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Contents in Housing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의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

  • Jun, Kyung-Sook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전경숙 (강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for improving the contents in housing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 textbook. For this purpose,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xamine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48 contents in housing unit. A direct survey and an e-mail survey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teachers, and a total number of 233 data were analyzed. Conclusion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Among the 48 contents in housing unit, the average score of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18 contents on 'interior environment and equipments' was 3.94; the average score of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15 contents on 'living space plan and use' was 3.78; and the average score of teachers'importance perception of the 15 content on 'housing maintenance and repair' was 3.42. Therefore, the 15 contents on 'housing maintenance and repair' must be revised. 2.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25 contents, among the 48 contents in housing uni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gender, age, teaching experience, scholastic attainment, subject in charge(technology, home economic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chool type(boys' middle school, girls' middle school, coeducation), and region(city, county). Therefore, the 25 contents, of which importance perception were influenced by teachers' characteristics, must be revised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istent importance perception. Suggestions were that the team teaching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 textbook was more recommendable; that the local situations must be considered in the contents of housing unit and; that the contents of housing unit must be segmented into a minimum unit for the accurate evaluation.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의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여 주생활단원 내용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관련 변수를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한 자료 233부를 분석하였다. 주생활단원 48개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은 '생활공간의 활용' 중단원의 18개 내용의 중요도 인식 평균은 3.78로 양호하며, '실내 환경과 설비' 중단원의 15개 내용의 평균은 3.94로 높은 반면 '주택의 유지와 보수' 중단원의 15개 내용의 평균은 3.42로 가장 낮아 '주택의 유지와 보수' 중단원의 내용 타당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실내공기의 오염과 영향'은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아 내용의 심화가 요구된 반면 '페인트칠하기'와 '도배하기'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은 보통 이하로 현실적 타당도가 결여되어 있어 개정이 요구된다. 주생활단원 48개 내용 중 '생활공간의 활용'의 10개, '실내 환경과 설비'의 5개, '주택의 유지와 보수'의 10개의 25개 내용은 교사의 성별, 나이, 교직경력, 학력, 담당과목, 학교유형, 근무지역에 따라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따라서 25개 내용이 교사의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중요도 인식에서 보편적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내용의 타당성 점검 등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제언할 내용은 기술 가정 교과를 기술과 가정으로 팀 티칭(team teaching)하는 것이 교사의 성별과 담당과목에 따른 편차를 극복하고 주생활단원을 형평성 있게 교수하는데 더 적합하며, 주생활단원 내용은 지역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교과서 검정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앞으로의 주생활단원의 평가는 내용을 최소 단위로 세분화하여 단일 주제의 내용에 대해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