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uccessive Circularity of Korean Traditional Yard by Simulacre Concept

사건 개념에 의한 한국전통마당의 전의(轉依)성에 관한 연구

  • 김지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 ;
  • 김개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thesis is to make it clear that simulacre concept of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rovides the motive to make spaces and to make it clear that yar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has more meaning of a container that contains the simulacres of life than formal aspects. Namely, focusing on the simulacres, among existing important factors that cause changes in architectural spaces such as structure, function, beauty, I shall make it clear that simulacre concept, which is a creation thinking of post-structuralism philosopher, Deleuze, is a logic that builds and changes spaces. Al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successive circularity of yard spaces with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imulacre concept that has virtual multiplicity and yar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 space of infinite emptiness. When certain simulacres occur in the yard, the ambivalence of simulacres provides meanings to yard by affiliating numerous simulacre factors, then by combination among those meanings, yard get mutual dependence. This is an important core point that I have focused on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has found out the successive circularity of yar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mulacres and the essence of yar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o have found out that yard has the meaning of "a bowl that contains the simulacres of life," going over the simple meaning as a space between door and fence. Also, the simulacre concept is thought to be discussed as a motive for creation of various spaces from now on.

Keywords

References

  1. 김개천, 명묵의 건축, 안그라픽스, 2004
  2. 김봉렬, 앎과 삶의 공간, 이상건축, 1999
  3. 질 들뢰즈, 의미의 논리, 한길사, 1999
  4. 질 들뢰즈/팰릭스 가타리,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5. 신영훈, 한옥의 향기, 대원사, 2000
  6. 안영배, 한국건축의 외부공간, 보진재, 1998
  7. 이규태, 한국인의 생활구조3, 기린원, 1994
  8. 이정우, 사건의 철학, 철학아카데미, 2003
  9. 이정우, 시뮬라크르의 시대-들뢰즈와 사건의 철학, 거름, 1999
  10. 임석재,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북하우스, 2005
  11. 요코야마 코이치, 唯識哲學, 서울 경서원, 1997
  12. 주남철, 한국주택건축, 일지사, 1996
  13. 퍼지기술연구회, 퍼지이론해설, 기전연구사, 1992
  14. Amos Ih Tiao Chang, 건축공간과 노자사상, 기문당, 1996
  15. KBS아트비전 전통가옥 70선, KBS 아트비전, 1994
  16. 이성관, 한국 전통적 건축 공간구성의 특질, 서울대 석사논문, 1975
  17. 이용석, 일상과 비일상 측면에서 본 전통주거건축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0
  18. 이진길, 한국 전통건축 공간의 무자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 박사논문, 2002
  19. 전경배, 이조 전통건축의 외부공간에 관한 연구-마당공간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양대, 1979
  20. 김봉렬, 방밖의 방-안마당의 성격, 건축과 환경, 1987
  21. 김성원.김진균, 한국 전통건축에서 '둘러쌈'에 의한 '비움'과 '채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17권 2호, 1997
  22. 김용진.진정, 들뢰즈의 '시뮬라크르' 개념을 통한 건축에 있어서 사건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05
  23. 이응희.이중우, 동양사상의 중심성을 통하여 본 전통주거의 마당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 11권, 5호, 1995
  24. 이진질, 한국전통건축의 사이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7권 1호, 2001
  25. 정무웅, 생활정서와 공간의 전이성, 대한건축학회지 건축,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