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urvival and growth of Glossaulax didyma didyma ($R{\ddot{o}}ding$) were measured in the laboratory under controlled conditions,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G. didyma didyma was examined at four different levels (15, 20, 25 and $30^{\circ}C$) with 30 psu for 30 days. The results show that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 didyma didyma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15^{\circ}C$ and $20^{\circ}C$ than at other temperatures. The effect of salinity on G. didyma didyma was also examined at six different levels (10, 15, 20, 25, 30 and 35 psu) in $20^{\circ}C$ for 4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 didyma didyma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30 psu and 35 psu than at other salinities. Finally, the effect of diets on G. didyma didyma was examined with three single-component diets (prawn, shellfish and fish) at $20^{\circ}C$ and 30 psu for 6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G. didyma didyma fed on shell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on prawn and fish.
본 논문은 수온과 염분 및 먹이에 따른 큰구슬우렁이의 생존율과 성장을 실내 수조에서 실험한 결과이다. 30일동안 사육한 수온별 생존율은 $15^{\circ}C$(50%)와 $20^{\circ}C$(60%)의 수조에서 $25^{\circ}C$(50%)와 $30^{\circ}C$(0%) 수조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실험기간동안의 총증중량은 $20^{\circ}C$에서 3.79 g, $15^{\circ}C$에서 3.13 g, $25^{\circ}C$와 $30^{\circ}C$에서는 모두 폐사하였다. 증중률은 $20^{\circ}C$에서 12.20%, $15^{\circ}C$에서 9.95%였으며, 일간 증중율은 $20^{\circ}C$에서 0.407%, $15^{\circ}C$에서 0.332%였다. 염분별 생존율은 30 psu(70%)와 35 psu(70%)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20 psu에서는 10%로 낮게 나타났으며, 10 psu와 15 psu에서는 실험시작 10일 이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총중량으로 산정한 실험기간 동안의 증중률은 35 psu에서 11.641%, 30 psu에서 9.766%, 25 psu에서 1.437%, 20 psu에서 0.896%였으며, 일간증중율은 35 psu에서 0.388%, 30 psu에서 0.326%, 25 psu에서 0.048%, 20 psu에서 0.030%였다. 총 60일간 사육한 먹이에 따른 큰구슬우렁이의 생존율은 새우류를 먹인 실험구가 62.5%, 패류를 먹인 실험구가 87.5%, 어류를 먹인 실험구가 75.0%로 패류를 먹인 실험구가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다. 총중량으로 산정한 실험기간동안의 총증중량은 조개류 급이군에서 6.63 g, 어류 급이군에서 1.68 g, 새우류 급이군에서 1.50 g의 순이었으며, 성장률은 조개류 급이군에서 15.001%, 어류 급이군에서 3.934%, 새우류 급이군에서 3.567%를 나타내었으며, 일?lt;봉揚껨 조개류 급이군에서 0.250%, 어류 급이군에서 0.066%, 새우류 급이군에서 0.059% 순으로, 조개류 급이군에서의 성장이 가장 좋았으나, 어류와 새우류 급이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