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ritical Study on Ideology and Reality of Silmido

영화 [실미도]의 이데올로기와 리얼리티에 대한 비판적 고찰

  • Published : 2008.07.28

Abstract

Silmido [실미도 2003] captures the covered historical reality and describes the spectacular training process of the special army stationed at Silmido in vivid detail. As a result, a fictional space is turned into a reality film. The film shows ideological inconsistency of the critical view about the fascism of government authority and at the same time the political aid about government authority. The film creates dramatic and friendly effect through melodramatic and emotional exaggeration called sinpa about historical events to produce the pleasure of assimilation based on the trust of the audience. Here, individual assimilation is subjectivity achieved through the general sympathy coming from the tragic national discourse. Silmido appeals to the imaginary community not in a logical but in an emotional way. The spectacular action and realistic images are supported by national tragedy divided into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nd integrated sentimentalism to amplify the tragedy. Silmido tries to strengthen the tragic situation caused by the division ideology through this sentimentalism called sinpa. In contrast to the brutality of the relentless military regime, the sacrifice of good-hearted Silmido force members is heroically portrayed.

영화 [실미도](2003)는 은폐되었던 역사적 사실을 폭로하면서 실미도에서 행해진 특수부대의 훈련 과정을 스펙타클하게 묘사한다. 말하자면 영화라는 허구적 공간이 사실적으로 변모된다. 영화는 파쇼적인 정부에 대해 비판적 시각과 함께 정부의 권위를 보호하는 이데올로기적 모순을 노출시킨다. 또한 영화는 이런 역사적 사건을 재현하는데 있어서 신파와 같은 멜로적 표현에 의한 감성적 과잉으로 묘사한다. 여기서 관객의 동화작용은 비극적 민족 담론으로부터 파생되는 감정 이입으로 성취된다. [실미도]는 이성적 차원이 아닌 감성적 차원에서 상상의 공동체라는 민족의식에 호소하는 영화이다. 시각적 영상은 남과 북으로 나뉜 민족적 비극이라는 감상주의에 의해 더욱 고조된다. [실미도]는 신파적인 감상주의를 통해 분단 이데올로기에 의해 야기된 비극적 상황을 더욱 심화시킨다. 더구나 이 비극에서 군사정부는 야만적으로 묘사되는데 비해 실미도 부대원들은 영웅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B. Homi,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p.86, 1994.
  2. B. Homi,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p.241., 1994.
  3. "한국영화의 미학 탐구: 탈식민주의 문화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1호, pp.45-55, 2006.
  4. 드레피스 라비노우, 미셸 푸코, 서우석, 구조주의와 해석학을 넘어서, 나남 출판, pp.206-207, 1996,
  5. Barthes and Roland, Image-Music-Text, translated by Stephen Heath, Hill and Wang(New York), pp.17-19, 1977,
  6.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김수진, 현대 영화 이론의 궤적, 한나래, p.139, 1999.
  7.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김수진, 현대 영화 이론의 궤적, 한나래, p.140, 1999.
  8. 이효인, "신파적 멜로드라마의 근대성에 대해:[미워도 다시 한 번]다시 보기", 영화평론(제7호), pp.140-141, 1995.
  9. 최길성, 한국인의 한, 예전사, p.14, 1991.
  10. 이효인, "신파적 멜로드라마의 근대성에 대해:[미워도 다시 한 번]다시 보기", 영화평론(제7호), pp.140-141,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