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염류, 투명도 및 엽록소를 이용한 인공호 영양상태, 경험적 모델 분석 및 변수들 간의 상호관계

Reservoir Trophic State and Empirical Model Analysis, Based on Nutrients, Transparency, and Chlorophyll-${\alpha}$ Along with Their Relations Among the Parameters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Kyeng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Jae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8.31

초록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은 총질소(TN), 총인(TP), 엽록소(Chl), 투명도(SD)의 변수를 이용하여 호수의 영양상태(Trophic state)를 평가하였고, 전기전도도에 따르면 부유물질(SS)의 역동성을 비교 평가하여 총질소-엽록소(TN-Chl), 총인-엽록소(TP-Chl), 엽록소-투명도(Chl-SD)의 경험적 모델을 분석하였다. 호소의 영양상태 분석에 따르면, 36개 인공호 중 절반이상이 부영양-과영양화 상태 (Eutrophy-Hypertrophy)로 나타났다. 총인의 월 변이(% Variation)가 최고 500%까지 상회하였으며 특히 8월에는 연중 최고치를 보였다. 한편 총질소의 월 변이는 90% 이하로 나타났으며, 모든 호수에서 평균 총질소 농도는 1.2 mg L$^{-1}$ 이상을 상회하여, 배경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부영양-과명양화상태). 경험적 모델 분석에 따르면 투명도의 변이는 총인(R$^2$=0.15, p<0.001) 및 총질소 (R$^2$=0.20, p<0.001)보다 주로 엽록소 (R$^2$=0.31, p<0.001)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인, 총 질소의 비 (TN : TP ratio)의 분석에 따르면, 대부부의 인공호는 조류 생장에 있어 잠재적인 인(P)의 영향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식물성 플랑크톤 성장은 질소보다 인에 의하여 조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 변수의 연 평균값에 로그-전환(Log$_{10}$ transformation)한 후 실시한 선형 회귀분석에 따르면 엽록소는 총인 및 총질소에 의해 각각 30%, 15% 설명되어, 연관성이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별 호소에 대한 선형 회귀분석 일부 총인-엽록소가 강한 정 상관관계 (R$^2$=0.62, p=0.002, n=12)를 총질소-엽록소에서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892, n=12). 상기 연구를 종합해보면 경험적 모델 분석 시 자료의 평균효과(Averaging effect)는 모델의 변이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rophic state, based on nutrients (TN, TP), transparency (SD), and chlorophyll-${\alpha}$ (Chl) and identify their empirical relations of TN-Chl, TP-Chl and Chl-SD depending on the dataset used along with dynamics of conductivity and suspended solids. Analysis of trophic state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36 reservoirs were judged as eutrophic-hypertrophic conditions depending on the trophic variables. Seasonal values of TP varied by nearly 500% and showed greater in August than any other months. In contrast, TN varied within less than 90% and all monthly mean values of TN were never fall less than 1.2 mg L$^{-1}$ indicating low seasonal variations and high ambient concentrations (eutrophic-hypertrophic state). Analysis of empirical relations in the trophic variables showed that transparency had greater functional relations with Chl (R$^2$=0.31, p<0.001) than TP (R$^2$=0.15, p<0.001) and TN (R$^2$=0.20, p<0.001). Ratios of TN : TP in the ambient water indicated that most reservoirs showed a potential phosphorous limitation on the algal growth. Thus, algal biomass, based on Chl values, was more regulated by phosphorous than nitrogen. Analysis of linear regression model, based on log-transformed annual mean values, showed that only 30% in the variation of Chl was explained by TP (R$^2$=0.295, p=0.001, n=36) and 15% by TN (R$^2$=0.151, p=0.019, n=36). However, linear regression model, based on individual system, showed that Chl-TP model had strong positive relations (R$^2$=0.62, p=0.002, n=12), whereas the model had no any relations (p=0.892, n=12). Overall, our data suggested that averaging effect in the empirical model developments may influence the significanc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범철, 안태석, 조규송. 1998. 한강수계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1:151-163
  2. 김범철, 김윤희, 2004. 아시아 몬순지역의 대형댐(소양호)에서의 인순환과 2차원모델의 적용, 한국육수학회지. 37:205-212
  3. 김재윤. 2003. 총인부하량을 이용한 인공호의 부영양화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2:689-695
  4. 김종민, 허성남, 노혜란, 양희정, 한명수. 2003. 호소형 및 하천형 댐 호의 육수학적 특성과 조류발생과의 상관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6:124-138
  5. 김호섭, 황순지. 2004. 육수학적 특성에 따른 국내 저수지의 부영양화 유형분석. 엽록소 $\alpha$와 수심을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37:213-226
  6. 김호섭, 황순진, 공동수. 2007. 부영양 저수지에서 남조류의 발달과 천이 및 영향 요인. 한국육수학회지. 40:121-129
  7. 박선구, 조인기, 권오병, 문정수, 엄한용, 황순진. 2008. 인공식물섬에 의한 조류(Algae)및 영양염류의 제거. 한국육수학회지. 41:93-98
  8. 박재충, 박정원, 신재기, 이희무. 2005a. 인공호에서 몬순과 태풍 강우에 의한 고탁수층의 이동과 소멸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8:105-117
  9. 박혜경, 이현주, 김은경, 정동일. 2005b. 팔당호 조류발생 특성 및 수질환경인자의 통계적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1:584-594
