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esi Keesokshi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iong on Serial Sesi Keesokshi-

조선후기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 고찰 -대보름 연작형(聯作型) 세시기속시를 중심으로-

  • Yang, Jin-j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양진조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One of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late Jeosun s Hanshi (poem in Chinese) is the numerous creation of Yeonjachyung Keesokshi (serial poem on folklore) which describes the folk manner and folk way of life in detail. Keesokshi s subject matter is the folklike in general including local features, geography, climate, local production, humanity, social conducts, and daily labor for living as well. By its material characteristics, Keesokshi reflects detailed life conditions of the society members in each levels, and represents the local customs as well as the folk emotions. Among the several kinds of Keesokshis, a Sesi Keesokshi focuses only in reciting the folk customs on each seasonal festival days, and the great numbers of such serial poems appear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eosun Dynasty. Its overall background is the transition of artistic trend which came after many social changes such as expansion of realism, uprising national consciousness, shaken status system, and the rising of 'Jeosun si motives in the Hansi history. Moreover, each writers various experiences and their interests in the reality and critical minds of common people contributed a crucial roll in creation of Sesi Keesokshi. 178 of the 584 remaining serial Sesi Keesokshi are written particularly about the folk customs in The Grand Full Moon Festival (the first full moon of a year by the lunar calendar). These Hanshis widely reflect the common ways of living by directly accepting the seasonal folk customs as the subject matters. Especially, close to the reality, these poems positively express the people's simple vigorous lives and create unrestrained lively image by describing the joys and sorrows of the folk ewistence along with their craving. Also, it is notable to have customs such as 'Shil-Ssa-Um' and 'No-gu-ban-kong-yang' as subjects for its rarity in other literatures.

일반적으로 조선후기 한시(漢詩)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민간의 풍속과 민중의 생활 상을 상세하게 다룬 일련의 연작형 기속시(紀俗詩)가 다수 창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속시는 그 소재(素材)와 내용에서 특정 지역의 풍토, 지리, 기후, 물산(物産), 인정(人情), 세태(世態), 생업과 노동 등 민중의 생활 현장 전반을 두루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특징에 따라 기속시는 해당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반영하고, 토속적 정서와 민중이 생활 감정을 중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기속시중 소재적 측면에서 민중의 연중행사인 세시풍속을 읊은 시를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라 하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명절이나 세시 절기에 벌어지는 세시풍속만을 소재로 연작형을 이룬 작품이 대거 출현하게 된다. 이는 실학의 발전과 민족의식의 고조, 신분질서의 동요와 민중 역량의 성장,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예술사 전반의 변모와 함께 특히 한시사(漢詩史)에 나타난 '조선시(朝鮮詩)' 정신의 대두(擡頭)등이 역사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자의 다양한 체험과 견문, 민족과 민중의 생활감정을 중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기속시 중 소재적 측면에서 민중의 연중행사인 세시풍속을 읊은 시를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라 하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명절이나 세기 설기에 벌어지는 세시풍속만을 소재로 연작형을 이룬 작품이 대거 출현하게 된다. 이는 실학의 발전과 민족의식고조, 신분질서의 동요와 민중 역량의 성장,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예술사 전반의 변모와 함께 특히 한시사(漢詩史)에 나타난 '조선시(朝鮮詩)' 정신의 대두(擡頭)등이 역사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자의 다양한 체험과 견문, 민족과 민중의 현실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 등 작가적 체험과 의식성향이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 창작의 중요한 배경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작형 세시기속시는 584수(首)로 확인되며, 그중 대보름 풍속을 소재로 한 시는 178수(首)로 전체의 1/3을 차지하는 분량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절기(節氣)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전래민속을 한시의 소재로 직접 수용함으로써 민족의 생활양식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특히 기층민의 현실생활현장에 밀착하여 그들의 질박하고 활기찬 삶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분방 발랄한 민중상을 창조하고 민중의 염원과 삶의 애환을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싸움', '노구반공양'이라는 풍속을 소재로 삶았던 것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