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zomethine Yilde Forming Photoreaction of N-(Tributylstannyl)methylphthalimide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의 아조메틴 일리드 형성 광화학 반응

  • Jeong, Ho-Cheol (Department of Chem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Ki-Hyun (Department of Cheam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Hea-Jung (Department of Cheam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o, Dae-Won (Department of Cheam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oon, Ung-Chan (Department of Cheam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6.20

Abstrac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photochemical reaction of N-(tributylstannyl)- methylphthalimide generates an azomethine ylide intermediate in its excited state as its silyl derivative N-(trimethylsilyl)methylphthalimide which has been observed to form an azomethine ylide. The irradiation of N-(tributylstannyl)methylphthalimide in $D_2O-CH_3$CN generates mono-deuterated N-methylphthalimide as an exclusive product which supports the efficient generation of azomethine ylide intermediate and its trapping by water molecule through a proto-destannylation pathway. However the generated tributylstannyl subsitiuted ylide was not observed to be trapped with a dipolarophile such as methyl acrylate and acrylonitrile present in the reactions which is in contrast with the ylide from N-(trimethylsilyl)methylphthalimide.

이 연구에서는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의 광화학 반응에서 관찰한 아조메틴 일리드 반응 중간체 생성 과정과 유사하게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의 광화학반응에서도 생성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의 광화학반응을 연구하였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를 $D_2O-CH_3$CN에서 광화학 반응시킬 때에 생성된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가 물 분자에 의해 포획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한 개의 중수소 원자 (D)가 메틸기의 한 개의 수소 (H) 대신에 치환된 $d_1$-N-메틸프탈이미드 생성물을 유일한 생성물로 높은 수율로 생성시킴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는 이 광화학 반응에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들뜬상태 전자전달-스탄일기 이동 과정을 거쳐 트리부틸스탄일 아조메틴 일리드 반응 중간체가 생성되는 것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그러나 이 반응에서 생성된 트리부틸스탄일 일리드 중간체는 스탄일기가 가지는 큰 입체장애 때문에 첨가된 메틸 아크 릴레이트나 아크릴로 니트릴과 같은 친쌍극체 (dipolarophile)에 의해 포획되지 않았다.

Keywords

서 론

이미드 화합물들의 광화학반응 연구는 지난 연구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으며1-3 이미드 화합물의 한 종류인 프탈이미드화합물들은 광환원 반응 (photreduction), 광첨가반응 (photoaddition), 광고리화반응 (photocyclization) 그리고 Norrish type I, II 반응 등 다양한 광화학 반응성을 보여주고 있어 이들에 대한 광화학 반응연구는 특히 많이 이루어져 있다.1 최근에 우리는 전자수용체 (electron acceptor)로 이미드 그리고 전자공급체로 α-실릴치환 전자공급체/다전자공급체 (α-silyl terminated electron donor/polyelectron donor)들을 사용한 전자 전달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광화학 반응 (single electron transfer promoted photoreaction)을 높은 효율과 위치 선택성을 가지는 거대 헤테로고리 화합물 합성 방법으로 개발할 수 있었다.2~4 N-[(트리메틸실릴)알킬]프탈 이미드들의 광화학 반응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5~11N-[(트리메틸실릴)알킬]프탈이미드는 들뜬상태(excited state)에서 경쟁적으로 수소원자 추출(hydrogen atom abstraction) 과정과 전자전달(single electron transfer SET) 유도 실릴기 전달 (silyl group transfer)과정이 일어나 이 과정을 통해 다양한 광반응성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특히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 (1)는 전자전달 유도로 탄소원자로부터 산소원자로 일어나는 실릴기전달 과정5~7을 거쳐 아조메틴 일리드 (3) 중간체를 효율적으로 생성시킴을 관찰하였다. 이들 생성된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는 물 (H2O) 분자에 의해 양성자화-탈실릴화 (protodesilylation)과정을 거쳐 N-메틸프탈이미드 (4)로 전환되고 반응물에 첨가되어 존재하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혹은 아세톤 등과 같은 친쌍극성체에 의해 1,3-쌍극성 첨가 반응을 통해 포획되어 1,3-쌍극성 생성물 5와 6들이 각각 생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Scheme 1)

