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borne nickel in the major monitoring locations in Korea between 1991 and 2004

중금속 관측망을 중심으로 한 대기 중 Ni 성분의 분포특성 : $1991{\sim}2004$년 기간을 중심으로

  • Kim, Ki-Hyun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study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behavior of airborne Ni for the proper establishment of basic control tactics based on the metal concentration data sets collected from the major cities in Korea for the 14 year period(1991 through 2004). The mean concentration of Ni determined from all cities during the entire study period varied from as little as 7.38+6.70 ng $m^3$(Won Ju) to the maximum of 41.4+26.2 ng $m^3$ in a highly industrialized city of An San. However, the mean concentrations of Ni from most cities generally fell in the range of 10 to 20 ng $m^3$. When the Ni concentration data in all cities are compared between the former half(1991 to 1997) and the latter half period(1998 to 2004), a reduction in its concentration levels was seen dominantly between the two study period. Comparison of seasonal patterns generally indicated the enhanced concentrations of Ni during spring/winter relative to summer/fall term.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ource processes of Ni are diverse enough to exhibit moderately diverse patterns between different cities. Considering that relative enhancement in Ni levels is observed from most of industrial and/or large scale cities, a development of adequate control tactics for Ni is highly desirable.

본 연구에서는 니켈의 기본적인 제어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14년 기간($1991{\sim}2004$) 동안 국내 주요 관측점으로부터 확보한 대기환경 중 금속성분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니켈의 기본적인 환경거동을 조사하였다. 주요 도시에서 관측한 니켈의 평균농도는 최소 7.38+6.70 ng $m^3$(원주시) 에서 최대 $41.4{\pm}26.2ng\;m^3$(안산시)의 범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시에서 니켈의 농도는 $10{\sim}20ng\;m^3$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농도를 전체 관측기간을 전반기($1991{\sim}1997$년)와 후반기($1998{\sim}2004$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 두 기간 동안 뚜렷한 농도의 감소가 대부분의 도시에서 확인되었다. 계절적인 기준으로 구분하였을 때, 여름과 가을에 비해 봄, 겨울의 고농도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연구결과를 취합해 보면, Ni의 배출원은 대단히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고농도의 니켈이 대도시 또는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처럼 분진에 잔존하는 니켈류의 유해금속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대책의 개발이 중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