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PM10) Concentration in Busan for Five Years

최근 5년간 부산지역의 미세먼지(PM10)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Jeon, Byung-I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illa University) ;
  • Hwang, Yong-Sik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전병일 (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
  • 황용식 (인제대학교 산업의학연구소 및 부산백병원 산업의학교실)
  • Received : 2007.09.30
  • Accepted : 2007.11.30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and meteorological analysis of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hich was over $100{\mu}g/m^3$ in busan were investigated for period of 2002 to 2006. Annual mean concentration including Asian dust day was $68.7{\mu}g/m^3$ in 2002, $54.6{\mu}g/m^3$ in 2003, $60.4{\mu}g/m^3$ in 2004, $58.3{\mu}g/m^3$ in 2005 and $58.8{\mu}g/m^3$ in 2006, respectively. Seasonal mean concentration was $73.4{\mu}g/m^3$ in Springtime, $56.8{\mu}g/m^3$ in Summertime, $55.5{\mu}g/m^3$ in Wintertime and $54.4{\mu}g/m^3$ in Falltime, respectively. Mean concentration for land use was 69.2 $37.0{\mu}g/m^3$ in industrial area, 64.2 $35.5{\mu}g/m^3$ in rural area, 62.6 $34.4{\mu}g/m^3$ in commercial area and 55.3 $33.8{\mu}g/m^3$ in residential area, respectively. Frequency of synoptic pattern for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as 18 days(16.7%) in I type, 27 days(25.0%) in II type, 10 days(9.3%) in III type, 5 days(4.6%) in IV type, 13 days(12.0%) in V type and 29 days (26.9%) in VI type, respectively. Frequency of long range transport sector for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as 9 days(8.3%) in I type, 64 days(59.5%) in II type, 34 days(31.5%) in III type, 1 days in IV type, 0 days, respectively.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1998,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의 공간분포 및 변화에 관한 연구(II),국립환경연구원,40-78
  2. 국립환경연구원, 1999,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의 공간분포 및 변화에 관한 연구(III), 국립환경연구원 62-101
  3. 환경부, 2004-2005, 대도시 대기질 관리방안 조사연구(공화학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의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미세먼지분야)
  4. 기상청, 황사정보센터(http://www.kma.go.kr/dust/)
  5. 김경연, 2005, 제주지역 대기 중 해염입자의 분포특성,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62pp
  6. 김동정, 1988, 가을철 한반도의 기압계 유형과 안개발생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pp
  7. 박일수,이덕길,강인구,1991, 서울지역 겨울철 $SO_2$농도를 지배하는 기상인자,한국대기보전학회지,7(2), 96-104
  8. 신선아,한진석,김신도,2006, 수용모델(CMB)을 이용한 한반도에서 관측된 황사의 발원지추정과 기여도에 대한 연구,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2),157-16 6
  9. 안준영. 2004, 황해상에서 대기오염물질의 공간적 분포와 장거리이동,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3pp
  10. 양진석, 2000, 한국의 추계한발의 종관기후학적 특성,한국지역지리학회지,6(2), 57-69.
  11. 이혜문,김동술,이진홍,1996. $PM_{10}$ 내 중금속의 장기간 평균농도 및 위해도 평가,한국대기보전학회지,12(5). 555-566
  12. 전병일, 1997, 부산연안역의 고농도 오존일의 예측 기법개발과 오존농도 수치모의,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19pp
  13. 전병일,2003, 부산지역 $FM_{10}$농도의 시간 및 공간적 변화 특성,한국환경과학회지, 12(10), 1,033-1,041
  14. 허기영,하경자,2004, 한반도 연안 안개의 발생과 연관된 종관 기압의 분류, 40(5), 한국기상학회지, 541- 556
  15. 환경부, 2006, 환경백서
  16. Lasen, R. I., 1973, An air quality data analysis system for interrelating effects, standards, and neaded source reduction, JAPCA, 23, 933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