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of Chestnut Insect Pests by Friendly Environmental Controls in Korea

친환경적 방법에 의한 밤 종실해충의 관리

  • Lee, Chong-Kyu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Jin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Kab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Goo, Gawn-Hyo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Kang, Sung-Mee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Yun, Seok-Rak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eo, Dong-Jin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총규 (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종갑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구관효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 강승미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 윤석락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 서동진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7.11.12
  • Accepted : 2008.02.19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nvironmental techniques to reduce chestnut insect pests. The study sites were selected in intensive chestnut orchards of Jinju city, Gyeongnam province. In early and middleripening cultivars of chestnut tree, the damage of chestnut fruits by Dichocrocis punctiferal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wromstop than other treatment such as Capture-machine, Nemacatch and Naphthalene (p<0.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late-ripening cultivars. The control effect of D. punctiferalis showed the highest in wormstop treanment with 90.68% and 80.58% in early and middle-ripening cultivars. The control effects for Curculio sikkimensis in late-ripening cultivars of chestnut tree was 80.58% in Nemacatch and 77.90% in Wormstop treatment.

본 연구는 밤 종실을 생산량과 소득증대를 위한 방제 기술을 보급하고자 밤의 주 생산지인 경상남도 밤나무 집단 재배지에서 몇 가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의 피해율은 조생종인 단택과 삼조생 밤이 웜스톱 처리구에서 피해율이 8.17%로 가장 낮았고, 포충기, 네마캐치, 나프탈렌 처리구 순이었다. 중생종인 유마와 축파 밤은 웜스톰 처리구에서 9.83%로 가장 낮았으며 피해율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만생종인 박미와 은기 밤은 피해율간 유의차가 없었다(p>0.05).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 중생종 밤의 웜스톱 처리구에서 각각 90.68%, 80.58%로 가장 높았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의 피해율은 조생종과 중생종 밤에서는 피해율이 낮았으며, 처리별 피해율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만생종 밤에서 피해율은 네마캐치 처리구가 13.07%로 가장 피해율이 낮았으며, 웜스톱, 포충기, 나프탈렌 처리구 순이었다.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처리별 방제가는 조생종과 중생종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고, 만생종의 네마캐치와 웜스톱 처리구에서 방제가는 각각 80.58%, 77.90%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친환경적 밤 종실 해충 방제시험사업

Supported by :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References

  1. 강전유, 임위빈, 이범영. 1978. 밤나무 종실해충의 방제 시험. 임시연보 25: 99-110
  2.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2007. 2006년도시험연구보고서(제38호). 380pp
  3. 농촌진흥청. 1991. 과수해충의 생태와 방제. 220pp
  4. 산림청. 2006. 산림병해충 발생 및 방제통계. 393pp
  5. 이총규, 김종갑, 이강녕, 정대형, 윤기식. 1997. 밤 종실 해충의 방제관리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연습림 보고 7: 31-38
  6. 이총규, 김종갑, 김우룡, 구관효, 윤기식. 1998. 복숭아명 나방의 피해 및 성 pheromone에 의한 방제시기에 관한 연구(I). 농어촌개발연구소보 17: 55-60
  7. 임업연구원. 1991. 수목병해충도감. 424pp
  8. 임업연구원. 1995. 한국수목해충목록집. 임업연구원 연구 자료 제106호. pp.360
  9. 최광식. 1993. 복숭아명나방의 발생소장과 적기 방제. 제19회 산림병해충방제 연찬회, 19: 111-124
  10. 최광식. 1998. 복숭아명나방 성충의 활동리듬과 밤나무림에서의 발생생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02pp
  11.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744pp
  12. Neelay, V.R., Bhandari, R.S. and Negi, K.S. 1983. Effect of insecticidal and hormonal spray on the production of fruits in teak seed orchard. Indian For. 109: 829-839
  13. SAS Institute. 1989. SAS/SAT User's Guide, Version 9.11. Cary, NC U.S.A. pp.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