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현장 도로평가장비를 이용한 입상재료층의 비선형 재료상수 추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Nonlinearity Parameter in Unbound Material for Asphalt Concrete Pavement using Field-NDT Equipment

  • 서주원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
  • 최준성 (인덕대학 건설환경설계과) ;
  • 김수일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투고 : 2006.11.08
  • 심사 : 2008.01.17
  • 발행 : 2008.03.31

초록

국내의 경우 도로포장설계시 외국의 설계법을 단순히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건설재료, 기후 및 교통조건 등이 외국과 상이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제한성이 있다. 특히, 국내 포장구조해석에서 아스팔트층 거동특성만을 중요시하는 해석은 포장구조체가 각 층의 영향을 받는 종합적인 거동특성을 보인다는 포장구조체 시스템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도로포장 설계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포장구조체의 해석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하부의 다층구조로서의 역학적 거동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하여 비파괴 시험장비인 FWD(Falling Weight Deflectometer) 를 이용하여 층 재료 자체의 성질을 대변하는 모델 중 포장하부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한 비선형 탄성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복잡한 실험을 통해 얻게되는 비선형탄성모델의 구성인자인 재료상수를 FWD 시험자료로부터 직접 추정하는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FWD 시험의 비선형성을 고찰하고, 실내 $M_R$ 시험을 통해 결정되는 재료상수를 현장에서 수집된 FWD 자료로부터 추정하는 체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체계로부터 추정된 재료상수는 실내시험을 통해 제안된 국내 보조기층의 재료상수 범위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WD 를 이용한 비선형모델 적용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깊이별 처짐 측정장비인 MDD(Multi-Depth Deflectometer) 현장시험자료를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선형탄성모델을 적용한 방법이 기존의 선형탄성모델보다 실제 MDD 실측값에 더 가까운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which models are more suitable for representing mechanical property of unbound materials to analyze behavior of asphalt pavement structure. Results from FWD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test were used to apply to nonlinear elastic model. The new method which can deduct material constants of nonlinear elastic model is suggested from FWD test data rather than laboratory resilient modulus ($M_R$) test. It is confirmed that the material constants are within the common range in subbase. Test output from FWD and MDD (Multi-Depth Deflectometer) was used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model. From the results of verification, this study shows that a non-linear elastic model agrees to MDD test data more than a linear elastic model doe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1988) AASHTO 도로포장 구조설계 지침서, 건설교통부
  2. 건설교통부(2000) 도로설계편람, 건설교통부
  3. 권기철(2000) 국내 노상토의 회복탄성계수에 대한 구성모델,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3-D호, pp. 301-310
  4. 권기철, 김동수, 송무효(1999) 국내 노상토 및 보조기층 재료의 탄성계수 특성,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V), 대한토목학회, pp. 133-136
  5. 이경하, 이광호, 전몽각, 유충식(1996) 아스팔트 혼합물의 회복탄성계수 추정모델 개발,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대한토목학회, pp. 5-8
  6. 이석근(1995) FWD 및 MDD 시험을 이용한 포장거동모델의 검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5권 제2호, pp. 267-281
  7. 최준성(1998) 동적표면처짐의 의사정적해석에 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구조체의 물성추정,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8. 최준성, 서주원(2003) 아스팔트 포장하부구조 층모델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포장공학회 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5권 4호, pp 13-22
  9. 한국도로공사(1997) 노상토 및 보조기층 재료의 대체 Mr 시험법 개발에 관한 연구(III), 도로연 97-59-20
  10. Uzan, J. (1985) Characterization of granular material, analysis and testing of granular base and subbas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RR 1022, TRB, Washington, D.C., pp. 52-59
  11. Witczak, M. W., Qi, X., and Mirza, M. W. (1995) Use of nonlinear subgrade modulus in AASHTO design procedure,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1, No. 3, pp. 273-282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1995)121: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