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ing the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the Demander-Centered Approach

수요자 관점에서 접근한 재난관리서비스의 개선 방안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To enhance the quality of disaster management service, the paradigm shift is necessary from the supplier-centered approach to demander-centered approach. In this paper, demander means all the policy actors that participate in the field of disaster such as central & local governments, emergency rescue systems, civil volunteer groups as well as the disaster victim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urrent problems of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demanders' point of view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n address suggestions based on each entity's recognitions and understandings re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Lack of systemicity in the current disaster management service. 2) The mutual distrust and understanding among the policy actors participating in the disaster site. 3) In the field of disaster, not only the disaster victims but also people related to entities are deprived of a stable living due to a long period of rescue activities. Furthermore, the conflicts derived from allocations of the aid fund can bring about the collapse of local community involved in disaster. 4) The life of the disaster victims that have been damaged mentally and financially is earnestly necessary to be conveniently served by disaster management service.

재난관리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의 관점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재난관리서비스에 있어 수요자는 이재민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지방정부, 응급 구조시스템, 민간자원봉사단체 등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현 재난관리서비스의 문제점을 수요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각각의 대상이 인식하는 재난관리서비스 문제점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현 재난관리 시스템의 체계성이 결여되어 있었고, 재난관리의 각 주체와 유관기관들 사이에 상호 불신과 이해가 재난현장에서 병존하고 있었다. 재난현장에서는 이재민뿐만 아니라 재난관리자들도 오랜 복구활동으로 인해 안정적인 생활을 박탈당하게 되며, 보상금 배분 등으로 인해 구성원간 갈등이 심화되어 극단적인 경우에는 지역사회의 붕괴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재난으로 인한 이재민들의 삶은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신적 측면에서도 심각히 훼손되어 지속적인 지원서비스의 제공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유현정, 이재은, 노진철, 김겸훈, 수요자 관점에서 접근한 재난관리서비스 행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희망제작소 재난관리연구소, 2007.
  2. A. Toffler and H. Toffler, Creating a New Civilization: The Politics of the Third Wave. Turner Publishing, 1995.
  3. 최창호, “행정수요 변동의 예측과 그에 따른 지방행정조직 정비: 지방행정제도의 발전 방향”, 지방행정, 제287호, pp.38-49. 1977.
  4. 오세덕, 이명재, 강제상, 임영제, 행정관리론, 대영문화사, 2007.
  5. W. Petak,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5, Special Issue, pp.3-7, 1985. https://doi.org/10.2307/3134992
  6. B. Clary, "The Evolution and Structure of Natural Hazard Polici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5, Special Issue, pp.20-28, 1985. https://doi.org/10.2307/3134994
  7. T. Drabek, "The Evolution of Emergency Management,"T. Drabek and G. Hoetmer,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 tice for Local Government.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 1991.
  8. D. Godschalk, "Disaster Mitigation and Hazard Management," T. Drabek and G. Hoetmer,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 tice for Local Government,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 1991.
  9. 이재은, “재난관리시스템 개편과정 쟁점 분석 및 향후 방향”, 행정논총, 제42권, 제2호, pp.147-169, 2004.
  10. 이재은, 김겸훈, 류상일, “미래사회의 환경변화와 재난관리시스템 발전전략: 국가핵심기반위기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제15권, 제3호, pp.53-83, 2005.
  11. S. Schneider, Flirting with Disaster: Public Management in Crisis Situations, M. E. Sharpe, 1995.
  12. 노진철, “현대 위험사회에서의 위험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권, 제1호, pp.33-48, 2005.
  13. 유현정, 남수정, “아나바다 사이트 참여자의 비윤리적 행동과 반응양식: 근거이론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제44권, 제2호, pp.189-201, 2006.
  14. 나흥하, 변용철, 김대현, “초등학생이 일제시험 기간 동안에 겪는 경험의 실체: 근거이론 방법론적 접근”, 초등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13-138, 2007.
  15. 홍현미라, “지역사회관계망을 활용한 자원개발경험의 유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사회자본(social capital) 관점 적용”,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4호, pp.65-92, 2006.
  16. 김소선,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탐구, 제12권, 제1호, pp.69-81, 2003.
  17. 안경숙, 장연집, “초등학생의 친한 친구 사귀기 과정: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질적연구, 제2권, 제2호, pp.37-50, 2001.
  18. G. O'Connor, M. Rice, L. Peters, and R. Veryzer, "Managing Interdisciplinary, Longitudinal Research Teams: Extending Grounded Theory- Building Methodologies," Organization Science, Vol.14, No.4, pp.353-373, 2003. https://doi.org/10.1287/orsc.14.4.353.17485
  19. 이재은, 유현정,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국민생활안전 위기 영역의 분류와 운영 방안 모색”, 한국위기관리논집, 제3권, 제2호, pp.1-17,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