메틸기 보다 더 긴 알킬 사슬을 가진 화합물 N-실릴에틸- 그리고 N-실릴프로필프탈이미드 7-8 들은 양성자성-극성용매 (예를 들면 H2O-MeCN 또는 H2O-MeOH)에서의 광화학 반응에서 전자전달-실릴기 전달 연속과정을 통해 이가라디칼(biradical) 중간체 9를 주 반응 생성물로 생성시키며 이 생성된 이가라디칼중간체는 분자 내 라디칼 짝지움 과정을 거쳐 새로운 고리화 반응물 10을 높은 수율로 생성시킴을 관찰하였다. (Scheme 2)

양성자성-극성용매 하에서는 전자전달-실릴기 전달 과정을 통한 고리화반응이 우세하게 관측되는 반면에 극성이 낮은 비 양성자성 (less polar-aprotic) 용매 하에서는 분자 내 수소원자 추출 (hydrogen atom abstraction) 과정이 경쟁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9-10

Scheme 1.

Scheme 2.

 

실 험

1H-NMR 스펙트라와 13C-NMR 스펙트라는 Varian Gemini 200 분광계(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화학적 이동은 내부표준물질로 넣은 테트라메틸실란(TMS)으로부터의 ppm으로 표시하였다. 광화학반응은 450W Hanovi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와 Pyrex filter 및 Vycor filter, quartz immersion well을 사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수행하였다. 유기용매는 무수 Na2SO4로 탈수시켰으며 용매는 감압 하에서 증류 제거하였다. 관 크로마토그래피는Merck silica gel 60을 사용하였고, 물질 분리를 위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preparative TLC)는 E-Merck silica gel PF254를 입힌 20cm X 20 cm판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N-Tributhylstannylmethyl) phthalimide, 14)의 합성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는 보고된 합성방법12을 따라 합성한 트리부틸스탄일메틸 요오드 (13)를 프탈이미드 칼륨염과 반응시켜 높은 수율 (84%)로 합성하였다. (Scheme 3)

Scheme 3.

생성물 14의 스펙트럼자료: 1H-NMR(CDCl3) 0.83 (t, 9H, J = 7.14, CH3), 0.92 (t, 6H, J = 8.06, SnCH2), 1.20-1.34 (m, 6H, CH2CH2CH2CH3), 1.40-1.56 (m, 6H, CH2CH2CH2CH3), 3.22 (s, 2H, CH2N), 7.64-7.67 (m, 2H, aromatic), 7.75-7.79 (m, 2H, aromatic); 13C-NMR(CDCl3) 10.2 (CH3), 13.8 (CH2-CH2CH2CH3), 21.0 (CH2N), 27.2 (SnCH2), 28.9 (CH2CH2CH2CH3), 122.5 and 133.5 (CH, aromatic), 132.4 (C, aromatic), 168.3 (C=O)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CH3CN용매 하에서의 광화학 반응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 (0.50 g, 1.11 mmol)를 200 mL CH3CN에 녹여 질소 기류 하에서 Pyrex 필터를 이용하여 22시간 동안 광화학반응을 수행하여 N-메틸프탈이미드 (4) 0.11 g (88%)을 얻었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친쌍극성체 메틸 아크릴레이트 (methylacrylate) 첨가하에서의 광화학 반응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 (0.50 g, 1.11 mmol)를 200 mL CH3CN에 녹이고, 메틸 아크릴레이트 (1.02 g, 11.8 mmol)를 첨가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Pyrex 필터를 이용하여 28시간, 33시간, 46시간 동안 광화학반응을 수행하여 각각 N-메틸프탈이미드 (4)를 0.10 g (58%), 0.76 g (42%), 0.52 g (32%) 수율로 얻었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아크리로니트릴 (acrylonitrile) 첨가하에서의 광화학 반응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 (0.50 g, 1.11 mmol)를 200 mL CH3CN에 녹이고, 아크리로니트릴(0.59 g, 11.1 mmol)를 첨가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Pyrex 필터를 이용하여 32시간 동안 광화학반응을 수행하여 N-메틸프탈이미드 (4) (0.58 g, 36%)를 얻었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와 비닐 아세테이트 (vinylacetate) 존재하에서의 광화학 반응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 (0.50 g, 1.11 mmol)를 200 mL CH3CN에녹이고, 비닐 아세테이트 (1.02 g, 11.8 mmol)를 첨가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Pyrex 필터를 이용하여 32시간 동안 광화학반응을 수행하여 N-메틸프탈이미드 (4) 0.61 g (38%)을 얻었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CH3CN-30% D2O 용매 하에서의 광화학 반응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 (50 mg)을 NMR 튜브에 넣고 CH3CN-30% D2O 용매하에서 Pyrex 필터를 이용하여 100시간 동안 광화학반응을 수행하여 메틸기에 중수소 한 원자가 치환된 생성물 d1-N-메틸프탈이미드 (4-d1)을 90%의 수율로 얻었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CD3CN-30% H2O 용매 하에서의 광화학 반응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 (50 mg)을 NMR 튜브에 넣고 CH3CN-30% D2O 용매하에서 Pyrex 필터를 이용하여 100시간 동안 광화학반응을 수행하여 N-메틸프탈이미드 (4)를 88%의 수율로 얻었다.

