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Effect to Attachment to Family-of-origin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on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및 심리적 독립심 지각과 신혼기 결혼적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임유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가족복지) ;
  • 박정윤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김양희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ts, which has effect on the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analyzing attachment to par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newly.wedded marital adjust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explored the relationships influences among these influences thing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6 in the newly-wedded couples with less than 5 years since of marriag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marital adjustment according to attachment to parents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stable attachment to parents showed the more a smoother adjustment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spouses after marriag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marital adjustment according to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indicated that, the higher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showed the related to higher marital adjust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말숙(2003). 성 상담 프로그램이 신혼기 여성의 성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은령(1989).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 강차연.박경(2001). 대학생들의 애착과 진로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51-69
  4. 권정란.이인수(2006).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 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35-56
  5. 고정애(2004). 기혼 여성의 성 만족 및 일반적 의사소통과 성관련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득성(1986). Spanier의 결혼 적응 척도에 관한 연구(I). 부산대 가정대학연구보고, 12, 55-73
  7. 김소라(2004). 부모 애착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소영(2003). 개인특성 및 의사소통에 따른 부부 적응관계 연구: 자아존중감, 정서안정성 및 의사소통 유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숙령(1997). 영유아기의 탁아경험과 유아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사회 정서적 문제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8(2), 5-18
  10. 김임영(2002). 남편과 아내의 가치관이 신혼기 부부의 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진영(2005). 기혼여성의 성행동 및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태현.김경자(2004). 기혼 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6(1), 3-35
  13. 김혜선(1992). 배우자선택과 결혼적응도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현정(1999).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주시 결혼초기부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재(2007). 원가족 규칙과 분화 및 양성평등의식이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효정(2003). 기독교인의 부부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신혼부부 갈등해결 방식에 미치는 효과.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영애(2004). 결혼초기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방현주(2002). 결혼초기 부부를 위한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배미자(2003). 부부갈등대처 및 용서와 결혼만족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병숙.정해은(1994). 배우자 선택과 결혼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연구 12, 209-227
  21. 여성한국사회연구회(1992). 한국 가정의 부부관계.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22. 이준엽(1995). 심리적 독립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현희(2002).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방식이 결혼생활 적응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춘미(2001).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정윤경(2004). 부부갈등이 성인초기 자녀의 이성과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기개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전영주(2002). 한국 성인초기 미혼남성의 원가족 요인이 불안을 매개로 낭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1), 207-221
  28. 정미영(2002). 부부의사소통 기술훈련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V.Satir의 의사소통 가족치료이론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유리(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은수(2007).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이 결혼관 및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은희(2004). 원가족 분화, 자아존중감과 부부 갈등 대처방식에 따른 결혼안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정숙(1994). 자아 정체감과 독립성 및 애착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진희경(1998). 부모에 대한 애착과 성역할 정체감 및 결혼만족도의 상관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유경(2002). 결혼 초기 부부의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안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최주희(2000).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결혼적응 연구: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통계청(200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서울: 통계청
  37. 한미향(1999). 부부의 자기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허순례(2004). 크리스천 결혼 초기 부부의 관계 증진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개발: 언어를 중심으로. 복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허윤희(2004).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Ainsworth, M. D. S.(1972). Attachment and Dependency: A Comparison, Attachment and Dependency, ed. J. L. Gewritz, Washinton, D. C.: V. H. Winston
  41. Armsden, G. C., & Greenberg, M. T.(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rences. Journal of Youth Adolescenec, 16, 427-454 https://doi.org/10.1007/BF02202939
  42. Beyers, W., & Goossens, L.(2003).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8, 363-382 https://doi.org/10.1177/0743558403018004003
  43. Bowen, M.(1978). Family Therapy and Clinical Practice. N.Y.: Aronson
  44. Cunnington, B. D.(1991). The relationship of origin and one's achievement of personal authority in the family system to one's current marital adjustment. University of Toronto.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3(8), 26-27
  45. Forrest, M.(1991). Family of origin emotional health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University of Arkansa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3(8), 26-28
  46. Hill, J. P., & Holmbeck, G. N.(1986). Attachment and Autonomy during Adolescence, Annals of Child Development, 3, 145-189
  47. Josselson, R.(1988). The embedded self: I and trou revisited. in D. K. Lapsey & F. C. Clark (Eds.), Self, ego and identity: Integrative approaches. N.Y.
  48. Minuchin, S.(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9. Moore, D.(1987). Parent-Adolescent Seperation: the Construction of Adulthood by Late Adolesc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3(2), 298-307 https://doi.org/10.1037/0012-1649.23.2.298
  50. Skowron, E. A., & Friedlander, M. L.(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3), 235-246 https://doi.org/10.1037/0022-0167.45.3.235
  51. Spanier, G. B., & Cole, C. L.(1976). Toward clar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marital adju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6, 121-146
  52. Stinnett, N., Walters, J., & Kaye, J. E.(1984). Relationships in Marriage and the Family. N.Y.: Macmillan
  53. Sullivan, K., & Sullivan, A.(1980). Adolescent-parent separ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6(2), 93-99 https://doi.org/10.1037/0012-1649.16.2.93
  54. Wells, J.(1984). Choices in Marriage & Family. Jackson: Piedmont Press, Inc.
  55. Wilcoxon, S. A., & Hovestadt, A. J.(1983). Perceived health and similarity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as predictors of dyadic adjustment for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9, 431-434 https://doi.org/10.1111/j.1752-0606.1983.tb0153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