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ob Analysis of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based on the AHP Method

AHP 기법에 의한 부동산중개업의 직무분석

  • 이미숙 (전주대학교 부동산학과) ;
  • 김종진 (전주대학교 부동산학과)
  • Published : 200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effective management of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by establishing the Job Model in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in Korea. The AHP method, designed for professionals in a field, is used to establish the Job Model. The main result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found that real estate brok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get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patterns and changes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econom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The study therefor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brokers with education chance for the knowledge about the real estate market and economy.

세계화 개방화에 직면한 국내 부동산중개업은 현재의 단순한 거래의 매개자 역할에서 벗어나 고객의 재산가치 향상과 투자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직 분야로 발전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직무분석을 통한 부동산중개업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가 그 기초가 된다. 본 연구는 AHP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부동산중개업의 직무모형을 구축함으로써 부동산중개업의 직무특성을 분석하고,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중개업자들은 효율적인 부동산중개업을 위해서는 소유권 등의 권리관계와 같은 전통적으로 중요한 중개직무와 함께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주는 부동산정책, 국내경제의 흐름 및 변화에 대한 이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공인중개사시험 준비와 그 이후의 교육을 통해서 이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접할 기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중개업자가 부동산투자 및 상담의 전문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부동산거래와 관련된 법률적 지식뿐 아니라 부동산시장 경제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용, 부동산중개협상의 성과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 이동진, 부동산중개업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편,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박영사, 1995.
  4. 편의상, 직무분석 어떻게 할 것인가, 옴마니, p.15, 1993.
  5. 한상근, 박종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방법개선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20-40, 2005.
  6. 박종성, 한상근,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개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7. J. F. Mee, Personnel handbook, Ronald Press., 1958.
  8. D. Yoder, Personnel management and industrial relations, Prentice-Hall., p.15, 1956.
  9. R. J. Harvey, Job analysis, In M. D. Dunnette & L. M. Hough.,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second edition),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1.
  10. U. S. Department of Labor, Employment and training administration : The revised handbook for analyzing jobs, JIST Works Inc., Indianapolis, 1991.
  11. 신종갑, "직무분석,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한국토지개발공사, 토지개발, 제115호, pp.17-21, 1988.
  12. 장수용, 직무분석 이렇게 한다, 전략기업컨설팅, p.25, 2007.
  13. 이정희, 중환자간호사의 직무분석 도구 개발 및 적용연구, 중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4. 송화선, "DACUM 기법에 의한 여상편집자의 직무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2호, pp.95-104,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12.095
  15. 백삼균, "합리적인 인사.조직관리와 직무분석의 활용방안", 한국인사관리협회, 인사관리, 제118호, pp.12-21, 1999.
  16. 차진아, 직무분석에 의한 사업체 급식소 영양사의 직무수행특성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7. 건설교통부, 공인중개사 자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부동산정책연구소,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05.
  18. T. L.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1980.
  19. 박찬일, 양해승, 양해슬, "게임의 장르별 재미요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2호, pp.20-29,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12.020
  20.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형출판사, 2005.
  21. 조주현, 부동산학원론,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