 

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는 우리들의 선행 연구를5,6 통해 관찰한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 (1)의 광화학반응에서 효율적으로 생성되는 아조메틴일리드 반응 중간체 (3)이 트리부틸스탄일 유도체에서도 효율적으로생성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를 보고된 합성방법12을 따라 합성한 트리부틸스탄일메틸 요오드 (13)를 프탈이미드 칼륨염과 반응시켜 높은 수율로 합성하였다. (Scheme 3) 합성한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을 아세토니트릴 용매 중에서 광화학 반응시켜 반응 중간체 아조메틴 일리드 (3)가 생성되어 최종적으로 양성자화-탈스탄일 (protodestannylation) 과정을 거쳐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N-메틸프탈이미드 (4)가 생성되는지를 관찰하였다. 이 광화학반응에서 예상되는 생성물 N-메틸프탈이미드 (4)가 매우 높은 수율 (88%)로 생성됨을 관찰하였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아세토니트릴 용매 중에서의 광화학 반응에서 예상되는 생성물 N-메틸프탈이미드 (4)가 매우 높은 수율로 생성됨은 이 반응에서도 실릴유도체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 (1)의 광화학 반응에서와 유사하게 트리부틸스탄일기의 탄소원자로부터 산소원자로의 전달과정을 거쳐 아조메틴 일리드 반응 중간체 (15)가 유사한 전자전달-스탄일기 이동 연속과정 (sequential SETdestannylationpathway)을 거쳐 효율적으로 생성됨을 보여주고 있다.(Scheme 4)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광화학 반응에서 예상되는 생성물 N-메틸프탈이미드 (4)가 높은 수율로 생성되고 따라서 이 반응에서도실릴유도체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 (1)의 광화학 반응에서와유사하게 연속과정 (sequential SET-destannylation pathway)을 거쳐 아조메틴 일리드 반응 중간체 (15)가 효율적으로 생성됨을 보여주고 있어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 (1)의 선행 연구에서와 유사하게 반응물 중에 첨가되어 존재하는 1,3-친쌍극체들 메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비닐 아세테이트 등에 의해 생성된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가 1,3-쌍극성 고리첨가반응을 거쳐 포획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실릴유도체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 (1)의 광화학 반응에서와 달리 생성된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 (15)는 첨가된 친쌍극체에 의해 포획되어 생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리화합물이 생성되지 않고 유일하게 용매 중에 소량으로 존재하는 물 분자에 의해 생성되는 N-메틸프탈이미드 (4)만이 유일한 생성물로 32~58%로 생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이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광화학 반응에서 생성되는 트리부틸스탄일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 (15)는 산소원자에 부피가 매우 큰 트리부틸스탄일기를 가지고 있어 친쌍극체와 1,3-쌍극성 고리화첨가 반응할때에 나타나는 전이상태에서 매우 증가된 입체장애로 인한 많은 에너지의 증가를 가지고 와서 고리화첨가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 생성된 트리부틸스탄일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 (15)가 첨가된 친쌍극체들에 의해 포획되지 않아 친쌍극체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첨가된 농도를 변화시키고 또한 반응시간을 연장하여 반응시켜 조사하였으나 고리첨가 생성물 (16)의 생성을 관찰하지 못하였고 N-메틸프탈이미드 (4)만이 유일한 생성물로 생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Scheme 4.

