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habitant of Hoe-ok cave in Wonju

원주(原州) 회옥굴(窟)의 서식생물(棲息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In order to accumulate the basic informations to assess the scientific and natural values of the Hoe-ok Cave located in Mountain Chi-ak, Seong-nam 2 ri, sin-rim myeon, the distribution of the species in the cave were investigated from November 2004 to June 2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ecies identified in the Hoe-ok Cave were 34 species, 28 family, 18 order, 8 classes. The dominant species were the 14 species(41.2%), 11 family, 7 order in the Class of Insecta.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the Heo-ok Cave, 8 species(23.5%) of troglobite, 7 species of troglophiles(20.6%), 19 species of trogloxenes(55.9%) were found and the share of the species indigenous to the cave among the population was 44%, and the species which came out of the cave occupied the larger portion among the populations inside the whole cave.

치악산에 위치한 원주 신림면 성남2리에 있는 회옥굴의 동굴생물 종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을 알기위해 2004년 1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현장조사 연구를 통해 동굴생물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된 회옥굴의 동굴생물 분포는 8강 18목 28과 34종이었으며, 곤충강이 7목 11과 14종(41.2%)이었다. 회옥굴 내의 서식 생물을 생태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면 진동굴성은 8종(23.5%), 호동굴성은 7종(20.6%), 외래성이 19종(55.9%)으로 나타났으며, 동굴에의 적응율은 44%로 외래성 생물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우, 1990, 동굴의 생물상. 고수동굴의 환경 및 안전진단 연구보고서. pp. 28-33.(주) 원천
  2. 김병우, 1991, 협재동굴지대 학술조사보고서. 동물상. pp. 194-208 (주) 한림
  3. 김병우, 1993, 고수동굴 학술조사보고서. 동굴의 생물상. pp. 135-150 (주) 유신
  4. 김병우, 1994, 고씨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학술조사연구보고서. pp. 47
  5. 김병우, 1994, 고씨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학술조사연구보고서. pp. 47-60. 영월군
  6. 김병우, 1995, 화암동굴의 동굴생물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42. pp 27-40
  7. 김병우, 1996, 천곡동굴의 생태계 조사보고. 한국동굴학회지. 45: pp. 29-40
  8. 김병우, 2002, 3. 동굴 생태계. 비지정 천연동굴(양당리굴,북상리굴) 학술조사 보고서. 한국동굴학회. pp. 17-18, 181-185
  9. 김병우,최용근,서호영,이훈,김원록,이원철, 2004, 한국 동굴생물상 목록 및 연구 전망. 환경생물.53: pp. 13. 한국환경생물학회
  10. 남궁준, 1981, 원시적 유존동물인 "갈르와 벌레". 한국자연 보존협회. 자연보존. 33: 18-22
  11. 남궁준, 1986, 한국의 중요 동굴동물의 모식산지의 보존문제. 한국동굴학회지. 13. pp. 49-67
  12. 남궁준, 조규송, 1987, 경관 및 환경보존. 대이리동굴군 학술조사보고서 .pp. 135-140
  13. 단양군, 1989, 동굴생물. 제주도 빌레못동굴 학술조사 보고서. pp. 131
  14. 박상영, 2003, 학위논문, 신단양 고수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에 관한 연구
  15. 백갑용, 1971, 특수환경의 곤충. 원색과학대사전 (5) 동물. pp. 217-222
  16. 오영근, 1985, 동굴성 박쥐류의 생태.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52: pp. 8-11
  17. 우경식, 2002, 동굴. 지성사. pp. 17-84
  18. 이병훈, 1978, 한국의 지하성 동물의 검토와 목록
  19. 최병렬, 1985, 12, 동굴의 생성과 변천.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52: pp. 1
  20. 최용근, 1997, 동굴탐험의 세계,한림미디어, pp.3 5-61
  21. 최용근, 2005, 한국의 동굴생물(고수.노동.온달)
  22. 평창군, 2005, 천연동굴 학술조사 보고서
  23. 한국동물분류학회, 1999. 한국동굴명명규약 pp. 489
  24. 환경부, 2002, 2, 전국 자연동굴 조사지침서 작성에 관한 연구보고서
  25. 홍현철, 김병우, 1990, 노동굴의 환경실태에 관한 연구,한국동굴학회지 24, pp. 92-96
  26. Hickman CP, LS Roberts and A Larson. 2000. Animal Diversity. McGraw-Hill Comp. pp. 429
  27. Murakami. Y., k. y. Paik, 1968, Result of the spele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1966 XI. Cave-dwelling myriapods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Bull. Natn. Sci. Mus. Tokyo. 11(4): 364-384
  28. Ueno. M. 1966, Result of the spele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1966. II. Gammarid Amphipoda found in subterranean waters of South KOrea Bull. Na수. Sci. Mus. Tokyo. 9(4):50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