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hold Types and Suicide Ideation among Elderly People in Korea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Lee, Bong-Ja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 Oh, Yun-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jong Cyber University)
  • 이봉재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오윤진 (세종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types and suicide ideation among elderly people in Korea. We collected information on 220 elderly individuals(aging over 60), 171 of whom were living alone and 49 of whom were living with their families. The results showed that; 1) number of children, health status, level of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all related to the suicide ideation among both groups, and 2) individuals living alone had lower sense of control, were more stressed, and more likely to suffer from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practical suggestions provided.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정(2005). 연령계층별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 보건복지포럼, 16(5), 81-86
  2. 강 인 (1991). 중년기 가족 스트레스와 가족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수현, 최연희 (2007). 신체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7(4), 775-788
  4. 김태현, 한은주 (2004).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81-106
  5. 검현순, 김병석 (200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싱담 및 심리치료, 19(3), 801-818
  6. 김형수 (2000).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10, 25-45.
  7. 김혜영 (2006).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효창, 손영미 (2006) 노인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문제, 12(2), 1-19
  9. 박봉길, 전석균 (2006).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우 울증을 매개로 한 관련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2, 58-90.
  10. 박순천 (2005). 노인의 지잘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배지연 (2004).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분석. 노인복지연구, 23, 65-82
  12. 배지연(2005). 노인의 자잘생각에 관한 인과모형. 대전대학교박사학위청구논문
  13. 배지연, 김원형, 윤경아(2005).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 25(3), 59-73
  14. 서경현, 김영숙(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우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115-137
  15. 서화정 (2005) 노인지잘예방을 위한 사회사엽 개입전략. 노인자살의 영향분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양숙미, 홍숙자(2003). 농촌노인의 독거 . 동거 가구형태가 심리적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29-139
  17. 유광수, 박현선 (2003).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 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3(4), 163-179
  18. 이미애, 남기민 (2007).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매개로 한 노인 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잘생각 간의 관계. 사회복지연구, 34, 307-325
  19. 이영자(1991). 노인부양자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인지와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은경 (2006)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의 자살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은주(2004)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장미희, 김윤희 (2005).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잘생각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4(1), 33-42
  23. 정경희, 오영희, 석재은,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외 (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정순둘(2003).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11, 60-79
  25. 정호영, 노승현(2007).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7(4), 789-805
  26. 최영 (2005).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건강상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9, 123-149
  27. 통계청 (2003). 2003년 고령자통계. 통계청
  28. 통계청 (2005). 사망원인연보. 통계청
  29. 한미정 (2002). 대처방식, 내외통제성, 자아존중감에 따른 죽음불안의 발달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179-198
  30. 허준수, 유수현 (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13, 7-35
  31. 홍영수, 전선영 (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19, 125-149
  32. Conwell, Y.(1997). Management of suicidal behavior in the elderly.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 667-683 https://doi.org/10.1016/S0193-953X(05)70336-1
  33. Harlow, L., Newcomb, M., & Bentler, P.(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abuse, and suicide ideation: Lake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Clinical Psychology, 42, 5-21 https://doi.org/10.1002/1097-4679(198601)42:1<5::AID-JCLP2270420102>3.0.CO;2-9
  34. Holkup, A., Tang, J., & Titler, M.(2003). Evidencebased protocol: Elderly suicide-secondary preven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9, 6-17
  35. Kim, J.(2002).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 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1), 159-172
  36. Pearlin, L., Menaghan, E., Lieberman, M., & Mullen, J.(1981).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 337-356 https://doi.org/10.2307/2136676
  37. Radloff, L.(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