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Language-based Mathematics-Educational Authoring Tool using Cooperative Work among Learners

학습자간 협력작업을 이용한 수학교과용 언어기반 저작도구의 설계 및 개발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Providing appropriate and cooperative work among learners is an essential factor of a successful educational authoring system. Although from the viewpoint of beginning authors, many authoring functions are employed in existing authoring tool,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to solve authoring difficulties by companion's assist and to keep pace with learning.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developed a educational authoring tool using mathematical language and cooperative work among learners, verified the validity. The authoring tool proposed has key features to hide authoring handicaps and keep pace with learning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by using networked and language-based authoring tool.

학습자간의 협력 작업은 교육용 저작 시스템의 효율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저작 시스템에서도 다양한 저작 기능이 채용되고 있지만 초보자들이 동료 학습자로부터 도움을 받거나 저작과 학습을 병행하는 것에는 관심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언어와 학습자간 협력 작업을 이용한 수학교과용 언어기반 저작도구를 설계 및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기반 저작을 통한 자료 제작의 편리성, 수학적 언어 적용에 따른 저작과 학습의 병행, 네트워크 협력 작업을 통한 학습자간 공조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i2010- A European Information Society for Growth and Employment,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5.
  2. 정성무, 이근혁, 오찬일, 교육용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저작도구 연구 개발,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연구보고 RR 98-3, 1998.
  3. 이준, “멀티미디어 기반 수업개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전략들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공학연구, Vol.17, No.3, pp.195-219, 2001.
  4. S. M. Barretto and R. Piazzalunga, Combining interactivity and improved layout while creating educational software for the Web, Computers & Education, Vol.40, pp.271-284, 2003. https://doi.org/10.1016/S0360-1315(02)00131-8
  5. 김치수, “유비쿼터스 환경의 원격교육을 위한 저작도구의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pp.365-373, 2004.
  6. L. Vissser, T. Plomp, R. J. Amirault, and W. Kuiper, “Motivating Students at a Distance: The Case of an International Audienc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50, No.2, 2002.
  7. A. F. Rafael, C. R. Marta, and O. G. Fernando, “An Approach of Student Modelling in a Learning Companion System,” IBERAMIA, pp.891-900, 2004.
  8. 김재운, 유봉길, 문창수, 최정규, 정종필, 전희정,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OA학회 논문지, 제3권, 제1호, pp.47-62, 1998.
  9. 박승범, 김태희, “동기식 멀티미디어 교육콘텐츠 저작도구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142-149, 2007.
  10. 박대우, “대학에서 국산 5세대 프로그램 저작도구의 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9권, 제4호, pp.41-48, 2004.
  11. 권태숙, 이승룡, “협력시스템에서 3D 스튜디오 맥스 플러그인 설계 및 개발”,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pp.498-509, 2001.
  12. S. E. B. Pirie, Crossing the gulf between thought and symbol: language as stepping-stones, In H. Stainbring, M. G. B. Bussi & A. Sierpinska,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Virginia: NCTM, pp.7-29, 1998.
  13. P. M. Van Hiele,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Orlando: Academic Press, 1986.
  14. 김선희, 이종희, “중학생의 수학적 언어 수준”, 수학교육학연구, 제13권, 제2호, pp.123-14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