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f Korean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Its Relationship with General Value

한국청소년의 성평등의식 실태와 일반적 가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8.12.25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Korean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an attempt to search for a way to increase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irst, this study carries out a survey of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ased on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ample. Secon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key points needed to evaluate youth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erms of youths' general values. The data used for this survey is from the survey on youths' values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06 with a sample of 11,240 students from 132 schools nationwide. As a result, youths in 2006 ha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that of previous years(2002). Especially, the support for the fair share of domestic work in the house by youth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past. However, the survey of youths' values showed clear gender gaps in general attitudes of youths includ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emale students not only had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n male students but also had higher levels of 'universal value' which would allow one to become sensitive to discrimination and 'self development and achievement value'. In contrast, male students scored high on 'power-oriented value' related to discriminatory attitudes. Therefore, the study recommends focusing on alleviating the gender gaps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other various media education.

이 연구는 자라나는 미래세대인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내용은 첫째, 전국 대표성 있는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 청소년들의 성평등의식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청소년들의 일반적 가치 실태를 조사하여 청소년들의 성평등 의식 제고를 위한 단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06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소년가치관조사" 자료이며, 조사대상자는 전국 132개 학교에서 추출된 학생 11,240명이다. 분석 결과, 2006년 청소년들은 과거 청소년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성평등의식 수준이 높아졌으며, 특히 '가정내 공평한 가사분담'에 대한 청소년들의 지지 정도는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그러나 청소년 가치관 조사 결과 우려되는 부분은 성평등 의식 등 일반적인 태도 항목에서 남녀간 성별지체 현상이 매우 뚜렷하다는 점이다. 여학생의 성평등 의식이 남학생보다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차별감수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보편주의 가치관', '자기 성취 가치관'도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다. 이에 비해 남학생은 차별적 태도와 연결되는 '권력 가치'적 성향이 뚜렷하다. 따라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의 교육내용에 의식의 다양한 수준에서의 성별격차를 완화하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삼근 외 (2005) 청소년 양성평등의식 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여성가족부
  2. 김양희.이수연.김혜영 (2002) 청소년용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KGES-A) 개발 한국여성개발원
  3. 김혜숙 (2002) "대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와 북한 사람 및 대북정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 35-50
  4. 김희옥 (2002) "고등학교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역할 정체감 비교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수미 (2004)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6. 여성부 (2005) 여성인력개발 종합계획(2006-2010)
  7. 유희정 (2002) 남녀평등의식 확산방안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8. 윤홍식 (2005)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7(4) 11월호
  9. 정진경 (1989) 한국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현황과 그 갈등 해소 방안을 위한 조사 연구 학술진흥재단 자유공모과제 보고서
  10. 황창연 (2003) 충남지역 청소년의 양성평등의식 실태와 의식향상 방안 연구 충남여성정책개발원
  11. Bigler, Rebecca S. (1997)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Sex Typ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 53-69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7.tb00100.x
  12. Fiske, S. T. (1998) "Stereotyp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4th ed., vol. 2: 357-411) New York: McGraw-Hill
  13. Gaertner, S. L., & Dovidio, J. F. (1986) "The aversive form of racism". In J. F. Dovidio Diego, CA: Academic and S. L. Gaertner(Eds.)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racism(pp. 61-89): San Press
  14. Katz, I. (1960) "The funct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attitudes." Public Opinion Quarterly 24: 163-204 https://doi.org/10.1086/266945
  15. Katz, I., & Hass, R. G. (1988) "Racial ambivalence and value conflict: Correlational and priming studies of dual cognitive struct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893-905 https://doi.org/10.1037/0022-3514.55.6.893
  16. Mackie, D. M., Devos, T., & Smith, E. R. (2000) "Intergroup emotions: Explaining offensive action tendencies in an intergroup context" Journal of Personalty and Social Psychology 79: 602-616 https://doi.org/10.1037/0022-3514.79.4.602
  17. McDonald, P. (2000)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6(3): 427-430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0.00427.x
  18.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Fress Press
  19. Schwartz, S. H. (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5: 1-65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2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