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지기반성 분석에 의한 보전녹지와 중점관리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Establishment of Preservative Green Spaces and Potential Focus Areas by the Green Infrastructure Assessment of the City of Daejeon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디자인학과) ;
  • 심준영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장민 (배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허준 (동신대학교 조경학과)
  • Lee, Shi-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Paichai University) ;
  • Shim, Joon-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Jang, 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aichai University) ;
  • Heo, J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shin University)
  • 발행 : 2008.10.31

초록

도시공원법이 개정됨에 따라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과 연계하여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공원녹지 확보 및 관리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GIA 개념도입을 통해 생태적으로 중요한 동시에 훼손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대전광역시에 적용하여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GIA의 개념 및 분석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대전광역시에 적용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면서 동시에 개발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규명하고 이를 중점관리지역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GIA 개념의 도입을 통해 도시계획과정과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고, 또한 공원녹지 보전의 우선순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지역이 한정되어 있고, 국외에서 구축된 자료와 국내 자료와의 상충문제, 스케일 상의 문제 등에 있어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향후의 연구는 이러한 점을 극복하여 보다 더 일반적인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계획프로세스 및 지표 선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ue to the amendment of the Act for Urban Parks in 2005, local governments have to establish long-range plans for securing and managing urban parks and green area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of setting priorities for green areas of land to be preserved before the development stag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Green Infrastructure Assessment, and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network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by applying the GIA method to the city of Daejeon. The concept of GIA and the process of analysis have been drawn as a result of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n introduction of the GIA concept to set park and open space planning promotes the connection of the city planning process as well as presents very a reasonable source to facilitate sustainable development. Also, other results present a priority ranking for protection of parks and green areas as well as a means to manage potential focus areas. This study, does have research limitations such as a limited study area, scale, and conflict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omputing data. Further studies need to set the planning process and examine the index survey to apply this method to various situations and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연구원(2003) 토지적성평가 매뉴얼
  2. 김선희(1992) 환경보전을 위한 토지이용 대책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17: 151-170
  3. 김연태(2007) 공원녹지 기본계획을 위한 녹지기반성 개념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나정화(1997) 생태적 도시녹지계획 목표설정과 정책적 해결방안-대구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2(4): 269-291
  5. 나정화(2001) Hemeroby 도면작성과 녹지계획에서의 활용 -대구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9(2): 32-41
  6. 노태욱(2001) 도시공원.녹지의 현황과 과제. 도시정보 227: 4-18
  7. 박미호, 이명우(2002)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녹지보전과 녹화 추진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0(2): 23-38
  8. 사공정희, 나정화(2006) 녹지 상호간 연계성 및 기질특성 평가를 통한 녹지 연계망 조성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4(4): 18-36
  9. 성현찬, 신지영(2005) 도시공원의 접근성향상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2): 83-91
  10. 정용문, 김선태, 김명수(2002) 대전시 녹지계획을 위한 연결성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6): 14-23
  11. 유헌석(2002)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11-13
  12. Benedict, Mark A. and Edward T. Mcmahon(2006) Green Infrastructure: Smart Conservation for the 21th Century. Washington, D.C.: Sprawl Watch Clearinghouse
  13. Karen Williamson(2003) Green Infrastructure: Linking Landscapes and Communities. Island Press
  14. Christopher, P. M. and R. D. Brown(1995) A landscape ecological model for wildlife enhancement of stormwater management practices in urban greenway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227-246 https://doi.org/10.1016/0169-2046(94)02020-G
  15. John, L., G. Meir and F. John(1995) Greenway planning: developing a landscape ecological network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 179-193 https://doi.org/10.1016/0169-2046(94)02017-A
  16. Little C(1990) Greenways for America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7. Ted Weber(2003) Maryland's Green Infrastructure Assessment, Maryland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Watershed Services Unit, Landscape and Watershed Analysis Di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