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imation Spectators' View Motive and Selection for Each of Group

애니메이션 관객의 집단별 관람동기와 선택기준

  • 소요환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학부 미디어영상)
  • Published : 2008.12.28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which average comparisons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view motive and selection for information sources, product properties with theater animation spectator. Based on view frequency, each of groups' organization were classified to heavy, occasional, and thinly viewers. As average comparison analysis result, firstly, view motive appeared in order to "want to see animation", "to spend time and leisure activity", "to enjoy fun activity", and "because of others canvassing or recommendation", etc. Secondly, view selection for information source appeared in order to "rumor circumstance or reputation", "theater or TV previews", "internet evaluation and grade", etc. At last, view selection for practical property appeared in order to "story", "character", "special effects", "background music", "background art", "director/directing", "manufacturer/nation", and "dubbing of artist". As difference between group result, view motive and selection for product properties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of group. To the contrary, view selection for information sources did not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of group.

본 연구는 극장용 애니메이션 관객의 집단별 관람동기와 정보원, 그리고 내용적 속성에 따른 관람선택 기준의 평균비교와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집단별 구성은 관람빈도에 근거하여 중관람자, 중간관람자, 그리고 경관람자로 분류하였다. 전체 집단의 평균비교 결과, 첫째, 관람동기에서는 "보고 싶은 애니메이션이 있어서", "여가활동이나 시간을 보내기 위해", "유쾌한 활동을 즐기기 위해", "다른 사람의 권유나 추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원적 속성에 대한 선택기준에서는 "주변 소문이나 평판", "예고편", "인터넷 평가/평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용적 속성에 대한 선택기준에서는 "스토리", "캐릭터", "특수효과", "배경음악", "배경미술", "감독/연출", "제작사/국가", 그리고 "성우더빙"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에 대한 검증결과, 관람동기와 내용적 속성에 대한 선택기준에서는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정보원적 속성에 대한 선택기준에서는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산업결산, 2006, 2007.
  2. Austin and A. Bruce, Immediate Seating: A Look at Movie Audiences.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89.
  3. 한혜경, "TV 중시청자 집단과 경시청자 집단의 프로그램 선택행위 비교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2호, 1999.
  4. 서혜옥, "애니메이션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5호, 2001.
  5.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션 조사결과보고서, 2004.
  6. 남궁영, "영화관람동기에 관한 일고찰", 주관성연구, 제6호, 2001.
  7. M. B. Holbrook and E. C. Hirshma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1982.
  8. 성연신, "온라인 구전정보가 영화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57호, 2002.
  9. B. R. Litman, "Predicting success of theatrical movies: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16, 1983.
  10. R. Neelamegham and D. Jain, "Consumer Choice Process for Experience Goods: An Econometric model and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6, 1999.
  11. 김광수, "영화선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48호, 2000.
  12. 소요환, "애니메이션 속성이 관람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13호, 2008.
  13. MPAA, Worldwide Marker Research, 2003.
  14. 전범수, "국내 영화관객의 영화 소비 행동", 한국방송학보, 제17-2호, 2003.

Cited by

  1. Effect of Dubbing on the Ticket Power of Animation Movies vol.15, pp.1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10.5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