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R&D 투자 및 정부, 민간 R&D 투자와 국민소득간의 상호 인과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Granger Causality between GDP and R&D Investments in Government, Private, Defense Sectors

  • 이진우 (제1기갑여단 15전차대대 작전과) ;
  • 권오성 (국방대학교 국방관리학부)
  • 발행 : 2008.04.30

초록

R&D 투자와 경제성장간의 관계에 대한 많은 기존 논의들은 R&D 투자가 경제성장에 대해 강한 양(+)의 관계가 존재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투자와 성장사이의 강한 결합관계가 반드시 일방적 인과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과관계의 방향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급변하는 안보환경 속에서 국방 R&D 투자가 증대되고 있음을 고려해 볼 때 국방 R&D 투자와 타 부문 R&D 투자 및 경제성장과의 결합관계에 대한 논의에 앞서 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나, 현재까지 국방 R&D 투자와 타 부문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한 실적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방 R&D 투자와 다른 변수들과의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국방 R&D 투자정책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논문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desirable R&D policies in defense area by analyzing causality between GDP and R&D investments in government, private, defense sectors. We have five variables which are composed of GDP, total R&D investment, R&D investments in government, private and defense sectors to figure out the causality between R&D investment in defense sector and other components. In the course of analysis on causality, we took the unit root test of variables to prevent spurious regression. Also we need to take cointegration test about non-stationary variables before the causality test. According to these test results, we took the causality test using ECM(Error Correction Model) for the models which have cointegrating relations. And we took ordinary Granger causality test for model which doesn't have a long-run stationary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causality test, it was shown that there exists the long-nu causality to GDP and R&D investments i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from other variables. However, there doesn't exist the causality to defense R&D investment from other variables. We found that there doesn't exist the causality between R&D investments in defense and private sectors, and that they are independ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세흥. 임수진. 손소영, 국내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간의 인가관계, 기술혁신연구, 제10권, 제1호, 2002
  2. 최상곤, 국방비 지출, 외국인 직접투자, 경제성장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방대학교, 2004
  3. 과학기술부 보도자료, www.most.go.kr, 2007.2.1
  4. 국정홍보처 국정브리핑 뉴스, www.korea.kr. 2007.4.30
  5. 박주현. 안병성. 강한구, 국방 연구개발 투자의 경제적 효과, 국방정책연구, 제62호, 2003년 겨울
  6. 이재억. 최돈오, 국방예산절감액 기준으로 본 국방연구개발 투자의 경제적 효과, 국방과 기술, 제331호, 2006. 9
  7. 국가통계포털 GDP 및 재원별 연구개발비 통계자료, www.kosis.kr/index.html, 2007. 7. 4
  8. 국방부, 국방백서, 2006
  9. 김선근. 오완근, 정부의 민간의 R&D 투자 및 국민소득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 . 미 . 일 국제비교, 기술혁신학회지, 제7권 제2호, 2004
  10. 이종원, 계량경제학, 박영사, 1994
  11. C. R. Nelson and C. I. Plosser, "Trends and Walks in Macroeconomic Time Series: Some Evidence and Implication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 10, 1982
  12. C. W. J. Granger and P. Newblod, "Spurious Regressions in Econometrics," Journal of Econometrics, Vol. 2, 1974
  13. P. C. B. Phillips, "Understanding Spurious Regressions in Econometrics," Journal of Econometrics, Vol. 33. 1986
  14. 송일호. 정우수, SAS와 EVIEWS를 이용한 계량경제 실증분석, 삼영사, 2002
  15. G. W. Schwert, "Tests for Unit Roots: A Monte Carlo Investigation,"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 Statistics, Vol. 7, 1989
  16. P. C. B. Phillips and P. Perron, "Testing for a Unit Root in Time Series Regression," Biometrics, Vol. 75, No.2, 1988
  17. 유승훈, '정부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의 인과관계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11권, 제2호, 2003
  18. C. A Sims, "Macroeconomics and Reality," Econometrica, Vol. 48, 1980
  19. 김명직 . 장국현, 금융시계열분석, 제2판, 경문사, 2002
  20. H Y. Toda and P. C. B. Phillips, "Vector Autoregressions and Causality," Econometrica, Vol. 61, 1993
  21. R. F. Engle and C. W. J. Granger,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Vol. 55, 1987
  22. Quantitative Micro Software, EViews 4 User's Guide,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