Brij 30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한편 Table 1, 3 및 4를 비교하여 보면 DBS/Brij 30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서 n-부탄올의 농도증가에 따른 γ1과 γ2의 값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γ2의 값보다 γ1의 값이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 γ1에 대한 γ2의 값을 도시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를 Fig.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그래프가 점차적으로 대각선에서 크게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γ1과 γ2의 값과 X1의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각 성분들의 활동도(aiM)값을 Table 1, 3 및 4에 나타내었으며, 이 Table들을 비교하여 보면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a2M의 값은 거의 변하지 않거나 감소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a1M의 값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Fig. 5에는 a1M에 대한 a2M의 값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보듯이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혼합미셀을 이루는 영역은 감소하고 단량체로 존재하는 영역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혼합미셀을 이루지 않는 DBS분자와 Brij 30분자의 농도(Ci)를 Table 1, 3 및 4를 이용하여 비교하여 보면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C1과 C2의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C2보다 C1의 값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Fig. 5.Plots of a2M versus a1M for the micellization of DBS/Brij 30 mixed surfactant systems in aqueous solutions of n-BuOH at 25 ℃: (●) pure water; (■) 0.1M n-BuOH; (▲) 0.2M n-BuOH.
결 론
DBS/Brij 30과 DBS/Brij 35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 대한 CMC값을 측정하여 비이상적 혼합미셀모델을 적용함으로써 혼합미셀 상에서 두 성분들의 head-그룹들 사이에 이온-쌍극자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두 혼합시스템 모두 이상적 혼합미셀화로부터 크게 음의 벗어남을 보였다. 혼합미셀상에서 음이온성인 DBS분자보다 비이온성인 Brij 30과 Brij 35분자가 더욱 많이 존재하게 되며, 그 결과 여러 가지 열역학 함수값들이 비이상적 혼합미셀화 현상을 보였다. 즉, 순수 물에서 X1은 α1의 값과 비교하여 큰 음의 벗어남을 보였으며, 그 결과 a1M과 γ1의 값은 α1과 비교하여 이상적 혼합미셀 모델로부터 크게 벗어남을 보였다. 특히 DBS 분자는 Brij 30분자보다 Brij 35분자와 더욱 강한 결합을 이룸으로써 DBS/Brij 35 혼합시스템이 DBS/Brij 30 시스템보다 더욱 큰 음의 벗어남을 보였다. 이것은 DBS/Brij 35 혼합시스템에 대한 β값의 평균값인 -1.41와 DBS/Brij 30 혼합시스템에 대한 평균값인 -0.99를 서로 비교하면 알 수 있다.
n-부탄올 수용액에서 DBS/Brij 30 혼합시스템의 미셀화에 대한 조사로부터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두 성분들 사이에 차이가 없어지게 되며, 그 결과 DBS/Brij 30 혼합시스템은 이상적 혼합미셀 모델에 더욱 접근하게 된다. 즉,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X1, a1M 및 γ1의 값은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β값과 △Hmix값은 모두 음의 값을 보였으며, n-부탄올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이들 값들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들은 모두 첨가한 n-부탄올분자들이 혼합미셀상의 palisade 층에 가용화되어 DBS분자와 강한 수소결합을 이룸으로써 혼합미셀상에서 두 성분들 사이의 상호인력을 감소시키고 두 성분들이 거의 동등한 비율로 혼합미셀을 이루게 됨을 나타낸다.
References
- Sierra, M. B.; Morini, M. A.; Schulz, P. C.; Junguera, E.; Aicart, E. J. Phys. Chem. B 2007, 111, 11692 https://doi.org/10.1021/jp072766s
- Shang, B. Z.; Wang, Z.; Larson, R. G. J. Phys. Chem. B 2008, 112, 2888 https://doi.org/10.1021/jp0773841
- Tsamaloukas, A. S.; Beck, A.; Heerklotz, H. Langmuir 2009, 25, 4393 https://doi.org/10.1021/la8033935
- Dong, S.; Xu, G.; Hoffmann, H. J. Phys. Chem. B 2008, 112, 9371 https://doi.org/10.1021/jp801216e
- Zhang, G.; Chen, X.; Zhao, Y.; Xie, Y.; Qiu, H. J. Phys. Chem. B 2007, 111, 11708 https://doi.org/10.1021/jp074945f
- Deb, N.; Shannigrahi, M.; Bagchi, S. J. Phys. Chem. B 2008, 112, 2868 https://doi.org/10.1021/jp710299t
- Garcia-Rio, L.; Mendez, M.; Paleo, M. R.; Sardina, F. J. J. Phys. Chem. B 2007, 111, 12756 https://doi.org/10.1021/jp073510p
- Imanishi, K.; Einaga, Y. J. Phys. Chem. B 2007, 111, 62 https://doi.org/10.1021/jp065317l
- Szymczyk, K.; Janczuk, B. Langmuir 2009, 25, 4377 https://doi.org/10.1021/la804183n
- Lu, S.; Somasundaran, P. Langmuir 2008, 24, 3874 https://doi.org/10.1021/la703233d
- Kim, H. U.; Lee, J. K.; Lim, K. H. J. Korean Ind. Eng. Chem. 2005, 16, 231
- Szymczyk, K.; Janczuk, B. Langmuir 2007, 23, 8740 https://doi.org/10.1021/la7008495
- Tucker, I.; Penfold, J.; Thomas, R. K.; Grillo, I.;Mildner, D. F. R.; Barker, J. G. Langmuir 2008, 24, 10089 https://doi.org/10.1021/la8012359
- Park, I. J.; Lee, B. H. J. Kor. Chem. Soc. 2006, 50, 355 https://doi.org/10.5012/jkcs.2006.50.5.355
- Gil, H. N.; Lee, B. H. J. Kor. Chem. Soc. 2008, 52, 111 https://doi.org/10.5012/jkcs.2008.52.2.111
- Gil, H. N.; Lee, B. H. J. Kor. Chem. Soc, 2008, 52, 461 https://doi.org/10.5012/jkcs.2008.52.5.461
- Holland, P. M.; Rubingh, D. N. J. Phys. Chem. 1983, 87, 1984 https://doi.org/10.1021/j100234a030
- Singh, J.; Unlu, Z.; Ranganathan, R.; Griffiths, P. J. Phys. Chem. B 2008, 112, 3997 https://doi.org/10.1021/jp077380w
- Jiang, L.; Deng, M.; Wang, Y.; Liang, D.; Yan, Y.;Huang, J. J. Phys. Chem. B 2009, 113, 7498 https://doi.org/10.1021/jp811455f
- Denkova, P. S.; Lokeren, L. V.; Willem, R. J. Phys. Chem. B 2009, 113, 6703 https://doi.org/10.1021/jp8104369
- Khatua, D.; Ghosh, S.; Dey, J.; Ghosh, G.; Aswal, V. K. J. Phys. Chem. B 2008, 112, 5374. https://doi.org/10.1021/jp7096636
- Gil, H. N.; Lee, B. H. J. Kor. Chem. Soc. 2009, 53, 118 https://doi.org/10.5012/jkcs.2009.53.2.118
Cited by
- Desorption of Adsorbed Humic Acid on Carbon nano Tubes vol.18, pp.7, 2013, https://doi.org/10.7857/JSGE.2013.18.7.081
- Studies on Mixed Micellizations of Sodium Dodecanoate and Sodium Octanoate by Means of Electric Conductivity and Light Scattering vol.59, pp.4, 2015, https://doi.org/10.5012/jkcs.2015.59.4.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