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Changes of Urban Structure by New Town Development - Case study of Go-Yang City by GIS -

신도시 개발에 따른 도시구조 변화의 분석 - GIS를 이용한 고양시 구도심지역 변화 분석 -

  • 임동일 (한양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 Published : 2008.10.28

Abstract

Go-Yang city, rural region by the 1980s, had rapidly grown to the big city for only 15 years because of Il-San new town development which was developed during $1990{\sim}1995$. So the population and industrial function were greatly increased too.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was grasped by tracing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household and industries of Go-Yang city during $1990{\sim}2005$. The new urban center had grown to the center of the whole city, while the industries of existing centers were extended to the neighbor areas. The existing centers had been changed into 3 types - (1) changed into a part of new urban center, (2) declined to sub-center with small merchant facilities. (3) continuously grown with the development of whole city. As a result, a new town development had changed the urban structure by creating new func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existing and new centers rather the existing centers had declined.

1990년$\sim$1995년에 걸쳐 건설된 일산신도시에 의해 농촌지역인 고양군은 불과 15년 만에 대도시로 급성장했으며, 인구는 물론 산업기능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일산신도시의 개발 이전인 1990년부터 개발 후 10년이 지난 2005년까지 고양시의 읍 면 동 인구 및 가구, 산업체와 종사자의 변화를 통해서 고양시의 공간구조의 변화를 파악한 결과, 신도시의 개발로 인하여 신도심지역의 도심성이 강화되고 구도심을 형성하는 $1{\sim}2$개 동에 집중되었던 산업기능은 구도심 주변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기존의 4개 구도심은 일산신도시의 개발로 인하여 신도시와 함께 도심기능이 강화되거나, 도심형 산업이 감소하면서 소규모 상업시설 중심의 부도심격으로 쇠퇴, 신도시개발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아 전체 도시의 성장에 따라 성장하는 형태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신도시의 개발은 구도심의 전반적인 쇠퇴보다는 신 구도심 간 새로운 기능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전반적인 도시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철모, 고선하, "지방도시의 구도심 활성화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 제27집, 제2호, 2002(12).
  2. 진원형, "수도권 신도시의 자족성 제고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4권, 제2호, pp.183-199, 1998.
  3. 류주현, "도시성장에 따른 신.구도심의 소매업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7권, 제2호, pp.45-56, 2004.
  4. 임병호, "신.구도심의 업종분포특성 비교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49-168, 2008.
  5. 한국토지공사, 일산신도시개발사, 1997.
  6. 한국토지공사, 일산신도시개발사업 기본계획, 1990.
  7. 고양시, 고양 일산지구 도시설계, 1993.
  8. 정석, "살면서 되짚어 보는 일산 신도시 계획", 대한건축학회지, 제42권, 제12호, pp.7-13, 1998.
  9. 이창무, 안건혁, 안내영, "상권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 pp.949-962, 2001.
  10. 표강근, 김갑성, 신승식, "도시 상업지역 내 용도별 시설분포 및 특성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 pp.465-478, 2003.
  11. 진기석, 조성래, 유완, "신시가지 중심상업지역 내 사업시설 입점시기와 인구 유입과의 관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발표회 논문, pp.3-16, 2005.
  12. 이용배, 조성훈, 여홍구, 김흥순, "수도권 신도시와 구도시간의 주거만족도 비교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발표회 논문, pp.139-149, 2006.
  13. 김현, 이창열, 박성호, 최열, "한국의 신도시 계획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자족기반요소에 관한 비교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발표회 논문, pp.1517-1526, 2007.
  14. 장준상, 이창무, "수도권 5개 신도시 자족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1권, 제2호, pp.43-56, 2006.
  15. 신기동, 김예성, 조현정, 경기도내 구도심상권 위축실태와 대응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6.
  16. http://www.goyan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