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Decay of the Waterlogged Woods Excavated from Higokri, Pyungtaek

평택 희곡리 출토목재 부후형태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 Kim, Soo-Chul (Conservation Science Tea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Won-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수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8.07.16
  • Accepted : 2008.08.29
  • Published : 2008.09.2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both the type of wood decay and the degree of degradation for the waterlogged woods (Alnus spp. and Fraxinus spp., about 5,700~5,900 year old), which were excavated at Higokri, Pyungteak in the west-coastal region of Korea.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observation indicated the degradations by soft rot and bacteria were common in both woods. Erosion bacteria attacked gradually and irregularly from the secondary layer to compound middle lamella and often produced the cavity which was similar to soft-rot cavity but much smaller ones. Tunneling bacteria decomposed mainly $S_2$ layer. Though of highly degraded walls, the cells almost kept the original form with intact lignin-rich middle lamella, which were saturated by water. No marine borer's trace indicated that the sealine ris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during the climate optimum period in the holocene might not be high enough to submerge the Higokri area which locates about 2 km from the present sealine.

경기도 평택 희곡리 토탄층(약 5,700~5,900년전(前))에서 수침상태로 출토된 물푸레나무속 1종과 오리나무속 1종을 대상으로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수종에 따른 분해정도와 형태를 조사하였다. 관찰결과 두 수종 모두 연부후와 박테리아에 의한 세포벽 공격형태와 분해형태는 거의 유사하였다. $S_2$층부터 복합세포간층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불규칙하게 분해하는 침식형 박테리아와 목재세포벽을 분해하여 $S_2$층에 터널을 만드는 터널형 박테리아가 관찰되었다. 침식형 박테리아는 종종 연부후균에 의한 공동과 유사하지만 크기가 작은 공동을 형성하였다. 도관요소를 제외한 다른 세포들의 세포벽은 극심히 분해되었지만 세포벽의 외형은 수분으로 인해 그 고유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해양천공충의 식흔 흔적이 발견되지 않고 연부후균과 박테리아에 의한 분해 형태만 발견되어 평택희곡리 토탄지역 형성 당시인 5,700~5,900여년전이 온난화에 의한 홀로세 기후최적기 기간중이기 때문에 서해안 해수면 상승에 의해 해수에 침수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