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bility of the blood.breath ratio (BBR) value and to rationalize the determination of ethanol in breath for evidential sobriety testing. In the experiment forty eight healthy persons, 24 men and 24 women, took part. The experiment included the experimental condition such as sex(2),the type of alcoholic beverage(2; soju, whisky), the type of food(2;kimchi stew, pork belly) and the amount of ethanol consumed(2; 0.35g/kg, 0.70g/kg, based on body weight ) according to 24 factorial design by orthogonal arrays. Breath and blood sample were taken each 8 times and 5 times after the end of drinking. The blood and breath alcohol measurements were highly correlated (r = 0.973). The Results of four way analyses of variance revealed a significant 'the type of food' effect for maximum BrAC (F (1, 43) =5.1, pp<.029), but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type of alcoholic beverage and sex. The overall blood/breath ratio (${\pm}$ SD) was 2295${\pm}$403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were 1489 and 3101. In spite of these variations, at this time, it seems to be reasonable that apply 2100:1 conversion factor to breathalyzers, because most of the subjects showed the blood.breath ratio of over 2100:1 at least 30 minutes or more passed from the time of drinking as shown i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표는 음주운전 증거확보용 음주측정에서 혈액과 호흡의 알코올비율의 분산성을 평가하며 호흡 중 알코올 양의 확인 절차를 합리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각각 남자 24명, 여자 24명 등 48명의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성(2), 주류(2;소주, 위스키), 음식물 유형(2;김치지게, 삼겹살), 알코올 섭취량(2; 몸무게 기준 0.35g/kg, 0.70g/kg) 등의 요인에 대해 직교표에 의한 24 요인 설계를 적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술은 3회에 걸쳐 나누어 마시게 했으며 0.70g/kg 집단은 45분, 0.35g/kg 집단은 30분에 걸쳐 마시게 했다. 호흡측정과 혈액측정은 음주 종료 후 각기 8회와 5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혈중알코올과 호흡알코올 측정치 간에는 r = 0.973의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4원 변량분석 결과, 음식물 유형에 있어서 최대 BrAC의 차이(F (1, 43) =5.1, p<.029)가 드러났지만 술의 종류와 성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혈액호흡비(BBR)는 2295${\pm}$403이었고, 95% 신뢰구간은 1489와 3101이었다. 이런 변산에도 불구하고, 호흡측정기에 2100;1의 분배비율을 적용하는 것은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음주 후 30분이 지나면 대부분의 피험자가 2100:1 이상의 비율을 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