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관광지의 관계적 입지특성 분석을 위한 그래프이론의 적용(I): 네트워크분석 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Graph Theory for Analyzing the Relational Location Features of Cave as Tourists Attraction(I): focu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network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광광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동굴관광지에 대한 관계적 입지특성을 파악하고자 할 때, 분석 기법으로서 적용 가능한 그래프이론(graphic theory)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이다. 동굴관광지를 포함하는 일정 공간내의 주변관광지나 교통 결절점(node)과의 관계를 네트워크화하고, 각종 지수를 통한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분석은 동굴의 연결 강도 파악과 관계적 입지특성 파악에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동굴관광지를 포함한 관광개발계획의 공간범위 설정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efficiency of graph theory that can be applied as the research analysis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al location features of the caves favored as the ecological tourists attraction. Creating network with traffic nodes and surrounding tourists attractions in a certain space including the caves as the tourists attrac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n the overall network using various kinds of index will be very useful method to identify the relational location features and benefits from linking the caves as the tourists attractions. In particular, it can be applied to set the spatial scope in the tourism development plan including the caves as the tourists attra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진, 1987, 산호동굴의 개발의 지리적 배경, 한국동굴학회, 16, 72-88
  2. 변대준, 1993, 환선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5, 61-66
  3. 변대준, 1993, 동정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6, 54-71
  4. 변대준, 1995, 영월 옥동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42, 69-82
  5. 오종우. 홍현철, 1994, 단양 온달굴 지대의 인문사회지리 환경, 한국동굴학회, 37, 68-80
  6. 조 훈, 1989, 마산동굴 개발단지의 환경과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20, 90-112
  7. 홍시환, 1993, 만장굴 지대의 자연환경 소고, 한국동굴학회, 35, 67-77
  8. 홍충렬, 1993, 월둔굴 지역의 지리환경 연구, 한국동굴학회, 36, 43-53
  9. 홍현철, 1993, 고수동굴의 교통 및 관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3, 47-60
  10. 홍현철, 홍충렬, 1994,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한국동굴학회, 38, 39-45
  11. 홍현철, 1992, 백룡동굴 주변의 인문 및 사회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2, 4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