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perience of Paternity Fathers with Grandchildren

손자녀를 둔 남성의 부성경험에 관한 일 연구

  • 황정해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Using ethnographic methods, this study identifies the meaning of paternal experiences through a series of individual one to two hour interviews with men who have grandchildren. The interviewees consisted of twelve fathers from fifty to seventy years of age and the middle SES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ult-children-marriage and parent transitions were found to be important changes for men on their father's perception of their role as a father. Second, fathers with grandchildren felt happiness due to their grandchildren and held grandchildren as being important. Third,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ir families was the main focus of paternity. Forth, the period of paternal experiences with grandchildren can be called "the stage of strong grandfather identity" because men who have grandchildren put more import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grandchildren than do their own adult-children, and grandchildren themselves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male identity.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자 (2006). 새로보는 결혼과 가족, 서울 : 형설출판사
  2. 김기현 (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명선 (2000). 손자녀와 노인의 상호작용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탑골공원 노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문정 (2006). 할머니의 손자녀 양육경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소영 (2000). 기혼 남성의 아버지 역할과 직업 역할 몰입 유형에 따른 생활 만족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영희 (2003). 중년기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심리적 복지감. 한경대학교 논문집, 35(12)
  7. 김유경 (2000). 세대간의 유대관계와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노부모와 성인자녀를 중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애순 (2002).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서울:시그마프레스
  9. 김태현 (1995). 노년학. 서울:교문사
  10. 김희숙 (1996). 두 자녀 아버지의 심리적 경험과 역할수행.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민하영.유안진 (1996). 아동이 지각한 조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사회적능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4), 279-293
  12. 박경란 (1988). 노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 연구 - 장남부부와의 관계 중심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영숙 (1998). 핵가족화에 따른 청소년의 조부모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의순.조병은 (1990). 청년기 손자녀가 지각한 조부모와의 유대감. 가족학논집, 2, 28-62
  15. 박충선 (1990).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여성연구, 8(3)
  16. 배경미 (1988). 조부모역할에 관한 기초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서동인 (1991). 손자녀가 지각한 조모와의 심리적 친밀도: 친조모와 외조모의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서병선 (1995). 조모의 손자녀 대리 양육 수행과 만족도 연구 -취업모 자녀를 둔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서병숙 (1996). 노인연구. 서울 : 교문사
  20. 서혜영 (1999). 남성의 일-아버지 역할 갈등과 부모역할만족도 및 부모로서의 유능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양미경 (1996).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부모역할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87-101
  22. 유안진 (1980).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 정민사
  23. 이선자 (1989). 연령 단계별로 본 노인에 대한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장선주 (1990). 노부모와 성인 자녀간의 생활감정 및 교류.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장희경.조병은 (1995). 맞벌이 가족의 조모- 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6(1), 211-224
  26. 조선화 (1998). 아버지 만족감 및 스트레스와 아버지 역할수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조주현 (1993). 결혼이라는 이데올로기. 현실문화연구
  28. 최정혜 (1991) 노부모가 지각하는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 박사학위논문
  29. 최혜경 (1985).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한경혜.송지은 (2001).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성이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3(1), 51-73
  31. 한경혜 (2004)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한국노년학 24(4), 87-106
  32. 홍길회.황정해 (2006).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국아동학회지, 27(3), 301-317
  33. 홍숙자 (1999). 노년학개론. 서울 : 하우
  34. 황정해.백경임 (2005). 영유아기 자녀를 둔 남성의 부성경험에 관한 일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26(3), 61-71
  35. 황정해 (2006). 아버지됨(Fathering) 경험이 남성의 성인기 발달에 미치는 의미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43-60
  36. 황철수 (2004). 가족레질리언스가 노부모와 성인자녀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황혜영 (2005). 조모의 지원 및 조모-손지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洸野千壽(1999). 탑골공원과 한국 할아버지 -장소형성에 나타난 한국적 특성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Canfield. K (1992) The 7 secrets of effetive fathers. Illinois : Tyndale House Publishers, INC
  40. Erikson, (1976) 외 저. 한성열 역(2000). 노년기의 의미와 즐거움. 서울:학지사
  41. Ellen G. 저. 김세희 외 4인 역 (1996). 자녀와 더불어 성장히는 부모 - 부모기의 6단계 -.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42. Hannelore S. 저. 김선형 역 (2005). 노년의 미학. 경남대학교 출판부
  43. Judson, J. Older (1985). Grandparents' Perception of Generativity in the Grandparent - Grandchildren Relatia, RelationShip. Dissertation of Kansas State University
  44. Merriam S. 저 허미화 역(1997). 질적 사례연구법. 서울:양서원
  45. Quin, W. H,(1983). 'Personal and family adjustment in later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46. Spradley J. 저. 이희봉 역 (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