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Korea Forest Resource Promotion Policy by Using LISREL Model

LISREL모형을 활용한 산림자원 육성정책의 평가

  • Received : 2008.03.05
  • Accepted : 2008.06.16
  • Published : 2008.06.29

Abstract

This study is aiming at providing the useful informatio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orest resource promotion policy through analyzing the impacting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s on policy accomplishment and policy effectiveness in executing the forest resource promotion policy.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ake-holders such as government officers and civilians who hav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n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the forest resource promotion policy. The forest resource promotion policy was heur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LISREL (Linear Structural RELations) Model. The policy accomplishments of forest resource promotion significantly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 with the suitability of problem recognition, the suitability of policy decision-making and rationality of policy execution, while the degree of policy support and the policy accomplishments were having significant impacts upon the policy effectiveness. Since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and observed variables and among the latent variables mostly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 significantly, the forest resource promotion policy was evaluated very successful in terms of policy accomplishments and policy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산림자원육성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정책결과와 정책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관계를 측정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산림자원육성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산림자원 육성정책을 수립 집행하는데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공무원과 민간인 등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자원육성정책을 LISREL 모델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산림자원 육성정책의 경우 정책결과는 문제인식의 적합성, 정책결정의 적합성, 정책집행의 합리성이 매우 유의적인 영향관계가 있으며, 정책지지도는 정책효과에, 정책결과는 정책효과에 각각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변수와 측정변수 간, 잠재변수 상호간 경로계수가 대부분 유의한 정(+)의 계수를 나타내고 있어 산림자원 육성정책은 정책결과 측면에서 아주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되었고, 정책효과에 있어서도 아주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근복. 2002. 정책분석론. 대영문화사. 서울
  2. 김명수. 2000. 공공정책평가론. 박영사. 서울
  3. 김연표. 1999. 산림청의 내무부 이관과 환원. 한국농정 50년사 별책 농정반세기 증언. 서울
  4. 김용한. 1999. 산림자원조성 30년 성과와 21세기 정책 방향. 생명의 숲가꾸기 국민운동 21세기 숲 가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5. 김용환. 1999. 숲 가꾸기 사업 추진실태 및 참여자 태도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김정봉. 2004. 수산기술개발정책 평가에 관한 실증적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7. 동북아산림포럼, 2000, 한국의 산림과 임업. 서울
  8. 박태식 외. 2003. 산림정책학. 경문사. 서울. p16
  9. 배병렬. 200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이해활용 및 프로그래밍. 도서출판 청람. 서울
  10. 산림청. 1978. 제1차 치산녹화 10년 계획의 성과분석과 제2차 계획의 정책방향. 임정연구보고서. 서울
  11. 산림청. 1989. 산림행정 20년 발자취. (사)한국임정연구회. 서울
  12. 산림청. 1997. 한국임정50년사. (사)한국임정연구회. 서울
  13. 산림청. 1998. 산지자원화 계획의 성과와 반성. (사)한국임정연구회. 서울
  14. 산림청. 2006. 제5차 산림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개발. (사)한국산림정책연구회. 서울
  15. 산림청. 2006. 2006년도 산림과 임업동향에 관한 연차 보고서. 서울
  16. 산림청. 2007. 제4차 산림기본계획 성과와 발전과제. (사)한국산림경제학회. 서울
  17. 이규천, 김정호. 1999. 농업정책평가 분석모형 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울. 연구보고 R-397
  18. 주성현, 박상준, 한상열. 2007. 백두대간 관광개발이 지역애착과 관광태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공변량 구조모형의 적용. 서울. 한국임학회지, Vol. 96, No. 6
  19. 최 관. 2008. 리즈렐모형을 이용한 임도사업의 계량적 분석. 서울. 한국임학회지, 제97권, 제1호
  20. Anderson, S.B. and Ball, S. 1979. The Profession and Practice of Program Evaluation. Jossey-Bass. San Francisco. pp.151-153
  21. Hanley, N., Shogren, J.F., White, B. 2001.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Econom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316-317
  22. Kula, E. 1997. Economics of Natural Resources. The Environment and Politics. Chapman & Hall. London. p.75
  23. Lee, G.C. 1994. An Injustice Model for Policy Analysis; Perception of Korea Housing Policy. Ph. D. Dissertation. West Virginia University
  24. Nachmias, D. 1979. Public Policy Evaluation : Approaches and Methods. St. Martin's Press. New York. pp.12-18
  25. Poister, T.H. 1979. Public Program Analysis : Applied Research Methods. University Park Press. Baltimore
  26. Rees, J. 1990. Natural Resources : allocation, economics and policy. Methuen. London. p.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