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undamental Study for Proper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of Ready-mixed Shotcrete

레디믹스트 숏크리트의 적정 골재최대치수 제안을 위한 기초적 연구

  • Ma, Sang-Joon (Geotechnical Disa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 Choi, Hee-Sup (Geotechnical Disa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 Kim, Dong-Min (Geotechnical Disater &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KICT)
  • 마상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 최희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 김동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방재환경연구실)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analyse the influence of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and quality control of aggregate on the properties of shotcrete through the laboratory and field test. From the results of the test, as the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decreased from 13 mm to 8 mm, plasticity property declined and compressive strength and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hardened concrete increased remarkably, so it was found that the aggregate size 8 mm was superior to 13, 10 mm in fluidity, constructability and durability. Therefore, it was advisable for well 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to apply to the 8mm aggregates through the Ready-mixed Method for quality control and minimum segregation.

골계최대치수 및 골재의 품질상태 등이 숏크리트에 미치는 역학적 영향성을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골계최대치수가 13mm에서 8mm로 작아질수록 유동 특성은 감소되었으나, 경화 콘크리트의 강도 및 동탄성계수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골재최대치수 8mm인 경우가 10, 13mm인 경우보다 유동성, 시공성 및 내구성이 더욱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숏크리트 품질개선과 재료분리 최소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레디믹스트 숏크리트의 적정 골재최대치수는 공장생산방식을 통해 정제된 8mm 골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9), 터널설계기준
  2. 건설교통부 (1999), 터널표준시방서
  3. 김덕현, 이상수, 송하영, 김을영 (2004), '굵은골재 최대치수별 굵은골재/잔골재 용적비에 따른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제, 제4권 2호, pp.97-103
  4. 김기형, 최재진, 문한영 (1986),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공기량손실에 관한 고찰',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개요집, pp.37-42
  5. 마상준, 최재석, 김동민, 김재신 (2005), '고성능 숏크리트 적용 가능성 파악을 위한 숏크리트 품질특성 검토', 한국터널공학회학술발표회 논문집, pp.131-1331
  6. 이양규, 전준태, 김종열 (2004), 'NATM 터널의 건습식 Shotcrete 강도시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2호, 239-245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6), '숏크리트 장기 내구성 평가 및 제기준 제정 연구'
  8. 沼田(1986), '시멘트.콘크리트用 混和材料', 技術書院
  9. Luiz Roberto Prudencio (1998), 'Accelerating admixtures for shot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ume 20, Issues 2-3, pp. 213-219 https://doi.org/10.1016/S0958-9465(98)80007-3
  10. N. De Belie, C.U. Grosse, J. Kurz and H.-W. Reinhardt (2005), 'Ultrasound monitoring of the influence of different accelerating admixtures and cement types for shotcrete on setting and hardening behaviour',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ume 35, Issue 11, November, Pages 2087-2094 https://doi.org/10.1016/j.cemconres.2005.03.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