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ir Parents' Economic Status (I) - Seoul & Gyeonggi (Incheon) Area -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자녀의 식습관과 식품기호도에 관한 연구 (I) -서울.경기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 Chung, Hea-Jung (The Culinary Arts Abroad Program, Woosong University) ;
  • Eum, Yun-Ho (The Culinary Arts, Woosong University) ;
  • Kim, Jung-Yoon (Depart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 Nutrition, Sangmyung University)
  • 정혜정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유학과) ;
  • 엄윤호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외식조리학과) ;
  • 김정윤 (상명대학교 생활환경학부 외식영양학과)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 and preference of parents' social and economic level with 681 children (145 of Kindergarten, 300 of Children, 236 of Adolescenc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using question naires. The parents' income level divided into 2 groups, less than 4 million won and equal or greater than 4 million won. Most of the middle years were over-weighing but kindergarten and adolescences had standard weights. The majority of parents had Bachelor degrees, most of father were office workers, majority of mothers of kindergarten with parents' income level less than 4 million won were professional women and mothers of the rest of the groups were mostly house wives. The middle years with parents income level less than 4 million son were skipping meals most frequently, but other groups didn't show much differences in their eating habits. All age groups showed that they like meats the most and dislike vegetables the worst. All age groups also showed that they mostly eat out 1-2 times a week and the next was 3-4 times a week. All age groups preferred ice creams, fruits, juices and snacks for their desserts. The middle years with parents' income equal or greater than 4 million won also showed high preference on strawberry and chocolate flavored milk, burgers and pizzas. The food s that preferred to eat when dining out were Chinese foods (Ja-jang-myeon and sweet and sour pork) for kindergarten group, Korean foods (kalbi and bulgogi) for the middle years with parents' income level less than 4 million won, family restaurant food (steak and rib) for the middle years with parents' income level equal or greater than 4 million won and Korean foods (kalbi and bulgogi) for the adolescences. The preferred cooking methods were roast (fish and sea weeds) for the kindergarten, roasted meat for the middle years, Kimchi and bean paste pot stew for the adolescences with parents' income level less than 4 million won and roasted meats for the adolescences with parents' income level equal or greater than 4 million w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olescences with higher parental income lever preferred meats.

본 연구는 유아기, 학동기, 청소년기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라 식습관과 식품기호도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자녀의 식생활 경향을 알아보고, 자녀의 균형적인 영양 공급을 위한 조리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하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학동기 두 집단 모두 과체중 대상이며, 유아기와 청소년기 두 집단은 정상 수준이었다. 2)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은 대졸이 가장 많았으며, 모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든 연령 집단에서 아버지의 직업은 사무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기의 경우 400만원 미만 (전문직)을 제외한 어머니 직업은 주부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 학동기는 400만원 미만 (끼니거름)을 제외한 조사대상자의 식사습관 차이는 없었으며, 선호하는 음식류에서 모든 연령층이 육류를 좋아하였으며, 야채를 가장 싫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연령 집단에서 외식횟수는 $1{\sim}2$회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3{\sim}4$회로 나타났다. 4) 간식 선호도에서는 빙과류와 과일 및 주스, 과자류를 연령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좋아하며, 학동기 400만원 이상은 우유 (딸기맛, 초코맛), 햄버거, 피자에 대하여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5) 외식 시 가장 좋아하는 음식류는 유아기의 경우 중국식 (자장면, 탕수육), 학동기 400만원 미만 집단은 한식류(갈비, 불고기), 400만원 이상 집단은 패밀리레스토랑 (스테이크, 립), 청소년은 모두 한식류 (갈비, 불고기)를 가장 선호하였다. 6) 조리법은 유아기의 경우 구이류 (생선, 김), 학동기는 구이류 (육류), 청소년 400만원 미만은 찌개류 (김치, 된장), 400만원 이상은 구이류 (육류)를 가장 선호하였고, 학동기 집단에서 400만원 이상이 튀김류와 찜류 (갈비, 생선)을 400만원 미만 보다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식품기호도는 선호도의 미소한 차이만 있을 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식류 중 선호도가 놓은 과일을 간식으로 자주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빙과류와 과자류의 섭취 횟수를 줄이기 위해 부모는 관심을 가지고 같이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좋아하는 음식류에서 육류에 편중되는 것은 아동의 비만과 어린이 성인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싫어하는 음식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야채류와 서류 (감자, 고구마 등)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리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외식 시 선호하는 음식을 선택 할 때에는 패스트푸드보다는 한식이나 건강을 위한 음식을 선택하도록 부모의 교육과 지도가 필요하며, 야채와 해조 어패류를 혼합한 음식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부모의 사회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자녀의 식습관과 식품 기호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부모의 사회경제수준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한다면, 부모의 경제수준에 맞는 자녀를 위한 식습관과 영양교육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기에 비 도시지역의 자녀의 식습관과 식품기호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의 개발과 영양, 식습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와 교사가 자녀의 식생활 지도 관리를 돕고 가정과 교육기관이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후속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ung IK.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on Nutrition and Eating Habit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of Education Problem 2004; 20: 27-43
  2. Chung HI. Research on Mothers' Actual Management Status of Eating Habits of Children and Understanding and Needs of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Dept. of Early Childre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6
  3. Song GW. Polarized Nutritional Problems in Community: Feast and Famin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996; 1(2): 270-276
  4. Kim H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Behavior of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J of Human Ecology, Ulsan University 2003; 4(2): 71-84
  5.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6. Hong HA, Kim JY, Lee JS.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Focused on Side Dishes: Korean J Nutr 2006; 39(7): 707-713
  7. Kim BH. A Survey of Nutritional Status and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 of Preschool Children. J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988;26(1): 73-82
  8. Choi HM, Kim JH, Lee JH, Kim CI, Song KH, Jang KJ, Min, HS. 21C Nutrition, Kyomunsa; 2006
  9. Kang MH. Analysis of Dietary Habit and Food Preference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Suwon, Nutrition Education; 2007
  10. Yoo YY. A study on food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and social developmen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Dept. of Food and Nutrition Graduate School; 2005
  11. Ji SM. Research of Children's Health Status on the Housewife's Employment Status. Dept. of Early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2006
  12. Yang HK. A Study on Preschool-Children Obesity According to Mothers' Occupational Status. -Focus on Physical Fitness, Life Style and Eating Habits-, Dept. of Obesity Management; 2005
  13. Jung YS. Kindergarten of Gyungju Region. Dept. of Education in Home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002
  14. Park SY, Paik HY, Moon HK.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Dietary Intake of Preshool Children. Korean J Nutr 1999; 32(4): 419-429
  15. Cho KS.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YeonMu Eup. Dept. of Education in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nam University; 2007
  16. Jo SJ.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Pre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Gangbook and Yangpyeong. Dept. of Home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2005
  17. Lee GH. A Study Children's Eating and Food Preference by Their Physical Traits. The J of Child Education 2006; 15(4): 213-229
  18. Hawng KH. A Study on the Obesity-related Factors and Nutrition Intake Condition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006
  19. Jean SY. Nutrition Education. Jigumunhawsa;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