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tic Diversity of Wild Tea(Camellia sinensis L.) in Korea

우리나라 야생 차나무(Camellia sinensis L.)의 유전적 다양성

  • Oh, Chan-Jin (Jeonnam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Sol (Division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ou, Han-Choon (Jeonnam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Chae, Jeong-Gi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Jeonnam National University) ;
  • Han, Sang-Sub (Division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오찬진 (전라남도 산림환경연구소) ;
  • 이솔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유한춘 (전라남도 산림환경연구소) ;
  • 채정기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조경학부) ;
  • 한상섭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8.02.27

Abstract

Molecular relationship and genetic diversity of 21 wild tea collections which grown natural region in Korea were investigated based on PCR-RFLP analysis using DFR genes. Approximately 1.4kb fragment of the DFR gene from wild tea samples were successfully amplified use DFR 4+5 primer pair. On the bases o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analysis using Hpa II and Mse I enzymes, three different band patterns shown from Hpa II enzyme and showed genetic diversity between same region wild tea group. Six kind of restriction enzyme profiles obtained from digested with restriction endonuclease Mse I and shown two kind of restriction enzyme profiles collected from same region wild tea at Ungpo. The results of RFLP analysis indicated that wild tea showed genetic diversity among different regions of tea groups, but also between same region wild tea.

차나무의 분자학적 유연관계 및 유전적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에서 자생하는 차나무 집단 21개 지역 차나무에 대하여 DFR 유전자 부위를 이용하여 PCR-RFLP분석을 하였다. DFR 4+5 primer 쌍을 이용하여 증폭결과 DFR유전자의 크기는 약 1.4kb에서 PCR산물을 획득하였다. PCR산물에 제한효소 Hpa II 및 Mse I를 이용하여 RFLP분석 결과 차나무 집단간 또는 집단내 차나무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였다. Hpa II 제한효소를 이용한 RFLP 밴드패턴은 3가지 형태로 구분되었으며, 같은 차나무 집단내에서도 유전적 다양성이 나타났다. Mse I 제한효소를 이용한 밴드패턴은 6가지의 형태로 다양성을 보였으며, 웅포집단 차나무의 경우 집단 내 다양성이 2가지 형태로 나타나 같은 집단내에서의 유전적 변이는 적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2가지의 제한효소의 결과 차나무의 집단간 또는 같은 집단내의 차나무간에서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길자, 최정, 허길현, 류재일, 배창휴, 이선하, 김홍재. 2006. 차나무 유전자원의 화학적 성분에 의한 품종군의 분류. 한국차학회지 12(2): 209-216
  2. 김정운, 곽수년, 최형국, 신기호, 김주희, 한재석. 2000. 한국 자생차(Camellia sinensis L.)의 교잡 임성에 관한 연구. 한국차학회지 6(1): 75-83
  3. 류재일, 이선하, 김길자, 박인진, 배창휴. 2005. SSR 표식에 의한 차나무 계통간 유전분석. 한국차학회지 11(2): 107-123
  4. 박용구, 김주희, Ikeda Namiko, 신동일. 2001. 한국과 일본 야생차나무의 도입경로와 기원에 관한 연구: 1. 형태적 및 유전적 변이를 중심으로. 한국차학회지 7(1): 143-161
  5. 박인협, 김례화, 이선하. 1997. 야생차나무 집단의 생태 및 잎의 형태적 특성. 한국차학회지 3(2): 125-134
  6. 송연상, 문윤호, 한선경, 정병춘, 방진기. 2005. 수집된 야생차나무 후대집단의 형태적 특성. 한국차학회지 11(2): 93-105
  7. 오미정, 홍병희. 1995. 한국 자생 차나무의 RAPD-Marker에 의한 유연관계. 한국육종학회지 27(2): 140-147
  8. Banerjee, B. 1992. Botanical classification of tea. In: Wilson KC, Clifford MN (eds) Tea: cultivation to consumption. Chapman and hall, London. pp. 25-51
  9. Kaundun, S. S., Z. Alexander and Y. G. Park. 2000. Evaluation of the genetic diversity among elite tea(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accession using RAPD marker. Euphytica 115: 7-16 https://doi.org/10.1023/A:1003939120048
  10. Kaundun, S. S. and Y. G. Park. 2002. Genetic structure of six Korean tea populations as revealed by RAPD marker. Crop Sci. 42: 594-601 https://doi.org/10.2135/cropsci2002.0594
  11. Kaundun, S. S. and S. Matsumoto. 2003a. Development of CAPS markers based on three key genes of the phenylpropanoid pathway in the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and differentiation between assamica and sinensis varieties. Theor Appl. Genet. 106: 375-383 https://doi.org/10.1007/s00122-002-0999-9
  12. Kaundun, S. S. and S. Matsumoto. 2003b. Identification of processed japanese tea based on polymorphism generated by STR-RFLP analysis. Agriculture and Food Chemistry 51: 1765-1771 https://doi.org/10.1021/jf020821i
  13. Paul, S., F.N. Wachira, W. Powell and R. Waugh. 1997. Diversity and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of Indian and Kenyan tea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revealed by RFLP marker. Theor Appl. Genet. 94: 255-263 https://doi.org/10.1007/s001220050408
  14. Wachira, F. N., R. Waugh, C. A. Hackett and W. Powell. 1995. Dection of genetic diversity in tea (Camellia sinensis) using RAPD marker. Genome 38: 201-210 https://doi.org/10.1139/g95-025
  15. Wight, W. 1962. Tea classification revised. Curr Sci. 31: 298-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