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개량머루" 과실주의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provement of Quality Wine of "Vitis amurensis RUPRECHT"

  • 이병영 (국립 한국농업대학 교수부) ;
  • 이영철 (국립 한국농업대학 교수부) ;
  • 정혜웅 (국립 한국농업대학 교수부) ;
  • 임재운 (국립 한국농업대학 교수부)
  • Lee, B.Y.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age) ;
  • Lee, Y.C.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age) ;
  • Jung, H.W.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age) ;
  • Lim, J.W.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age)
  • 발행 : 2007.03.30

초록

국내의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개량머루의 소비촉진의 방안으로 안전재배를 도모하고 머루재배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하고자 개량머루주의 고품질화 기술개발연구를 실시하고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한다. <시험 1> 개량머루의 술 가공적성 구명 가. 개량머루의 과립중은 3.7g으로 포도 과립중 12.2g의 1/4배 정도였다. 나. 개량머루의 pH는 3.34로 포도의 pH 3.62 보다 0.3정도 낮고 적정산도함량이 높아 신맛이 강하며, 당도는 개량머루가 17°Brix%로 포도 15°Brix 보다 높았다. 다, 개량머루의 색차는 포도에 비해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가 낮아 검붉은 색을 띤다. <시험 2> 개량머루주의 품질향상 가. 개량머루의 원형, 파쇄 및 즙형으로 술을 제조하였을 머루의 형태별 pH는 3.70~3.75, 적정산도는 0.91~0.96㎖, 환원당은 0.34~0.42%, 알콜함량은 16.2~16.3%로 처리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색차와 식미에서도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발효속도를 고려할때는 머루를 약간 파쇄하여 담그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나. 개량머루주에 참나무의 조제 형태별 및 첨가량별에 따른 1년동안 숙성된 머루주의 pH, 적정산도, 환원당 및 알콜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참나무의 조제형태별 첨가량별 모든 처리구의 식미가 무첨가 3.0(보통이다)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특히 참나무톱밥을 1.0% 첨가로 맛, 냄새, 색에서 품질이 향상되었다. 다. 개량머루주 발효 후 숯을 첨가하여 숙성시킨 머루주는 숯 첨가량이 많을수록 pH는 3.82에서 3.86으로 증가하였으며, 적정산도는 0.91㎖에서 0.86㎖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알콜함량은 각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색차에서 명도는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숯 3% 첨가로 냄새와 색은 보통이상으로 향상되었다. 라. 개량머루주의 숙성시 참나무톱밥 1%나 참나무통에 숯 3% 첨가시 pH, 적정산도는 별차이가 없었으나 무첨가 머루주와 차가 있었다. 색차에서는 숯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와 적색도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식미에서는 참나무톱밥 1%나 참나무통에 숯 3%를 넣고 숙성시켰을 때 식미가 "좋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New Wild Grape berry weighs approximately 3.7g, which is one fourth of the weight of the general grape wine (12.2g). The pH of New Wild Grape wine is around 3.34, which is lower by 0.3 than that (3.62) of general grape wine. It contains higher organic acids, so it has stronger sour taste. The sugar content of New Wild Grape is 17° Brix, which is higher than that (15° Brix) of general grape wine. The color of New Wild Grape is blackish, owing to the lowe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grape wine. Depending on the mixing with or without oak tree,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pH, organic acid, reducing sugar, and amount of alcohol after ripening for 1 year. In taste, New Wild Grape wine mixing with oak tree is evaluated better than that of the wine without oak tre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wine mixing with oak tree's sawdust, the quality in color, taste, and smell became improved. After fermentation, the pH of New Wild Grape Wine ripened with oak tree charcoal increased from 3.82 to 3.86, as it gets more oak tree charcoal, and the organic acid decreased from 0.91㎖ to 0.86㎖.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alcohol amount. Lightness in color tended to be reduced, whereas redness tended to be increased. Adding 3% of oak tree charcoal made the taste and smell improved. When fermenting New Wild Grape Wine with mixing 1% of oak tree's sawdust or 3% of oak tree charcoal,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pH and the organic acid, whereas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ose of New Wild Grape Wine without addition of oak tree charcoal. As the addition of oak tree charcoal increased, the lightness and redness became higher. When fermenting New Wild Grape Wine with mixing 1% of oak tree's sawdust or 3% of oak tree charcoal in oak tree barre, the taste became improv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