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렌즈 및 물체의 색상에 따른 최대 조절력 변화

The Change of the Accommodative Amplitude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of the Spectacle Lens or Object

  • 오병하 (서울산업대학교 안경광학과) ;
  • 이재호 (서울산업대학교 안경광학과) ;
  • 정세훈 (신흥대학 안경광학과) ;
  • 박미정 (서울산업대학교 안경광학과)
  • Oh, Byung Ha (Department of Visual Op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 Lee, Jae Ho (Department of Visual Op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 Jung, Sea Hun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hinheung College) ;
  • Park, Mijung (Department of Visual Op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투고 : 2008.01.15
  • 발행 : 2008.03.31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렌즈와 물체의 색상에 따라 최대 조절력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대 40명을 대상으로 무착색렌즈, 회색렌즈, 갈색렌즈, 녹색렌즈를 착용 후 물체 및 배경의 색상을 달리하면서 최대 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최대 조절력은 마이너스 렌즈 부가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흰색 배경에 검정색, 빨간색, 녹색 물체를 볼 때 무착색렌즈에 비해 착색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최대 조절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녹색렌즈의 경우는 어떤 색상의 물체를 보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최대 조절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어떤 색상의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라도 녹색 물체를 볼 때 최대 굴절력이 가장 컸다. 배경색에 따라서도 최대 조절력이 변화되어, 배경색이 빨간색일 경우 흰색일 때보다 최대 조절력이 감소하였다. 반대로, 녹색 배경색인 물체를 볼 때는 적색 배경이나 흰색 배경일 때 보다 최대 조절력이 컸다. 착색렌즈 중에서는 회색렌즈가 최대 조절력을 가장 적게 증가시켰으며, 녹색렌즈가 가장 크게 증가시켰다. 최대 조절력이 9 D 이상인 피검자의 수는 초록색 배경에서는 회색렌즈를 사용하였을 때 12.5%, 갈색렌즈는 21.3%, 녹색렌즈는 22.5% 이었으나, 빨간색 배경에서는 각각 5%, 6.5%, 6.5% 이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최대 조절력이 안경렌즈의 색상과 물체 및 배경의 색상에 따라 상이하며, 그로 인하여 적절한 색상의 안경렌즈로 눈의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the accommodation of amplitude (AA) was changed by the color of the spectacle lens or object. Methods: AA was measured in forty subjects in their 20s when they viewed different targeton-background color combination with achromatic, gray, brown or green lens. Minus-lens procedures we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AA. Results: When subjects viewed the black-on-white, red-on-white and green-on-white targets, AA under tinted lens tended to be increased compared with AA under achromatic lens. Especially, the green lens significantly increased AA whatever the color of target was. Furthermore, as subjects viewed the green target, AA was the highest irrespective of the color of lens. AA was also changed depending on the color of background, so AA on the red background was lower than on the white background. On the contrary, AA on the green background was higher than on the red or white backgrounds. Of tinted lens, the gray lens increased AA the lowest, but the green lens did the highest. The number of subjects, whose AA were measured more than 9 D, reached to 12.5% with the gray lens, 21.3% with the brown lens, 22.5% with the green lens on the green background, but 5%, 6.5% and 6.5% on the red background,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results showed that AA varied depending on the color of spectacle lens, objects or background, and the eye fatigue could be decreased with proper color of spectacle lens according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