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Parity Specific Approach to the Plan of Having an Additional Child

  • 발행 : 2007.08.25

초록

저출산 현상의 지속과 심화, 그리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파장이 부각됨에 따라 출산관련연구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IMF 위기라는 전사회적 현상 속에서 개인의 출산행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한 연구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출산행위에 관련된 요소들을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경제적 상황, 출산관련 생활사건변수, 시부모 및 친정부모 생존여부, 현존자녀 및 이상자녀변수 등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출산아수가 아니라 출산계획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한편, 현재의 출산아수별로 출산계획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에서 35세 이하 기혼여성들을 추출해 분석해 본 결과, 첫째아 계획은 보편적인 현상이며 둘째아 계획에는 가구경제의 안정성, 양육보조자의 존재 등이 중요한 요소임을 발견했다. 이는 둘째아 계획이 주어진 경제와 양육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셋째아 계획은 남아의 존재여부와 이상자녀의 성 구분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남아(선호)가 여전히 상당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출산아수에 따라 출산계획의 기제가 차별적임을 의미한다. 출산계획의 출산아수별 차별적인 기제는 출산행위에 대한 깊이를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같은 기제를 접근하는 데 있어 계량적인 접근방식과 더불어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질적 연구(특히 집단초점토론)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fertility level in Korea continues to drop with detrimental implications for the society, it has regained much attention of academics and policy makers. This study, building on the previous research on fertility behavior, attempts to explore the plan of young married women to have an additional child. While such plan is not always put into practice, it is still closely related to fertility behavior. In addition, it can provide useful clues to understanding behavior in the future. Utilizing a recent nationwide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the study analyzes the plan of further birth among young married wome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the plan for first child is quite universal as no difference is found by their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wever, having plan for second child differs by the work status of husbands, presence of mother of young married women, and the sex of first child. The effects of first two factors suggest that young married women take into consideration stability of home economics and availability of care sharing. As for the plan for the child, the present and ideal sex composition of children appear most importa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chanism of fertility progression differs by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Thus, consideration of such differential would help u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fertility behaviors and need to reflect in the study. The study also argues th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accompanied by to capture complexity of fertility decision making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숙 . 변미희 . 정은미 (2005)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저출산 요인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0(3): 127-145
  2. 강복수. 윤성호. 이경수. 김석범. 강영아. 황태윤. 김미경 (2001) '가임여성의 자녀 성 선호도 및 인식도와 남아선별출산강요 경험' <한국모자보건학회지> 5(1): 7-15
  3. 공선영 (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 119-149
  4. 김두섭 (2005) '한국의 제2차 출산력변천과 그 인과구조:' <연구와 사회> 1 (1): 23-53
  5. 김두섭 (2007) 집문당
  6. 김영주 (2005) '대도시 저출산 가정의 주거현황과 주거의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49-157
  7. 김태헌 . 이삼식 . 김동희 (2006)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1): 1-23
  8. 박상화. 천대우 (2004) '우리나라 고령 출산의 변화 추이(1985-2003)에 관한 연구' <인구의학연구논집> 17 : 101-105
  9. 박정희. 장영애 (2003)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관련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31-44
  10. 유계숙 . 정현숙 (2002)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에 대한 청년의 인식' <한국가정 관리학회지> 20(3): 39-47
  11. 윤소영 (2005) '저출산 가정의 출산율과 여성취업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59-166
  12. 은기수 (2001a)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최근의 낮은 출산력 수준에 미치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5(6): 105-139
  13. 은기수 (2001b) '첫 출산부터 마지막 출산까지 출산기간의 차별성'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6(1): 14-26
  14. 이삼식 외 (2005a)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이삼식 외 (2005b)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 이성용 (2003) '남아 선호와 출산력간의 관계' <한국인구학> 26(1): 31-57
  17. 이성용 (2006) '경제위기와 저출산' <한국인구학> 29(3): 111-137
  18. 조혜자 . 방희정 (2005) '결혼과 출산기피의 한 이유-여성의 관계역할' <한국심리학회지> 10(1): 95-112
  19. 차경욱 (2005) '저출산 가계와 출산계획 있는 가계의 경제구조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37-148
  20. 천혜정 (2005)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25-33
  21. 최경수 (2004) '출산율 하락 추이에 대한 분석' <한국인구학> 27(2): 35-59
  22. Mitchell, D. and E. Gray (2007) 'Declining Fertility: Intentions, Attitudes and Aspirations' Journal of Sociology 43(1): 23-44 https://doi.org/10.1177/1440783307073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