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inuation and Alteration of Housing of Goryoin Who Were Living in Uzbekistan and Korea: Focusing on Housing Support for Immigrant Workers in Korea

우즈베키스탄과 한국에 거주하는 고려인(高麗人) 주거에서의 지속과 변화 - 재한(在韓) 고려인 이주 노동자의 주거 지원을 위한 탐색 -

  • Lee, Young-Shim (Consumer & Housing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i, Jung-Shin (Consumer & Housing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이영심 (가톨릭 대학교 소비자주거) ;
  • 최정신 (가톨릭 대학교 소비자주거)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e of Goryoin housing in Uzbekistan and Korea. Using ethnographic methodologies, it was examined that 20 Goryoin households in Korea in relation to their usage of housing space firstly and also tried 20 Goryoin households in Uzbekistan with the same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established; 1). The majority of households in both areas preferred separated kitchen and living room areas. 2). Most households in both areas had a washing machine in bathroom and they regarded bathtub and the drain hole of the bathroom as very necessary. They all preferred separate bathroom and toilet areas in order to allow simultaneous use. 3). Their preferred seating style was chairs on sleeping and eating especially but they treated large family and guest without chairs in both areas. 4). All of them were took their shoes off and wore slippers at home usually and also had a preference for designated shoes space at the entrance to the house. 5) All of households in Uzbekistan and half of them in Korea had a carpet or mat in the bedroom or living room, both for keeping warm and aesthetic reasons. 6). The heating system of apartment in Uzbekistan was radiator and most of private houses had a modified Ondol with radiator but their preferred heating system was modified Ondol in both areas. 7). They all considered the living room as the most important housing space for family and guest in both areas.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2006). 외국인근로자 정주실태 및 정책수요조사. 경기개발연구원. 정책연구. 2006-11
  2. 국립민속박물관(1999). 우즈벡스탄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3. 김미희(1991). 대도시 아파트 거주자의 주생활양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남혜경, 임채완, 최한우, 이원용, 심헌용, 강명구(2005). 고려인 인구 이동과 경제환경. 경기도: 집문당
  5. 매일경제(2008.2.5 제13068호 1면). '한국 10년 내 다민족국가 된다'. 보도자료
  6. 매일경제(2008.2.5 제13068호 5면). '소득 2만 달러 넘은 한국, 이젠 이민 수입국'. 보도자료
  7. 박명규(1996). 중앙아시아 한인의 의식과 생활. 서울: 문학과 지성사
  8. 석현호, 정기선, 이정환, 이혜경, 강수돌(2003).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경기도: 지식마당
  9. 외교통상부(2001). 재외동포현황
  10. 윤인진(2004). 코리안 디아스포라.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1. 이영심, 이상해(2004). 우즈베키스탄 거주 고려인의 주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9), 1-18
  12. 이영심, 최정신(2007). 재한(在韓) 조선족(朝鮮族) 이주 노동자를 위한 주거 계획 -한국과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주거 및 주생활에 대한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45(9), 15-26
  13. 이영심, 최정신(2008).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고려인(高麗人)의 주거 및 주생활 -재한(在韓) 고려인 이주 노동자의 주거 지원을 위한 탐색 -. 대한가정학회지, 46(4), 47-59
  14. 이희봉(1998). 재미 교포 주거 건축을 통한 사용자 문화 현장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11), 103-114
  15. 중앙일보(2007.7.8 제17호 10면). '서울속 외국인 마을 10곳 심층해부'. 보도자료
  16. 파이낸셜뉴스 인터넷판(2007.8.24). '외국인 100만 명 시대, 불법체류도 급증'. 보도자료
  17. 파이낸셜뉴스 인터넷판(2008.2.15). '올해 외국인 근로자 13만 2000명 입국'. 보도자료
  18. 한겨레신문(2006. 12.23 제5868호 5면). '이주노동자 주거 열악 정부 지원대책, 아직은....'.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