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치위생과학회지)
- Volume 8 Issue 1
- /
- Pages.21-27
- /
- 2008
- /
- 1598-4478(pISSN)
- /
- 2233-7679(eISSN)
Research into Some Company Workers' Awareness of the Hygiene of the Mouth and their Practice of It
일부 직장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에 관한 연구
- Jung, Jung-Oc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ye Jeon College) ;
- Bae, Soo-Myu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ye Jeon College) ;
- Song, Kwui-So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ye Jeon College)
- Received : 2008.02.27
- Accepted : 2008.03.17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into company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awareness of the hygiene of the mouth and practice of it, in order to prepare schemes to improve the hygiene of their mouth.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list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workers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effect of tooth-brushing to prevent periodontal diseases but a low degree of awareness of its effect to prevent decayed teeth and of the necessity of mouth hygienic supplies. Second, they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caling, but most of them do not have their teeth scaled periodically. To repeat, they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dental examination, but not many of them put such awareness of theirs into practice. Third, married workers have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the hygiene of their mouth than unmarried ones do. The higher concern they have about the hygiene of their mouth, the more awareness they have of the hygiene of their mouth. Fourth, the higher monthly average income they have, the more frequently they put into practice their awareness of the hygiene of their mouth. And the poorer hygiene of their mouth they have, the more strongly they put into practice their awareness of the hygiene of their mouth.
본 연구는 직장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직장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인지도와 실천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산업구강보건정책 수립과 직장 구강보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구강건강인지도에서는 잇솔질에 의한 치주질환예방효과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지만, 충치예방효과에 대해서는 인지도가 낮게 나타났고, 구강위생용품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구강건강 실천도에서는 스켈링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대부분 스켈링을 정기적으로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건강을 위해 정기적인 구강검진이 필요하다고 높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천에서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인지도를 보면,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이 미혼에 비해 구강건강인지도가 높게 나타났고,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에서는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구강건강 실천도에서는 한 달 평균 수입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실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서는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구강건강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근로자들은 생활의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게 되므로 직장에서의 구강건강행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구강건강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필수적인 일이라 여겨진다. 또한 구강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운용한다면 구강건강이 크게 증진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