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규모 도시유역의 홍수예보를 위한 수리.수문 모형의 연계

Connection of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s for Flood Forecasting in a Large Urban Watershed

  • 윤성심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최철관 ((주)방재안전기술원) ;
  • 배덕효 (세종대학교 물자원연구소.토목환경공학과)
  • 발행 : 2008.09.02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하수관망과 하천을 포함하는 복잡한 토지이용으로 구성된 도시유역으로서는 비교적 유역면적이 큰 유역의 홍수예보모형으로 수문모형과 수리모형을 연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유역면적이 약 $300km^2$에 해당하는 중랑천 유역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수문모형으로는 SWMM과 수리모형으로서는 HEC-RAS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적용대상유역인 중랑천 유역은 25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다. SWMM모형은 각 소배수구역의 지표흐름 및 하수관망 흐름 해석을 수행하며, HEC-RAS 모형은 하천에서의 부정류 흐름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 각 모형의 입출력과 모형의 원활한 연계운영 및 효과적인 결과 표출을 위하여 GUI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적용대상지역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모형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또한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적용대상지역의 주요 두 지점에 대해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상관계수는 0.82-0.98, 모형 효율성 계수는 0.60-0.92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맨홀의 초과유출과 하천 종 횡 단면의 수면곡선으로 맨홀 월류로 인한 내수침수 및 하천저수호안의 예측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중규모 이상 대규모 도시유역의 홍수예보 수문모형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pose a system for combined use of a hydrologic and a hydraulic model for urban flood forecast model and to evaluate the system on the $300km^2$ Jungrang urban watershed area, which is relatively large area as an urban watershed and consequently composed of very complex drainage pipes and streams with different land uses. In this study, SWMM for hydrologic model and HEC-RAS for hydraulic model are used and the study area is divided into 25 subbasins. The SWMM model is used for sewer drainage analysis within each subbasin, while HEC-RAS for unstready flow analysis in the channel streams. Also, this study develops a GUI system composed of mean areal precipitation input component, hydrologic runoff analysis component, stream channel routing component, and graphical representation of model output. The proposed system was calibrated for the model parameters and verified for the model applicability by using the observation data.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flows at the 2 important locations were ranged on 0.83-0.98, while the coefficients of model efficiency on 0.60-0.92 for the verification periods. This study also provided the possibilities of manhole overflows and channel bank inundation through the calculated water profile of longitudinal and channel sections, respective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as a surface runoff and channel routing models for urban flood forecast over the large watershed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충수 (2001). 도시유출 모의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배덕효, 김형섭, 이종태, 김이현 (2007). 중랑천 시험유역 수문자료집 2006,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단 FFC05-05
  3. 신현석, 박용운, 홍일표 (2007). "미계측 해안 도시 유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방법 검토 - 부산시온천천 유역 대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6호, pp. 447-458 https://doi.org/10.3741/JKWRA.2007.40.6.447
  4. 서울특별시 (2000). 중랑천 하천정비 기본계획(안)
  5. 서울특별시 (2002). 01' 수해백서
  6. 한건연, 안기홍, 김병현, 김극수, 박홍성, 백진규, 이용신 (2006). "Advanced HEC-RAS." 제15회 수공학웍샵 교재, 한국수자원학회, pp. 3-151
  7. 행정자치부 (2000). 지적통계 연보
  8. Andrysiak P.B., and Maidment D.R. (2000). Visual Floodplain Modeling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Center for Research in Water Resources, InterSys, River-Tools Visual 2.0 Manual
  9. Huber, W.C., and Dickinson, R.E. (1988). Stormwater management model, Version 4: User's manual Ver. 2.1. U.S. Army Corps of Engineers, Computer Program 723-S8-L7520
  10. Knebl M.R., Yang Z.L., Hutchison K., and Maidment D.R. (2005). "Regional scale flood modeling using NEXRAD rainfall, GIS, and HEC-HMS/RAS: a case study for the San Antonio River Basin Summer 2002 storm event."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75, pp. 325-336 https://doi.org/10.1016/j.jenvman.2004.11.024
  11. Liong S.Y., Chan W.T., and Ram J.S. (1995). "Peak-flow forecasting with genetic and SWMM."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ume 121, Issue 8, pp. 613-617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5)121:8(613)
  12. Maitland, D., Phillips, B.C., Goyen, A.G., and Thompson, G.R. (1999). "Integrated modelling of urban drainage systems using XP-SWMM32."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Storm Drainage, p. 1
  13. Refsgaard J.C., Havno K., Ammentorp H.C., and Verwey A. (2003). "Application of hydrological models for flood forecasting and flood control in India and Bangladesh."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11, Issue 2, pp. 101-105 https://doi.org/10.1016/0309-1708(88)90043-7
  14. Smemoe C., Nelson. J., and Zundel A. (2004). "Risk analysis using spatial data in flood damage reduction studies." World Water Congress 2004, p.1

피인용 문헌

  1. Mapping Inundation Areas Using SWMM vol.33, pp.5, 2015, https://doi.org/10.7848/ksgpc.2015.33.5.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