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효율적 실천을 위한 행.재정 지원의 요구분석

Needs Assessment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of Gifted Education

  • 발행 : 2008.08.30

초록

영재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는 데는 영재교육 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행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교사들이 자신의 교사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영재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 교사를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236명) 및 2차 설문조사(123명)를 통해 영재교육 교사 행 재정 지원에 대한 의견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영재교육기관의 행 재정 지원, 지역사회 구성원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 그리고 영재교육교사 전문성 발휘를 위한 지원 체제에 대한 개선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영재교육기관 행 재정 지원 개선안은 영재교육 전담교사 제도를 도입하고 일반학교 수업시수를 감소하는 방안, 도 지역 영재교육기관의 재정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 그리고 집단편성, 학생지도, 수업연계성의 행정지원의 체계성을 확립하는 방안이다. 지역사회 구성원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의 개선안은, 학교장의 영재교육 인식제고를 위한 연수를 실시하는 방안, 학부모 교육을 통해 영재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개선하는 방안이다.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 발휘를 위한 지원의 개선안은 영재교육 교사 연수를 지속적으로 확대 제공하는 방안, 우수교사 확보를 위해 영재교육 전담교사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 영재교육 교수 학습자료를 개발 보급하고 지식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안, 영재교육 교사 특혜를 강화하는 방안이다.

The study aims to assess need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of gifted. For this end, practicing teachers of gifted education were nationwide selected for survey questionnaires. The first survey of five-scale Likert item was conducted in July 2005 with 236 teachers and the second survey of open-ended item was done in November 2005 with 123 teachers. All the respondents provided their perceptions to current statu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gifted education and needs for their effective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Suggestions for improving conditions of administration and finance in terms of effective perform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be assigned as full-time for gifted education. Otherwise, their teaching hours and other related jobs should be, reduced Second, the financial support for gifted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in particular, more in provincial areas than metropolitan cities. Third, appropriate grouping and counseling according to diverse differences of students should be done. Fourth, understanding of principals and teachers in general education as well as parents and general public toward gifted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inservice education program and other education programs. Further, teachers of gift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frequent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inservice programs in quality,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s among teachers through network systems, and be given appropriate incentives for better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석.김영만(2006) 교사발달단계와 교사의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4(1), 119-142
  2. 강호감.최선영(2004)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계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논총, 16, 137-160
  3. 김흥원(2002)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자질 및 양성, 임용 영재교육연구, 12(2), 93-125
  4. 류지영 (2005) 미국 영재교원 양성체제가 한국 영재교원 양성체제에 주는 시사. 한국 교원교육연구, 22(1), 69-88
  5. 박경희.서혜애(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6. 박영숙.전제상(2005)교직문화의 변화 전략 및 지원 과제 탐구. 교육행정학연구, 23(3), 73-93
  7. 서혜애.박경희(2005)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2(2), 159-180
  8. 서혜애.박경희(2007) 영재교육 교사연수의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영재교육연구, 17(3), 421-442
  9. 서혜애.박경희.박지은(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10. 송경오(2007) 교사의 학습기회 증진에 효과적인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 연구, 25(2), 121-144
  11. 신기현(2006) 우리 나라 예술영재교육에서의 교사.예술가 파트너십의 현황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3(1), 147-168
  12. 이미순, 조석희(2006) 소외 영재 지도교사의 성공적인 지능 교수효능감. 한국교원교육연구, 23(3), 167-186
  13. 이정규.김현철.최인수.김흥원.이윤옥{2006)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과 임용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343-363
  14. 조혜진(2007). 교원평가제와 교원성과급제 정책결정의 딜레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1), 185-208
  15. 한기순.양태연(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 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16. 홍창남(2006) 교사 효능감의 제고 가능성에 대한 실증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4(4), 1-25
  17. 강정하 (2007).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연구 및 과학적 창의성의 타당화.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