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Biotope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s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경관생태학적 도시숲 관리를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 및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Oh, Jeong-Hak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o, Jae-Hyung (Division of IUFRO Congress Organizing Committ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o, Hyun-Je (Korea Green Promotion Agency, Korea Forest Service) ;
  • Choi, Myoung-Sub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won, Jino (Division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 조재형 (국립산림과학원 IUFRO기획운영과) ;
  • 조현제 (산림청 녹색사업단) ;
  • 최명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 권진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Received : 2008.10.23
  • Accepted : 2008.11.21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o provide more natural elements in the harsh urban environment, 'planting trees as urban forests' has been emphasized as having an important role, and trees are expected to be as functional as the trees under more natural conditions in rural areas, and provide people with benefits. To do this, urban forest policies needed a better idea of planting methods and management of trees through the theory of landscape ecology, and also the feedback system according to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urban forests. In this case study, a new principle and assessment indices for the evaluation are applied for the 4 urban forests in two Korean metropolitan cities, Daejeon and Ulsan. The evaluation of Korean urban forest-function as biotope and the assess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diversity types are carried out. The AUEM(Adding Up Estimation Matrix) is applied for the analysis of urban forests. Unlikely previous researches on the other Korean metropolitan cities, the size of urban forest has less influence on the vegetation diversity. The most frequent biotope grade is the 3rd grade at Namseon park and Mt. Hamwol, while Mt. Bomun and Mt. Yeompo show the 4th grade. The grades of forest-function as biotope are from 3rd to 5th in which lower than average in forest-function grades. This means that the 4 sites are still not-matured forests and less-functional forests as the urban biotope.

최근 부각되고 있는 도시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되는데, 도시지역에 산재해 있는 도시숲의 효율적 조성 및 관리는 그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의 경관생태학적 관리를 위한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대전광역시와 울산광역시 시가지에 분포하는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생물서식공간으로서의 비오톱 유형을 구분하였으며, 그 기능적 특성에 기초한 등급과 식생경관의 구성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지표 및 방법은 국내의 연구사례가 드물어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표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최종 결과는 합산평가 매트릭스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오톱 유형은 기존 문헌의 조사결과와는 달리 면적이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중점 비오톱 등급은 공원의 면적 차이와 성립위치 및 인위적 간섭정도의 차이로 인해 남선공원과 함월산은 3등급, 보문산과 염포산은 4등급으로 나타났다. 생물서식공간으로서의 비오톱 기능평가 등급을 분석한 결과, 지역에 관계없이 3~5등급 즉 보통 이하로 나타나, 서식공간의 제공이라는 기능적 역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