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tent Analysis of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Textbooks Based on Gender Equality

고등학교 성교육 관련 교과 내용 분석 - SIECUS의 양성평등 관점 중심-

  • Received : 2007.07.20
  • Accepted : 2007.11.13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ex education content in high school textbooks and to suggest new guidelines for high school sex education content from a gender equality standpoint. The study analyzes sex-related content from high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including subject areas such as Technical/Home Economics, Sciences, Physical Education, Social Studies and Moral Studies. The analysis relies on the framework of 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that covers 4 levels and 6 categories as well as the framework of Choi (2005) that includes 36 themes in 6 different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ex-related textbooks are focused mainly on human development and human relations. Secondly, there is a lot of level 3 sex education content within the analyzed textbooks. Third, there are gender inequality issues in the coverage of such topics as pregnancy, contraception and sexual violence. Fourth, there are also gender inequality problems caused by content level. This study recommends that gender inequality issues be included in high school sex education guidelines in the future in order to provide improved and appropriate content for high school level sex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고진경(2002). 중학생 성교육 관련 교과 내용 분석: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2001). 함께 풀어가는 성 이야기-고등학교, 서울: 문영사
  3. 교육인적자원부(2003) 학교성교육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세미나
  4. 교육인적자원부(2004). 성교육프로그램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
  5. 김봉순(1999). 고등학생의 성경험 실태 및 성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공주영상정보대학 논문집, 6권, 1-16
  6. 박충선, 한유정(1997). 청소년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3(1), 71-82
  7. 손흥숙(2004). 양성평등교육정책: 주변에서 주료로, 교육사회학연구, 14(2), 129-150
  8. 양순옥, 정금희, 한영란(2001).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교육 요구 내용 분석, 아동간호학회지, 7(1), 5-20.
  9. 양순옥, 김신정(2004).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의 성교육 내용 분석,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아동간호학회지, 10(4), 431-441
  10. 오현정(2003). 고등학교 교과서의 성교육 관련 내용분석,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오금숙(2003). 청소년의 성경험,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유미숙(2004).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13. 윤현숙, 박인혜, 한유정(1996). 남녀 중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성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9(1), 99-108
  14. 이규은, 김희배, 강동욱(2002).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성교육 효과, 관동의대학술지, 6(1), 63-77
  15. 이시백, 장영미(1997). 학교 성교육 효과,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4(1), 125-145
  16. 이영란(2006). 고등학교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예비적 연구, 미래교육연구, 13(2), 191-265
  17. 이종민, 김혜원(2001). 청소년들을 위한 학교 성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청소년학연구, 8(1), 117-142
  18. 이희승(1971). 국어대사전, 서울: 민주서관
  19. 전경숙, 이효영, 이선자(2004).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1(1), 45-68
  20. 조홍중, 강수균(2004). 학교의 성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동서정신과학, 7(1), 139-149
  21. 최영순(2005). 제7차교육과정의 성교육 내용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23(1), 239-259
  22. 최원혜(2005). 양성평등교육관점에서 본 중학교 사회교과서 내용분석, 교육연구논총, 26(1), 241-263
  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9).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양성평등교육 실현 방안 연구, 연구자료 RRC 99-1. 서울: 아름문화사
  24. 한선희(2001). 중고등학교 성교육 관련 교과의 교육내용 분석: 7차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4(2), 289-300
  25. Cohen, J.(1960).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1), 37-46 https://doi.org/10.1177/001316446002000104
  26. Gunderson, M. P. & McCary, J. L.(1980). Effects of Sex Education on Sex Information and Sexual Guilt, Attitudes, and Behaviors, Family Relations, 29(3), 375-379 https://doi.org/10.2307/583859
  27. Harris, M.B. (1975) Sex Role Stereotypes and Teacher Evalu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78, 751-756
  28. Landis, J. R. & Koch, G. G.(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 159-174 https://doi.org/10.2307/2529310
  29. Miles, M. B. & Herberman, A. M.(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Sage
  30. Sadker, D. & Sadker, M. & Long, L.(1997). Gender and educational equality, In J.A. Banks & C.A. Banks(Eds.).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Needham Heights, MA: A Viacom Company
  31. SIECUS(1996).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Kindergarten-12th Grade. 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Guidelines Task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