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intrinsic regulators in the secondary palate morphogenesis

이차구개 형태분화의 내적 조절유전자 규명

  • Lee, Jae-Guk (Laboratory for Craniofacial B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Jang, Eun-Ha (Laboratory for Craniofacial B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Im, Yang-He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Ki-Byeung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o, Seung-O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Eui-Sic (Laboratory for Craniofacial B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Hyo-Keun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재국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두개안면생물학실험실) ;
  • 장은하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두개안면생물학실험실) ;
  • 임양희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 ;
  • 김기병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 ;
  • 고승오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 ;
  • 조의식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두개안면생물학실험실) ;
  • 신효근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이차구개는 발생과정에서 구개선반의 형성과 성장, 거상과 융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차구개의 형성과정은 미세한 분자유전학적 신호전달기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인자의 발현이상이 되면 정상적인 이차구개가 형성되지 못하고 구개파열이라는 선천성 기형이 발생된다. 구개파열의 유발인자들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정상적인 이차구개의 형성을 조절하는 분자유전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차구개의 형태분화를 조절하는 분자유전학적 기전을 알아보고자, 이차구개 형성의 내적 조절인자 중 핵심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Osr2가 결손된 생쥐의 이차구개 형성과정에서 정상생쥐에 비해 발현의 변동이 나타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의 변동은 발생 14.5일(E14.5)의 구개선반으로부터 추출한 total RNA를 이용하여 ACP-based GeneFishing 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고, 각각의 변동된 유전자를 동정하여 정상생쥐의 이차구개 형성과정에서의 발현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총 120쌍의 primer를 이용한 검색을 통해서 정상생쥐의 구개선반에 비해 mutant에서 발현이 변동된 유전자는 7개가 검출되었고, 이들은 모두 정상생쥐에 비해 mutant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출된 유전자는 vimentin(Vim), ${\beta}$-tropomyosin 2(Tpm2), thioredoxin-like 5(Txnl5), procollagen type II alpha 1(Col2a1),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IGFbp7), Sui 1 homologs(Sui 1), Defender against cell death1(Dad1)이었다. 검출된 유전자를 동정하여 정상생쥐의 구개 형성과정에서의 발현양상을 알아본 결과, Col2a1 을 제외한 유전자들은 모두 E13.5의 구개선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있었으나 구개선반이 융합된 E15.5에서는 Vim, Txnl5 그리고 Dad1 만이 봉합선을 따라 발현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검출된 유전자들은 구개선반의 형태분화과정에서 발현되어 이차구개의 형성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들은 이차구개 형성의 내적조절인자인 Osr2의 downstream target 으로 구개선반의 성장과 융합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유전물질일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