이와 같이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 (14)의 광화학 반응에서 생성된 트리부틸스탄일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 (15)가 산소원자에 존재하는 부피가 큰 트리부틸스탄일기의 입체장애로 인해 반응물에 첨가된 친쌍극체들에 의해 포획되지 않고 N-메틸프탈이미드 (4)만이 유일한 생성물로 생성되는 것을 관찰하여 트리부틸스탄일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 (15)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수소원자를 가진 D2O를 포함하는 CH3N-D2O혼합용매에서 광화학반응을 수행하여 생성된 트리부틸 아조메틴일리드 중간체가 중수소 양성자에 의해 포획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메틸기의 수소원자 하나가 중수소로 치환된 중수소치환 N-메틸프탈이미드 (4-d1)가 90%의 수율로 얻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Scheme 4) 이와 같이 D2O를 포함하는 CH3CND2O 혼합용매에서의 광화학반응에서 얻은 결과는 N-(트리부틸스탄일)틸프탈이미드 (14)의 광화학 반응에서 트리부틸스탄일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 (15)가 효율적로 생성되고 D2O에 의해 효율적으로 포획되는 것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더불어 이 실험에서 생성된 중수소치환 N-메틸프탈이미드 (4-d1)가 트리부틸스탄일 아조메틴 일리드 중간체의 중수소양성자-탈스탄일화 과정(deutrodestannylation pathway)를 거쳐 생성되고 다른 경로를 통해 생성되지 않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중수소원자 공급원을 가진 CD3CN를 포함하는 CD3CN-H2O혼합용매 하에서 광화학 반응을 수행하여 그 반응에서 생성되는 생성물 N-메틸프탈이미드에 중수소원자가 치환되어 존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예상과 같이 이 반응에서는생성된 N-메틸프탈이미드는 중수소원자가 치환되지 않은 N-메틸프탈이미드는 (4)가 88% 의 수율로 생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 론

이 연구에서는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의 광화학 반응에서 관찰한 아조메틴 일리드 반응 중간체 생성 과정과 유사하게 트리부틸스탄일 유도체 N- (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의 광화학반응에서도 생성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의 광화학반응을 연구하였다.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의 CH3CN용매에서의 광화학 반응에서 N-메틸프탈이미드 생성물이 높은 수율로 생성되며 이러한 반응 결과는 실릴 유도체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의 반응에서와 유사하게 전자전달-스타일기 이동과정을 거쳐 트리부틸 아조메틴 일리드 반응 중간체가 효율적으로 생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생성된 트리부틸 아조메틴 일리드 반응 중간체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해 N-(트리부틸스탄일)메틸프탈이미드를 D2O-CH3CN에서 광화학 반응시켜 생성된 N-메틸프탈이미드에 한 개의 중수소원자가 치환되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는 이 광화학 반응에서도매우 효율적으로 아조메틴일리드 반응 중간체가 생성되는 것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그러나 이 반응에서 생성된 트리부틸스탄일 일리드 중간체는 스탄일기가 가지는 큰 입체장애 때문에 N-(트리메틸실릴)메틸프탈이미드의 반응에서와 달리 첨가된 메틸 아크릴레이트나 아크릴로 니트릴과 같은 친쌍극체(dipolarophile)에 의해 포획되지 않았다.

