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an analysis in Pursuit of Better Design Education

디자인 교육 강화를 위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연구

  • Kim, Mi-Hyun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8.07.30

Abstract

In today's college curriculum, fashion illustration courses are regarded as fundamental sources of knowledge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fine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examine current curricula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fashion illustration courses offered by domestic fashion-related universities and academic institutions, in order to help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tertiary level fash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 sugges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ly, university courses should focus on drawing-centered fundamental education. Secondly, design education linked to fashion illustr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irdly, creativity-boosting design education is necessary. The range of curricula that could foster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professionals should be enlarged, and future education should place emphasis on lateral and creative thin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curriculum in fashion-related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곽영권 (2003). 일러스트레이션 전공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연구. 디자인학연구. 56(2). pp. 123-134
  2. 구양숙, 김정원, 박경애, 박광희, 추태귀(1999) 4년제 대학의 패션관련학과 교과과정 비교 분석 :한국, 미국, 영국, 일본, 홍콩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11). 19-32
  3. 권윤경(2005). 4년제 대학의 시각디자인 관련학과의 교육과 정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 6, No. 4. 151-157
  4. 김성곤, 정철종(2005). 디지털 게임 디자인학과 교육 커리큘 럼 편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 6, No. 2. 15-23
  5. 김순자 (2000). 변화하는 세계를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 디자인 연구. 9. 1-15
  6. 김이영, 박민여 (2005). 실기 중심 의상 디자인 교과 원격교 육 도입방안 연구-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을 중심 으로-. 복식. 55(3). 150-163
  7. 도규희, 최경, 이정옥, 조차(1994). 복식 산업 발전을 위한 패 션전문 교육에 관한 연구. 복식. 23(0). 225-248
  8. 박숙희(2002). 교육방법 및 교육 공학. 서울: 학지사
  9. 박치현(1990). 교육과정 개발 이론과 개발 실제의 비교.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이정순 (2003).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의류학 관련 교과목 콘 텐츠의 개발-의류 소재 이해 및 분석-. 복식. 27(1). 162-164
  11. 한국교육과정학회 편(2002).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2. Lewy, A.(1991).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N.Y.: Pergamon Press
  13. Wiles, J., & Bondi, J.(1998). Curriculum Development: A Guide to Practice. N.J.: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