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형표현도의 과소추정과 판독능력에 관한 연구 -중학생을 대상으로-

An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ies to Recognize the Proportional Symbol Maps

  • 심정복 (부산 남산중학교) ;
  • 손일 (부산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지리학)
  • Shim, Jeong-Bok (Namsan Middle School in Busan) ;
  • Son, Ill (Geography Education, Schoo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중학생들의 도형표현도 인지 능력을 알아보려 했다. 분석 결과 3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우선 과소추정 경향은 지수함수로 나타나며, 선기호, 사각기호, 원기호, 입체기호 순으로 과소추정 정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범례의 수(3, 5, 7개), 범례 표현방법(나열, 포섭), 기호 크기 척도 체계(비례적, 심리적)에 따라 기호의 크기가 상이하게 인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범례에 비해 기호의 크기를 과대추정 하는 경향이 있었고, 1학년과 3학년의 기호 인지 능력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ies to recognize the proportional symbolic maps. After analyzing the data from the respondents, three facts could be concluded. First, the trends of under-estimation are represented as the power function and the degree of under-estimation is increased as the sequence of line, square, circle, sphere symbols. Second, the estimations of symbol size are effected by the number of symbols in the legend(3, 5, 7), the presentation methods of legends(linear, nested), and the system to scale the symbol size(mathematical, perceptual). Lastly, the size of symbols on the map tends to be over-estimated comparing to the symbols in the legen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year and third year students to recognize the proportional symbol maps are not identifi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창숙, 2005, '중학생의 사회과 부도 자료 활용에서 나타 나는 이해 특성,' 한국지도학회지 5(1), 21-29
  2. 손 일, 2001, '수준별 주제도 제작을 위한 기본 지침에 관 해 : 제6차 교육과정 사회과부도와 지리부도의 분 석을 통해,' 한국지도학회지, 1(1), 41-51
  3. 손 일, 2005, '우리나라 미디어 지도의 변천과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일보(1966-2000년)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술논총(2005), 362-398
  4. 심정복, 2007, 중학생의 도형표현도 인지 능력에 관한 연 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이희연, 1995, 지도학: 주제도 제작의 원리와 기법, 법문사
  6. Crawford, P. V., 1973, The perception of graduated squares as cartographic symbols, Cartographic Journal, 10(2), 85-88
  7. Dent, B., 1999, Cartography: Thematic map design(5th ed.), WCB McGrow-Hill, Boston
  8. Ekmam, G. and Junge, K., 1961, Psychophysical relations in visual perception of length, area and volume,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2(1), 1-10 https://doi.org/10.1111/j.1467-9450.1961.tb01215.x
  9. Flannery, J. J., 1971,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some common graduated point symbols in the presentation of quantitative data, Canadian Cartographer, 8(2), 96-109 https://doi.org/10.3138/J647-1776-745H-3667
  10. Monmonier, M., 1993, Mapping it out: Expository cartography for the Huam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Chicago University Press, Chicago
  11. Slocum, T. A., McMaster R. B., Kessler F. C., Howard H. H., 2005, Thematic cartography and Geographic Visualization(2nd ed.),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12. Stovall, J. G. (1997). Infographics: A Journalist's Guide, Allyn and Bacon, Massachuset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