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ecurity Journal (시큐리티연구)
- Issue 13
- /
- Pages.529-550
- /
- 2007
- /
- 2671-4299(pISSN)
- /
- 2714-0644(eISSN)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 training for private Security
일반경비원 교육훈련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bstract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public security demand, the private companies advanced continuously every year. However the size of the industry expanded in its quantity, the quality remains the same as before. So it's important to training of the security officers. This study suggest the improvements of training system through the analysis and the review of problems of training and education security officers. To develop our private security industry, we suggest as follows. First, In spite of the training is important, the recognition against security officers training is low, so the improvement is demanded. Second, When selecti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 it does not reflect the demand and situation of education enough. So there is necessary that selecti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gain, after finishing a demonstration duration. Third, The education contents is general, so there is a necessity of the education which is professionalized. Fourth,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lecturer, we must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of the lecturer. Fifth, For the development of securities industry, we must found the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해질수록 국민의 치안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민간경비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그러나 민간경비산업의 양적 성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질적 성장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최근 민간경비원의 교육내용 및 교육시간이 조정되어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하나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원 중에서도 일반경비원에 한정하여 교육훈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미국, 일본, 호주의 사례를 참조하여 교육시간과 교육내용 면에서 전문화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또한 실제 우리나라의 민간경비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교수요원의 자질문제와 민간경비 교육훈련기관 지정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훈련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경비원들의 교육훈려네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므로 경비원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과목 증설 및 교육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기관의 지정에 있어 교육의 수요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