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an Authoring Tool for Tangible user Interface

실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XML 기반 저작도구의 구현

  • 서진석 (동의대학교 게임공학과) ;
  • 김준호 (동의대학교 게임공학과) ;
  • 권덕중 (동의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
  • 김홍준 (동의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
  • 오세웅 (동의대학교 게임공학과) ;
  • 김정현 (고려대학교 컴퓨터통신공학부) ;
  • 김창헌 (고려대학교 컴퓨터통신공학부)
  • Published : 2008.07.28

Abstrac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action for tangible user interfaces require in-depth knowledge in many different disciplines, such as device control, sensing and calibrating devices, interaction design, low-level programming, and performance tuning. Many trial and error iteration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proper combination of the interaction techniques while using available interaction devices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s a result, it takes too much effort and time to achieve maximum usability. This paper introduces a tangible user-interface platform, which is fabricated using various hardware devices and an XML-based authoring tool, which is developed in order to relieve content creators of the burden of the above difficulties. Finally, we demonstrate our work by illustrating some example contents.

실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상호작용을 디자인하고 구현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제어, 입력 데이터의 센싱과 보정, 상호작용 디자인, 로우레벨 프로그래밍, 성능 최적화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필요하다. 게다가, 주어진 상호작용 장치와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 기법을 적절하게 선택 및 조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기 때문에, 최상의 사용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다양한 장치를 조합하여 제작된 실감형 상호작용 플랫폼을 소개하고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실감형 상호작용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XML 기반의 저작도구를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몇 개의 예시 콘텐츠를 통하여 연구결과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재희, "유비쿼터스 시대 디자인의 새로운 인터페이스 변화에 관한 연구 -실체적 인터페이스(Tangible User Interface)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2권, 제1호, pp.59-70, 2006.
  2. 최면영, 임창영, "실체적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 -텐저블즈의 설계 및 프로토타입구현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제17권, 제2호, pp.5-14, 2004.
  3. R. M. Taylor II, T. C. Hudson, A. Seeger, H. Weber, J. Juliano, and A. T. Helser, "VRPN: a device-independent, network-transparent VR peripheral system," Proceedings of the ACM symposium on Virtual reality software and technology, pp.55-61, 2001. https://doi.org/10.1145/505008.505019
  4. http://www.cs.unc.edu/Research/vrpn/
  5. J. Willians and M. M. Harrison, "A toolset supported approach for designing and testing virtual environment interaction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55, No.2, pp.145-165, 2000. https://doi.org/10.1006/ijhc.2001.0474
  6. K. L. Ko, H. S. Ng, D. M. Grant, and J. Trecat, "Extended Petri net models for fault diagnosis for substation automation," IEE Proceeddings of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Vol.146, No.3, pp.229-234, 1999. https://doi.org/10.1049/ip-gtd:19990071
  7. P. Figueroa, M. Green, and H. J. Hoover, "InTml: a description language for VR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3D Web technology, pp.53-58, 2002. https://doi.org/10.1145/504502.504511
  8. http://carl.kenner.googlepages.com/glovepie
  9. G. A. Lee, C. Nelles, M. Billinghurst, and G. J. Kim, "Immersive Authoring of Tangib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Proceedings of IEEE and 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pp.172-181, 2004. https://doi.org/10.1109/ISMAR.2004.34
  10. A. Cypher, "Watch what I do: programming by demonstration," MIT Press, 1993.
  11. J. Seo, "A structured methodology for virtual reality systems development and interactive support tools," PhD thesis, Postech, 2005.
  12. D. Harel, "STATEMATE: A working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complex reactive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Vol.16, No.4, pp.403-414, 1990. https://doi.org/10.1109/32.54292
  13. http://www.hitl.washington.edu/artoolkit/
  14. 이건, 서진석, 김정현, "컴포넌트 기반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가상객체의 재사용 기법", 디지털엔터테인먼트학회논문지, 제1권, 제1호, pp.33-3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