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Kim, Ji-Yo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nam University)
  • 김지영 (호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The subjects are early childhood teachers(N=217)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Jeon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the tests of frequency, Cronbach's $\alpha$, t-test, ANOVA and Dunca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being aware of importance of infant music activity in the order of "aesthe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 appreciation". Second, according to teachers' working place, the teachers hav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while, according to children's age in the class which the teachers are taking charge of, they show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activities of "exploring movements " and "respect for artistic expression". Third,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they have difference of perception in "singing" activity only, whil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they have no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all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teachers' age, they have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 activities of "aesthetic exploration", "exploring sound", and "singing".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2000) 유치원 교사의 전통음악 인식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 (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3. 구미란 (2005)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 육환경과 교육의 실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종애 (2002)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현황조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명순, 조경자 (1998)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다음세대.
  6. 김자영 (2003)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음악 학원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심성경, 이희자, 이선경, 김경의, 이효숙, 박주희 (2004) 유아 음악교육. 서울 : 양서원.
  8. 여성가족부 (2007)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 지침.
  9. 유연화 (2002)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연구. 경복논총, 6, 341-354.
  10. 윤소연 (2003) 학령기전 아동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윤현진 (2002) 대학의 유아음악 교육과정과 유아교육기관에 서의 음악교육 실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명신 (2000) 유치원 음악교육의 실태 조사 연구: 광주 전남 지역 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혜진, 박주성 (2002)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조사 연구. 학생생활연구, 7, 55-83.
  14. 장은주 (2007)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2-3.
  16. Greata, J. (2006) An introduction to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Thomson Delmar Learning.
  17. Kim, J. (2000) Children's pitch matching, vocal range, and developmentally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4(2), 153-160. https://doi.org/10.1080/02568540009594760
  18. MENC (1994) The K-12 National Standards, Pre-K Standards, and What They Mean to music Educators.(http://www.menc.org/index2.html)
  19. Pica, R. (1995) Experience in movement with music, activities abd theory. Albany, NY: Delmar.

Cited by

  1.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ing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cognition of Music and Movement Activities vol.37, pp.2,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