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Volume 41 Issue 1
- /
- Pages.79-97
- /
- 2008
- /
- 3022-8085(pISSN)
DOI QR Code
A Study on Stone Figures of the Goryo Royal Tomb Placed in Ganghwado
강화 고려왕릉의 석물 연구
- Han, Na La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한나래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08.08.25
- Accepted : 2008.10.10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Since now, the study on the Goryo royal tomb has been insufficient because of the realistic restriction. Goryo royal tombs are mostly located in Gae-sung, the capital of the Goryo Dynasty and we don't have possibility to see them actually. And also the Study on stone figures which has been closely related with the structures of the royal tomb has limited in Unified Silla and the Choson Dynasty period. So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Stone figures of the royal tomb in Gangdo period with the target on five Goryo royal tombs of that period.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oyal tomb system in Gangdo period was more streamlined than that of the previous period. For example, facilities such as the railing stone or a folding screen stone were simplified. And sculpture Came to be smaller than after that perial. Also Icon of sculpture changed. It is presumed that this change was because of the anxious situation of Gangdo period with politic and social.
고려왕릉은 대부분 개성에 위치하여 실견할 수 없다는 현실적 제약 때문에 연구가 미흡하였다. 또한 왕릉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석물에 대한 연구도 통일신라 및 조선시대에 국한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강화도 소재 고려왕릉 5기를 대상으로 축조배경과 현황, 석실구조를 살펴본 다음, 강도시기 왕릉관련 석물의 구조적 도상적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강도시기 석물의 특징으로는 구조의 간소화와 규모의 축소를 들 수 있다. 난간석 및 병풍석 등의 시설은 구조적으로 간소화되고 석인상의 크기는 이후 시기에 비해 두드러지게 작다. 또한 도상에 있어서도 석양의 채용 등 일정한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정치 사회적으로 불안한 강도시기의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