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平昌) 쌍굴(雙屈)의 서식생물(棲息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nhabitant of Ssang-Cave in Pyeongchang, Korea

  • 발행 : 2008.12.30

초록

평창군 미탄면 기화리에 소재한 쌍굴의 동물종 구성과 생태적 개체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6개 조사지로 구분하여 관찰, 채집, 조사한 결과 전체 동물종은 총 4강 11목 16과 19종이었고, 총 조사개체수 중 알락꼽등이가 66.6%, 등줄굴노래기가 22.4%로 전체의 확인 개체군 중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생물 중 생태적 특성에 의한 진동굴성이 5.3%, 호동굴성이 21.1%, 그리고 외래성이 73.7%로 외래성이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하였다. 포유강에서는 관박쥐와 물윗수염박쥐의 2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관박쥐가 58.9%를 차지하고 있어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외래성인 담흑물결자나방은 겨울철인 1, 2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진동굴성인 등줄굴노래기는 6월에 503개체가 관찰되었고 호동굴성인 알락꼽등이는 4, 5월을 정점으로 봄철에 많은 개체수가 나타났으나, 6월에는 개체수가 급격히 줄었다.

In this study, the inhabitant were investigated at the six sites in the cave which is located in Giwha-ri, Mitan-myen, Pyeong Chang-gun from January to June in 2005. As the result of observation, collection, researching, It was confirmed as all animals species were classified by 19 species, 4 classes, 11 orders, 16 families. Among the investigated animals, Diestrammena asynamora Adelung distributed 66.6% and Antrokoreana gracilipes Verhoeff distributed 22.4%. They were confirmed as a dominant species. Among the observed animals, Troglobite with ecological characteristics was 5.3%, troglophiles were 21.1% and trogloxenes were 73.7%. Among them, There were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in trogloxenes. In the class manmalia, Rhinol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and two Myolis daubentoni ussuriensis Ognev's species were observed. Among them Rhinolphus ferrumequinum korai Kuroda distributed 58.9%, so they were confirmed as a dominant species. The largest number of Triphosa dubitata Linnaeus, trogloxenes, were observed in January and February in winter. 503 individual of Antrokoreana gracilipes Verhoeffs, troglobites, were observed only in June. Diestrammena asynamora Adelung, troglophiles, appeared the large number of species in sping, especially, in April and Ma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병우. 1990. 동굴의 생물상. 고수동굴의 환경 및 안전진단 조사 연구보고서. (주) 원천. pp. 28-33
  2. 김병우. 1993. 고수동굴 학술조사보고서-동굴 생물상. (주)유신. pp.135-150
  3. 김병우. 1995. 화암동굴의 동굴생물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2:27-40
  4. 김병우. 1996. 천곡굴의 생태계 조사보고, 한국동굴학회지 45:29-40
  5. 김병우. 2002. 3. 동굴 생태계. 비지정 천연동굴 학술조사 보고서. 한국동굴학회. pp. 17-18, 181-185
  6. 김병우. 박상영. 2005. 신단양 고수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7. 남궁준. 1974. 한국동굴산 Galloisiana 속의 1신종. Korea J. Entomology. Vol. IV, No.1. pp.1-7
  8. 남궁준, 윤경일. 1976. 치악산의 거미상. 자연보존. 12: 12-20
  9. 남궁준. 1981. 원시적 유존동물인 갈르와벌레, 자연보존, 33, 18-22
  10. 남궁준. 1986. 한국의 주요 동굴 동물의 모식 산지의 보전 문제. 한국동굴학회지. Vol. 13. pp. 49-67
  11. 남궁준. 1987. 강원도 자연동굴과 동물상 .한국 자연보존협회 강원도 지부
  12. 백갑용. 1971, 특수환경의 곤충, 원색과학대사전 (5) 동물, 학원사, 217-222
  13. 손성원. 최병진. 2001. 박쥐. 지성사. pp. 141-145
  14. 오영근. 1985. 동굴성 박쥐류 의 생태, 자연보존, 52:8-11
  15. 원병휘. 1966. 한국동식물도감 제7권. 동물편 (포유류). pp. 6 59
  16. 이병훈. 1978. 한국산 지하성 동물의 검토와 목록 I 무척추동물 및 포유류. Korea J. Zool
  17. 이영남. 김상섭. 1978. 우리나라의 동굴생물. 한국동물학회지. 3:10-11
  18. 강원대학교 동굴생물연구소. 1999. 영월댐 수몰지 동굴 세부조사 보고서
  19. 환경부. 2002. 전국 자연동굴 조사지침서 작성에 관한 연구 보고서
  20.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 pp 489
  21. Barr TC. 1968. Cave ecology and the evolution of troglobites. Evol. Biol. 2:35-102
  22. Ueno, S. I., S. K. Pae and F. Nagao, 1966. Results of the Spele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1966. I. General Acccount, with Brief Descriptions of the Caves Visited. Bull. Nat. Sci. Mus. Tokyo. 9(4):465-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