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토리 가루의 첨가량과 첨가 형태가 지방대체제로서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Evaluation of Two Levels and Types of Acorn Powder on Product Quality of Low-fat Sausages as a Fat Replacer

  • 진구복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반광훈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Chin, Koo-Bok (Dept.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Ban, Gwang-Hoon (Dept.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4.01

초록

도토리 가루를 각각 첨가 형태(분말, 수화)와 첨가량(0.5, 1.0%)을 달리하여 저지방 소시지를 제조하였고, 품질검사를 실시하였다. 도토리가루의 첨가형태나 첨가량은 대부분의 항목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관능적인 향미분석에서 수화형태가 가루보다 그리고 첨가량에서 0.5%가 1.0% 보다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일반성분, 가열 감량에서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는 저지방이나 유화형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반면 유리수분의 경우 도토리가루의 첨가는 기존의 지방대체재 첨가구나 유화형 대조구보다 더 낮은 유리 수분함량을 보임으로써 보수력을 증진시켰다. 색도에서는 유화형 및 저지방 대조구와 지방대체재를 첨가한 저지방소시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은 명도 값을 나타냈다(P<0.05). 조직감 검사결과에서는 도토리 첨가형태나 첨가량에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관능검사에서는 유화형 소시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소시지의 경우에도 색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관능성상이 유사하였으나 1%의 수화형태는 비교적 식염맛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미생물 검사 결과에서는 유화형 소시지와 저지방 소시지 모두 검출되지 않아 위생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저지방 소시지에 도토리 가루를 첨가함으로써 보수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고, 색도 이외에 다른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지방 대체재로 사용가능하다고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볼 때 0.5%의 첨가가 적당하고 가루형태보다 수화형태가 더 효과적인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도토리 첨가에 따른 명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보완한다면 저지방 소시지의 대체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roduct quality of low-fat sausages(LFSs) manufactured with two types(powder and hydrated) and two levels(0.5 and 1.0%) of Acorn powder was evaluated as a potential fat replacer. The addition of Acorn powder did not affect the product quality of LFSs (P>0.05), however 0.5% and hydrated Acorn was better sensory flavor than 1.0% and powder counterparts. The addition of Acorn into the LFSs decreased the expressible moisture(%) except for 0.5% powder type and decreased Hunter L-values in LFSs. The addition of 1.0% hydrated Acorn lowered sensory saltiness than those of other LFSs and regular-fat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corn powder can be used to manufacture LFSs as a fat replacer and 0.5% with hydrated form had better characteristics than 1.0% and powder counterparts. Future research will be performed to prevent the color change with the addition of Arcon powder in LFSs.

키워드

참고문헌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ition. AOAC, International, Washington, DC.
  2. Bourne, M. C. 1978. Texture profile analysis. Food Technol., 32:62-66, 72
  3. Chin, K. B., Lee, H. L., Kook, S. H., Yoo, S. S. and Chun, S. S. 2004. Evaluation of various combination of pork lean and water added on the physicochemical,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fat sausage. Food Sci. Biotechnol. 13:481-485
  4. Jauregui, C. A., Regenstein, J. N. and Baker, R. C. 1981. A simple centrifugal method for measuring expressible moisture, a water-binding property of muscle foods. J. Food Sci. 46: 271-273
  5. SPSS. 2003. SPSS 12.0 for windows. SPSS Inc. USA.
  6. 국성호, 최순희, 강상미, 박성용, 진구복. 2003. 젖산나트륨과 키토산을 첨가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의 품질 및 저장성 증진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128-136.
  7. 김영아. 1992. 도토리 전분 및 전분겔의 형태학적 특성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8:9-14
  8. 김윤숙, 유익종. 1994. 저지방 육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동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14:110-116.
  9. 김이영, 조후종. 2000. 도토리묵가루를 첨가한 도토리떡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6:260-266
  10. 김일석, 진상근, 하경희, 류현지, 박기훈. 2005. 한국형 육가공 제품류의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7:49-56 https://doi.org/10.5187/JAST.2005.47.1.049
  11. 류미라, 김은영, 정경숙. 2003. 홍국 첨가가 소시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5:229-234
  12. 성인숙, 김명주, 조수열. 1997. 도토리추출물이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327-333
  13. 심태흠, 김영선, 사재훈, 신인철, 허성일, 왕명현.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36:800-803
  14. 이유미. 1995.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나무 백 가지: 3-23. 참나무. 현암사. p. 394-398.
  15. 정인철, 강세주, 김종기, 현재석, 김미숙, 문윤희. 2003. 깻잎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350-355
  16. 조성애, 김성곤. 2000. 도토리, 녹두 및 메밀전분의 입도분포, 호화패턴과 겔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2:1291-1297
  17. 진구복. 2002. 저지방 육제품의 제조 및 평가.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4):363-372
  18. 진구복, 김화영, 김광현. 2005. 자몽 종자 추출물을 첨가한 저지방 세절 소시지의 이화학적, 조직적 특성 및 항균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5:141-148
  19. 진구복, 왕승현. 2004. 키토산의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 특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4:361-366
  20. 최성희, 권혁추, 안덕준, 박정로, 오동환. 2003. 녹차분말 첨가 소시지의 아질산염 잔유량과 저장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299-308

피인용 문헌

  1. Effect of Transglutaminase, Acorn, and Mungbean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salt Pork Model Sausages vol.29, pp.3, 2009, https://doi.org/10.5851/kosfa.2009.29.3.374
  2. Effects of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Peel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Emulsion Sausages vol.30, pp.5,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5.755
  3. Effect of Red Beet on Quality and Color Stability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vol.30, pp.6,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6.1014
  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Emulsion Systems with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Makgeolli Lees vol.30, pp.6,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6.910
  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Reduced-fat Emulsion Sausages with Brown Rice Fiber vol.31, pp.4, 2011, https://doi.org/10.5851/kosfa.2011.31.4.521
  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Emulsion Sausages with Different Levels of Makgeolli Lees Fiber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851/kosfa.2012.32.1.54
  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estructured Jerky with Four Additives vol.33, pp.5, 2013, https://doi.org/10.5851/kosfa.2013.33.5.572
  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Prepared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Dried Powder of Specialized Crops Cultivated in Namhae vol.30, pp.4, 2014, https://doi.org/10.9724/kfcs.2014.30.4.444
  9. Effect of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Algelica keiskei Koidz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vol.35, pp.3, 2015, https://doi.org/10.5851/kosfa.2015.35.3.307
  10. Product Quality of Low-fat Sausages Manufactured with Chestnut Powder as a Fat Replacer vol.52, pp.3, 2018, https://doi.org/10.14397/jals.2018.52.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