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ing Study of Turbid Water in the Stratified Reservoir using linkage of HSPF and CE-QUAL-W2

HSPF와 CE-QUAL-W2 모델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용담댐 저수지 탁수현상의 모델 연구

  • Yi, Hye-Suk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Jeong, Sun-A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Park, Sang-Young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Lee, Yo-Sang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이혜숙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정선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박상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이요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An integration study of watershed model(HSPF, Hyd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and reservoir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urbid water management in Yongdam reservoir. The watershed model was calibrated and analyzed for flow and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variation during rainy period, their results were inputted for reservoir water quality model as time-variable water temperature and turbidity. Results of the watershed model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of flow and suspended solid. Also, results of the reservoir water quality model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filed measurements of water balance, water temperature and turbidity using linkage of the watershed model results. Integration of watershed and reservoir model is an important in turbid water management because flow and turbidity in stream and high turbidity layer in reservoir could be predict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integration of HSPF and CE-QUAL-W2 was applied for the turbid water management in Yongdam reservoir, where it is evaluated to be appliable and important.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을 대상으로 유역모델 HSPF와 저수지모델 CE-QUAL-W2를 연계 적용함으로써 강우시 저수지로 유입되는 탁수 관리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강우시 저수지 유입하천의 유출량 및 부유사 농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역모델을 적용하여 모델의 재현성을 검토하였으며 유역모델 결과를 저수지모델의 입력자료로 제공하여 저수지모델의 재현성 검토 및 저수지 내 시간에 따른 탁수분포 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유역모델의 유출량 및 부유사 농도의 재현성 검토 결과, 모델 예측값과 실측값이 적절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모델의 결과를 연계하여 홍수기 저수지의 물수지, 수온 변화 및 탁도를 대상으로 저수지모델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탁수에 의한 수온성층의 변화와 탁수층의 위치, 시간에 따른 탁수분포의 변화 양상 등을 실제와 매우 유사하게 모의하였다. 이와 같이 유역모델과 저수지모델의 연계 적용은 발생 가능한 강우에 대하여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량 및 탁수발생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탁수층의 위치와 최고 탁도 등 저수지내의 탁수변화 양상을 비교적 쉽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용담댐을 대상으로 집중강우시 HSPF 유역모델과 CE-QUAL-W2 저수지 모델을 연계 적용함으로써 탁수관리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세웅,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탁류의 공간분포 특성 및 연직 2차원모델링," 대한환경공학회지, 26(9), 970-978(2004)
  2. 김윤희, 김범철, 최광순, 서동일, "2차원 수리 수질모델 (CE-QUAL-W2)을 이용한 소양호 수온 성층현상과 홍수기 밀도류 이동 현상의 모델링,"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5(1), 40-49(2001)
  3. 허성구, 김기성, 사공명, 안재훈, 임경재, "고랭지 농경 지의 토양유실모의를 위한 SWAT 모형의 적용성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1(4), 67-74(2005)
  4. 박윤식, 김종건, 박준호, 전지홍, 최동혁, 김태동, 최중대, 안재훈, 김기성, 임경재, "임하댐 유역의 유사 거동 모의 를 위한 SWAT 모델의 적용성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3(4), 467-473(2007)
  5. 임상준, Kwvin M. Brannan, Saied Mostaghimi, 조재필, "HSPF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유출 및 유 사량 추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4), 59-64(2003)
  6. Bicknel, B.R., Imhoff, J.C., Kittle, J.L., Donigian, A.S., Johanson, R.C.,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User's Manual for Release 1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Athens, GA(1993)
  7. Cole, T.M. and Wells, S.A., CE-QUAL-W2: A two dimensional, Laterally average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Version 3.2 user's manual. Instructional report EL-95-1, U.S Army Corps of Engineer, Vicksburg, MS(2005)
  8.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
  9.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wamis. go.kr
  10. 한국수자원공사, 댐수질환경연감(2006)
  11. Albek, M., O?utveren, U. B. and Albek, E., "Hydrological modeling of Seydi Suyu watershed(Turkey) with HSPF," J. Hydrol., 285, 260-271(2004) https://doi.org/10.1016/j.jhydrol.2003.09.002
  12. Merritt, W. S., Letcher, R. A., and Jakeman, A. J., "A review of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18, 761-799(2003) https://doi.org/10.1016/S1364-8152(03)00078-1
  13. Leggete, R.W. and Williams, L.R., "A reliability index for models," Ecol. Model., 68, 21-32(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