References

  1. Kanaoka, Y. Acc. Chem. Res. 1978, 11, 407 https://doi.org/10.1021/ar50131a002
  2. Colye, J. D. In Synthetic Organic Photochemistry Horspool, W. M. Ed.; Plenum Press: New York, U. S. A., 1984; p 259
  3. Mazzocchi, P. H. In Organic Photochemistry Padwa, A. Ed.; Marcel Dekker: New York, U. S. A., 1981; Vol. 5, p 421
  4. Yoon, U. C.; Mariano, P. S. In Organic Photochemistry and Photophysics Ramamurthy, V.; Schanze, K. Ed.; CRC Press,Talyor & Francis, Boca Raton, FL. U. S. A., 2006; p 179
  5. Yoon, U. C.; Mariano, P. S. In CRC Handbook of Organic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2nd Edition Ramamurthy, V.; Schanze, K. Ed.; CRC Press, Talyor &Boca Raton, FL. U. S. A.,2003; Vol. 85,p 1
  6. Yoon, U. C. Mariano, P. S. Acc. Chem. Res. 2001, 34(7), 523 https://doi.org/10.1021/ar010004o
  7. Yoon, U. C. Jin, Y. X.; Oh, S.W.; Cho, D. W.; Park, K. H.; Mariano, P. S. J. Photochem. Photobiol. A :. 2002, 150, 77 https://doi.org/10.1016/S1010-6030(02)00032-1
  8. Yoon, U. C Oh, S. W.; Lee, J. H.; Park, J. H.; Kang, K. T.; Mariano, P. S., J. Org. Chem. 2001, 66(3), 939 https://doi.org/10.1021/jo001457u
  9. Yoon, U. C.; Jin, Y. X.; Oh, S. W.; Park, C. H.; Park, J. H.; Campana, C. F. Cai, X.; Duesler, E. N. Mariano, P. S. J. Am. Chem. Soc. 2003, 125(35), 10664 https://doi.org/10.1021/ja030297b
  10. Yoon, U. C.; Kwon, H. C.; Hyung, T. G.; Choi, K. H.; Oh, S. W.;Yang, S.; Zhao, Z.; Mariano, P. S. J. Am. Chem. Soc. 2004, 126(4), 1110 https://doi.org/10.1021/ja0305712
  11. Cho, D. W. Choi, J. H. Oh, S. W. Quan, C. Yoon, U. C. Wang, R. Yang, S. Mariano, P. S. J. Am. Chem. Soc. 2008, 130(7), 2276 https://doi.org/10.1021/ja076846l
  12. Yoon, U. C. Oh, S. W. Lee, C. W. Heterocycles 1995, 41(12), 2665 https://doi.org/10.3987/COM-95-7029
  13. Wang, R. Zhao, Z. Mariano, P. S.; Choi, K. H. Kim, S. H. Yoon, U. C. J. Photochem. Photobiol. A: Chem. 2005, 175(2-3), 232 https://doi.org/10.1016/j.jphotochem.2005.05.005
  14. Yoon, U. C.; Jin, Y. X.; Oh, S.W.; Cho, D. W.; Park, K. H.; Mariano, P. S. J. Photochem. Photobiol. A :. 2002, 150, 77 https://doi.org/10.1016/S1010-6030(02)00032-1
  15. Maeda, H.; Tierney, D. L. Mariano, P. S. Banerjee, M.; Cho, D. W.; Yoon, U. C. Tetrahedron 2008, 64(22), 5268 https://doi.org/10.1016/j.tet.2008.03.031
  16. Yoon,U. C. Kim, D. U. Kim, J. C. Lee, J. G. Mariano, P. S. Lee, Y. J. and Ammon, H. L. Tetrahedron Lett. 1993, 34, 5859 https://doi.org/10.1016/S0040-4039(00)73798-1
  17. Yoon,U. C. Kim, D. U. Lee, C. W. Choi, Y. S. Lee, Y. J. Ammon, H. L. Mariano, P. S. J. Am. Chem. Soc. 1995, 117, 2698 https://doi.org/10.1021/ja00115a004
  18. Yoon, U. C. Cho, S. J. Lee, Y. J. Mancheno, M. J. Mariano, P. S. J. Org. Chem. 1995, 60(8), 2353 https://doi.org/10.1021/jo00113a012
  19. Lee, Y. J.; Lee, C. P. Jeon, Y. T. Mariano, P. S. Yoon, U. C. Tetrahedron Lett. 1993, 34, 5855 https://doi.org/10.1016/S0040-4039(00)73797-X
  20. Lee, Y. J. Ling, R. Mariano, P. S. Yoon, U. C. Kim, D. U. Oh, S. W., J. Org. Chem. 1996, 61(10), 3304-3314 https://doi.org/10.1021/jo9522623
  21. Yoon, U. C. Oh, S. W. Lee, S. M. Cho, S. J. Gamlin, J. Mariano, P. S., J. Org. Chem. 1999, 64(12), 4411-4418 https://doi.org/10.1021/jo990087a
  22. Yoon, U. C. Oh, S. W. Mancheno, M. Su, Z. Falvey, D. F. Mariano, P. S., J. Am. Chem. Soc. 1999, 121 (16), 3926-3932 https://doi.org/10.1021/ja9841862
  23. Davis, D. D.; Chambers, R. L.; Johnson, H. T., J. Organomet. Chem. 1970, 25, C13 https://doi.org/10.1016/S0022-328X(00)861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