  10. 서동일. 1998. 대청호의 성층현상에 의한 부영양화 특성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1219-1234
  11. 손병주, 한지원. 1995. 동아시아 하계 몬순의 강약과 관련된 기후학적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1:477-488
  12. 신재기, 조경제. 2000. 생물검정에 의한 남조류 Microcytosis 가 수질에 미치는 영양. 한국환경과학회지. 9:267-273
  13. 안광국, 신인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으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389-394
  14. 윤태광 윤태일, 김창균, 박세진. 2000. 부영양화 인공호소의 수질관리를 위한 초고속 응집침전(URC)공정으 적용. 대한환경공학회지. 22:2025-2036
  15. 이상재, 이재연, 이재훈, 배대열, 이의행, 한정호, 황순진, 안광국. 2008. 실험적 생물조절 기법을 이용한 엽록소 및 남조류 제거 효과. 한국육수학회지. 41:86-92
  16. 이진환, 오희목, 맹주선. 2000. 대청호의 수질과 식품플랑크톤 현존량. 환경생물. 18:355-365
  17. 이혜원, 안광국, 박석순. 2002. 소양호 표층수 수질의 연별추이 및 상.하류 이질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53:36-44
  18. 최은미, 김호섭, 김범철, 김동우, 황하선. 2006. 국내저수지 유역특성에 따른 부영양화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대한상수도협회 공동춘계학술발표 논문집. 1059-1068
  19. 허우명, 김범철, 황길순 최광순, 박원규. 1995. 낙동강 수계의 계절별 인, 질소, Chl-$\alpha$와 영양염류 농도분포. 한국육수학회지. 28:175-181
  20. 허진, 신재기, 박성원. 2006. 하천 및 호소 수질관리를 위한 용존 자연유기물질 형광특성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8:940-948
  21. An KG. 2000a. An Influence of piont-source and now events on inorganic nitrogen fractions in a large artificial reservoir. Korean J. Limnol. 33:350-357
  22. An KG. 2000b.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ous. Korean J. Limnol. 33:222-229
  23. An KG. 2000c. The impact of monsoon on seasonal variability of basin morphology and hydrology. Korean J. Limnol. 33:342-349
  24. An KG. 2001. Hydrological significance on interannual variability of cations. anions. and conductivity in a large reservoir ecosystem. Korean J. Limnol. 34: 1-8
  25. An KG and DS Kim. 2003. Response of lake water quality to nutrient inputs from various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9:27-49 https://doi.org/10.1023/A:1025602213674
  26. An KG and JR Jones. 2000a.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ionic salinity and suspended solids in a reservoir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 436:179-189 https://doi.org/10.1023/A:1026578117878
  27. An KG and JR Jones. 2000b. Regulating bluegreen dominance in a reservoir inn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 432:37-48 https://doi.org/10.1023/A:1004077220519
  28. An KG and SS Park. 2002. Indirect innuence of the summer monsoon on chiorophyll-total phosphorous models in re- servoirs:a case study. Ecological Modelling 152: 191-203 https://doi.org/10.1016/S0304-3800(02)00020-0
  29. An KG. S5 Park. KH Ahn and CG Urchin. 2003. Dynamics of nitrogen. phosphorus. algal biomass. and significant implications of regional hydrology on trophic staws. Korean J. Environ. Biol. 24:29-38
  30. Carlson RE. 1976,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cs. Limnology and Oceanography 22:361-36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31. Dillon PJ and FH Rigler. 1974. The phosphorus-chlorophyll relationship in lake. limnology: eclogical perspective, John Wiley& Sons. New York. pp. 15-41
  32. Forsburg C and S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 30 Swedish waste 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9-207
  33. Ryding SO .Rast W. 1989. The control of eutrophication of lakes and reservoir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Paris and The Parthenon Publi- shing Group Inc., New Jersey. 314pp
  34. Sakamoto M. 1966.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community in some Japanese lakes and its dependence on lake depth. Arch. Hydrobiol. 62:1-28
  35. Ticehursta JL. Letchera RA and Rissik D. 2008. Integration modelling and decision suppot:A case study of the coastal lake asscssment and management (CLAM) Tool. Mathematics and Computers in Simulation. 78:435-449 https://doi.org/10.1016/j.matcom.2008.01.024
  36. U.S, EPA. 1976 Water quality criteri reserch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roceeding of an EPA sponsored symposium, EPA-600 (3-76-079): 185
  37. Vollenweider and Kerekes. 1980. the loading concept as bases for controlling philosophy and preliminary results of the the OECD programme on eutrophication. Prog. Walt. Tech. 12:5-38
  38. Wetzel RG. 1990. Reservoir ecosystem: Conclusions and speculations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 John Wiley & Son. Inc.. pp. 227-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